'자살 사망' 올해 상반기에도 7천명…"공중 보건적 접근 필요

50대 가장 많고 이어 40대 > 60대 > 30대 > 70대 순
"자살 생각·행동 고위험군 '표적 개입' 넘어 보편적 개입 필요"

 지난해 자살 사망자 수가 13년 만에 최다를 기록한 가운데 올해 상반기에도 자살 사망자가 7천명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작년 같은 기간보다는 다소 줄었지만, 여전히 상당한 규모다.

 좀처럼 나아질 기미를 보이지 않는 자살 문제를 개선하려면 고위험군을 적극적으로 발굴하고 돕는 것을 넘어 전체 인구를 대상으로 한 공중보건적 접근을 병행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작년 상반기(7천844명)보다는 적고 2023년 상반기(7천142명)와 비슷한 수준이다. 2022년 상반기(6천436명)보다는 많았다.

 이대로라면 연간 자살 사망자 수가 2011년 이후 최다를 기록한 지난해(1만4천872명)에 육박할 수도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올해 상반기 자살 사망자를 연령별로 보면 50대(22.4%)가 가장 많았고 이어 40대(19.0%), 60대(15.1%), 30대(13.5%), 70대(9.8%), 80대 이상(8.9%), 20대(8.8%), 10대 이하(2.5%) 순이었다.

 최민재 고려대 보건대학원 연구원 등은 최근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국제사회보장리뷰' 가을호에 게재한 '자살 예방의 공중보건적 관점과 시사점' 글에서 "자살은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사회·구조적 맥락에서 이해될 필요가 있다"며 "공중보건적 접근이 자살 예방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최 연구원 등은 학술지 '랜싯 퍼블릭 헬스'에 발표됐던 '자살 예방의 공중보건적 관점' 시리즈의 주요 내용을 소개하면서 한국에 주는 시사점을 제시했는데, 자살을 단지 의료적 측면에서 볼 게 아니라 다양한 사회적 요인에 주목해야 한다는 게 시리즈의 주된 요지다.

 자살 생각이나 행동을 경험한 인구 집단을 대상으로 하는 '표적 개입'을 넘어 자살 위험이 높은 대상에 대한 '선별적 개입'과 전체 인구 집단에 대한 '보편적 개입'이 필요하다는 설명이다.

 자살 수단에 대한 접근 제한, 경기 침체·실업 등에 대한 정부 대응, 자살을 해결책으로 인식하게 하는 언론 보도·콘텐츠 지양, 희망의 메시지를 전하는 캠페인 등이 구체적인 공중보건적 자살 예방 전략으로 거론됐다.

 최 연구원 등은 "범정부적 컨트롤타워가 각 부처의 재정·노동 정책 등이 자살에 미칠 영향을 구체적으로 검토하고 자살률에 미칠 가능성이 현저한 경우 이에 대처하는 보완적 정책을 살필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 우울감 등 말하기 어려운 고민이 있거나 주변에 이런 어려움을 겪는 가족·지인이 있을 경우 자살예방 상담전화 ☎109 또는 자살예방SNS상담 '마들랜'에서 24시간 전문가의 상담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응급실 뺑뺑이' 수용의무 지침, 17개 시도 중 11개 시도 '외면'
'응급실 뺑뺑이'로 인한 비극이 반복되고 있음에도 17개 시도 가운데 11개 시도는 관련 지침에 응급환자 '수용 의무'를 명시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응급환자가 늘어나는 추석 연휴를 앞둔 상황에서 계속되는 비극을 막기 위한 실질적인 조치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김선민 의원이 보건복지부에서 최근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현재 17개 광역자치단체 모두 응급환자에 대한 이송·수용 지침을 수립해 현장에 적용 중이다. 그러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응급환자 수용 의무 조항을 지침에 포함한 시도는 대구, 인천, 광주, 경기, 강원, 경남 등 6곳뿐이다. 응급환자 수용 지침은 2022년 12월부터 시행된 개정 응급의료법, 이른바 '동희법'의 후속 조치다. 2019년 10월 응급실 뺑뺑이 끝에 숨진 4세 김동희 어린이의 비극을 막기 위해 응급의료기관이 응급환자 수용 능력 확인 요청을 받은 경우 정당한 사유 없이 응급의료를 거부 또는 기피할 수 없도록 했다. 이후 복지부는 지난해 17개 시도에 '응급실 수용곤란 고지 관리 표준지침'과 '응급환자 이송지침 가이드라인'을 배포하고 지역 실정에 맞는 지침 마련을 주문했다. 복지부의 지침엔 응급

학회.학술.건강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