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치매 환자 79만명…보건당국, '코호트' 구축해 연구 추진

노인성 치매·조발성 치매 환자 등 추적 관찰…"연구 기반 확충"

 인구 고령화와 함께 치매 환자도 빠르게 늘 것으로 예상되면서 보건당국이 치매 극복을 위한 연구 기반을 마련하기로 했다.

 질병관리청 국립보건연구원은 치매 극복을 위한 코호트(특정 환자군 등 특성을 공유한 모임) 연구 기반 구축 사업을 추진하고 치매 예방이나 진단 치료 기술 개발을 지원키로 했다.

 치매는 정상 생활을 하던 사람이 다양한 원인으로 뇌가 손상돼 인지 및 고도 정신 기능이 떨어지고 일상생활이 어려운 상태를 뜻한다. 알츠하이머형 치매, 혈관성 치매 등이 해당한다.

 중앙치매센터 등에 따르면 2019년 기준으로 치매 추정 환자는 총 79만4천280명으로, 평균 유병률은 10.3%이다.

 같은 해 치매로 사망한 환자는 총 1만357명으로, 전년 대비 6.3%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 10만명당 사망자는 20.2명인데 남성보다는 여성에서, 또 고령일수록 높은 편이다.

 치매 환자 1인당 진료비는 연간 약 291만원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2019년 치매 추정 환자

 이에 국립보건연구원은 그간 진행해오던 치매 임상 연구를 바탕으로 다양한 코호트를 구축하고 치매 원인 규명이나 예방·치료기술 개발 등을 위한 심층 자료를 제공할 방침이다.

 노인성 치매 환자 코호트는 알츠하이머 치매, 혈관성 치매, 루이체 치매 등을 앓는 65세 이상 환자군을 대상으로 하며 3년간 약 850명을 모집해 질병 경과 등을 매년 추적 관찰한다.

 65세 이전에 발병하는 치매 환자를 대상으로 한 조발성 치매 환자 코호트 연구에서는 3년간 환자 400명을 모집해 관찰하고, 환자를 포함한 가족의 특성을 파악해 조발성 치매 원인 유전자를 찾아낼 예정이다.

 광주시 노인건강타운 치매예방관리센터를 방문하는 55세 이상인 사람을 대상으로 치매 고위험군을 선별하는 방식으로 지역사회 노인 치매 코호트(약 1천700명 규모) 연구도 진행된다.

 코호트에서 수집되는 임상 정보는 뇌 질환 임상 연구 데이터베이스(DB)에서 통합·관리된다. 수집 정보와 인체 자원은 국립중앙인체자원은행에 기탁해 향후 일반 연구자에게 공개할 계획이다.

 권준욱 국립보건연구원장은 "치매 연구 기반 확충을 계기로 본격적으로 노인성 질환 및 노화 연구를 강화하고, 향후 국립노화연구소로 확대·발전시키고자 한다"고 밝혔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긴 연휴에 아이 열나면?…부모가 꼭 알아야 할 대처요령
올해 추석 연휴는 개천절과 임시공휴일, 한글날이 이어지면서 무려 1주일의 황금연휴가 됐다. 가족과 함께 오랜만에 여유를 만끽할 기회지만, 어린 자녀를 둔 부모라면 긴 연휴가 마냥 반갑지만은 않다. 낯선 지역을 방문하거나 문을 여는 병원을 찾기 어려운 상황에서 아이가 갑자기 열이라도 나면 당황하기 쉽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이런 때일수록 불안해하기보다 차분하게 아이의 상태를 살피고, 연휴 전 미리 방문할 지역의 응급 의료기관을 확인해두는 게 중요하다고 조언한다. ◇ 아이 발열은 정상 면역반응…"잘 먹고 잘 자면 해열제 불필요" 발열은 바이러스나 세균이 몸에 침투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정상적인 면역반응으로, 체온이 38도 이상일 때를 말한다. 39∼40도 이상이면 고열로 분류된다. 발열 자체가 곧 위험 신호는 아니다. 아이가 열이 있으면서도 평소처럼 잘 먹고, 잘 놀고, 잘 자는 상태라면 지켜보는 것으로 충분하다. 다만, 만성 기저질환이 있는 경우에는 열로 인해 질환이 더 악화할 수 있는 만큼 해열제를 먹여야 한다. 발열 후에는 아이의 전신 상태를 꼼꼼히 살피는 것이 중요하다. 기침, 가래, 천명, 쌕쌕거림 등의 증상이 동반되면 폐렴이나 모세기관지염을, 다른 증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