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관, 단순히 피 흐르는 관 아니다…비만 치료 열쇠 될 수도"

스페인 호세 카레라스 백혈병 연구소, '네이처 물질대사'에 논문

 인간의 체내 혈관은 그 구조와 기능에 따라 동맥, 정맥, 모세혈관으로 나눌 수 있다.

 동맥은 산소와 영양분을 함유한 혈액을 심장으로부터 온몸 구석구석에 보내, 모세혈관과 주변 조직 사이에서 물질교환이 이뤄지게 한다.

 그다음에 말초 세포 및 조직에서 배출된 이산화탄소와 노폐물은 정맥을 타고 심장으로 돌아간다.

 이처럼 혈관은 생명을 유지하는 데 필수적인 기능을 한다.

 그런데도 혈관에 대한 일반적 인식은, 단순히 혈액을 운반하는 비활성 조직이라는 것이었다.

 과학계의 이런 통념이 사실과 다른 것으로 드러났다.

 알고 보니 혈관은 체내의 생리적 변화를 감지해 여러 기관의 기능을 제어하고 조율하는 역할을 했다.

 이 발견은 장차 혈관 반응을 조절해서 비만 등 대사질환을 치료하는 길을 열 수 있다고 과학자들은 말한다.

 스페인의 호세 카레라스 백혈병 연구소(Josep Carreras Leukaemia Research Institute) 과학자들이 주도한 이 연구 결과는 최근 저널 '네이처 물질대사'(Nature Metabolism)에 논문으로 실렸다.

 21일 미국 과학진흥협회(AAAS) 사이트(www.eurekalert.org)에 공개된 논문 개요 등에 따르면 이번 연구의 초점은 지방 조직의 혈관이 비만의 발달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밝히는 데 맞춰졌다.

비만은 여러 가지 위험 요인이 복잡하게 작용해 생기는 대사질환이다.

 하지만 비만의 근본 원인을 꼽자면 지방 조직, 특히 백색지방(WAT)이 비정상적으로 늘어나는 것이다.

 연구팀은 지방 조직도 혈액 공급이 꼭 필요하다는 점에 주목했다.

 사실, 백색지방의 항상성이 유지되려면 혈관 내벽 상피세포(ECs)와 지방세포의 상호작용이 원활히 이뤄져야 한다.

 예컨대 백색지방이 증가할 땐 혈관 생성도 활성화되는 게 보통이다.

 그런데 비만한 사람은 이 생리 과정이 잘 작동하지 않는다.

 지방 조직이 커져도 혈관은 필요한 만큼 충분히 생기지 않는다는 뜻이다.

 연구팀은 혈관 상피세포와 지방세포 사이에서 이런 '혼선(crosstalk)'이 빚어지게 하는 분자 메커니즘을 밝혀냈다.

 이는 혈관이 주변의 지방 조직에 어떤 지시를 내려 지방의 관리를 통제하는 것과 유사했다.

 생쥐 모델에 실험한 결과, 혈관 상피세포의 폴리아민(polyamines) 생성이 지방세포의 지방 분해를 자극해 지방조직의 항상성을 조절했다.

 혈관 상피세포가 폴리아민을 생성하면 지방세포가 지방을 분비했고, 혈관은 다시 이 지방을 흡수해 자기 세포를 늘리는 자양분으로 썼다.

 핵심은, 혈관 상피세포의 폴리아민 생성이 백색지방 조직의 지방 분해를 유도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지방 조직 내에 혈관이 얼마나 많이 퍼져 있고, 어떻게 기능하는지에 따라 비만의 발달 정도가 달라졌다.

 실제로 지방 조직의 혈관 기능이 강화된 생쥐 모델은 비만의 발달에 저항했다.

 이번 실험에선 또 역설적인 현상이 하나 관찰됐다.

 혈관이 폴리아민을 생성해 지방조직을 제어하는 메커니즘이 전립선암의 세포 증식에도 거의 똑같이 이용된다는 것이다.

 혈관 상피에서 PTEN(4 질산 펜타에리트리톨)을 제거하면 세포 자율(cell-autonomous) 방식으로 혈관이 더 많이 생겼고, 체중 감소와 비만 완화를 특징으로 하는 백색지방 선택성(WAT-selective) 표현형이 생겼다. PTEN은 암을 억제하는 물질로 알려졌다.

 하지만 세포를 증식하는 방식은 서로 달랐다.

 혈관은 이 메커니즘을 이용해 통제된 방식으로 세포를 증식했다. 하지만 전립선암 종양은 같은 메커니즘으로 걷잡을 수 없이 무한증식했다.

 논문의 교신저자를 맡은 마리오나 그라우페라 박사는 "몸 안의 각 기관에서 혈관이 다르게 반응한다는 건 체내 부위에 따라 혈관이 특화돼 있다는 걸 시사한다"라면서 "이 발견은 혈관 조절을 통해 질병을 치료하고 건강을 개선하는 흥미로운 기회를 열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지역·필수의료 시니어의사 본격 모집…사회적 협의는 '난항'
정부가 두 달째 이어지는 의료 공백 상황에서 지역·필수의료 분야에서 일할 시니어 의사 모집에 본격적으로 나선다. 정부가 의료 공백을 메우고자 비상진료체계를 운영 중인 가운데 의료개혁을 위한 사회적 협의는 '험로'가 예상된다. 17일 정부와 의료계에 따르면 보건복지부는 전날 오후 서울 중구 소재 국립중앙의료원에서 '시니어의사 지원센터'의 문을 열었다. 센터는 대학병원 등에서 근무한 경험이 많은 퇴직 의사 혹은 퇴직을 앞둔 의사들이 지역·필수의료 분야나 공공의료기관에서 계속 근무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업을 맡는다. 앞으로 센터는 필수의료 분야 진료·연구에 경험이 있는 시니어 의사를 현장에서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의사 모집, 인력 풀(pool) 구축·관리, 의료기관 연계, 지역 필수의료 교육 등을 수행한다. 복지부 관계자는 "대한의사협회(의협), 국립중앙의료원과 함께 사업을 하고 있었지만,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 센터를 열었다"며 "비활동 50∼60대 의사가 4천여명이고, 상반기 기준 대학병원의 퇴직 의사는 130여명으로 파악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조규홍 복지부 장관은 "시니어 의사 활용은 정부와 의료계가 지역·필수의료 분야 의사 부족 문제 해소를 위해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인공눈물 투여 후 15분 지나서 렌즈 착용해야"
봄철 건조한 날씨로 인공눈물 사용이 늘어나는 가운데 인공눈물 투여 후 렌즈를 착용해야 한다면 최소 15분은 기다려야 한다. 일부 인공눈물 성분이 렌즈에 달라붙을 수 있기 때문이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인공눈물의 올바른 사용 정보를 안내했다. 인공눈물은 눈의 건조 증상을 완화하고 자극을 일시적으로 줄이는 데 도움을 주는 의약품으로, 카르복시 메틸셀룰로스 나트륨, 카보머, 포비돈, 폴리 소르베이트, 히프로 멜로스 등을 주성분으로 하는 제품은 처방전 없이 약국에서 구매 가능하다. 인공눈물은 직접 눈에 1~2 방울 떨어뜨리며 성분에 따라 1일 2~5회 사용할 수 있는데, 인공눈물을 사용하기 전 눈에 통증이 심하거나 안약에 의한 알레르기 증상을 경험한 경우, 의사 치료를 받는 경우, 임부나 소아에 사용할 경우에는 의사 또는 약사와 상의해야 한다. 또 인공눈물 성분이 렌즈에 흡착될 수 있어서 렌즈 착용은 피하는 것이 좋은데, 특히 벤잘코늄 염화물을 보존제로 포함하는 인공눈물이 그렇다. 만약 렌즈를 착용해야 한다면 투여 후 15분 이상 기다렸다 끼는 것이 좋다. 인공눈물을 사용하면서 안약이나 안연고를 추가로 사용해야 하는 경우에는 5분 이상 간격을 두는 것이 권장된다. 특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