흉부외과·산부인과·소아과 전공의 미달 계속…지원율 1위는 재활의학

전공의 지원 미달 과목 2017년 8개→지난해 10개로 늘어
이종성 의원 "정부 필수의료과 지원 실효성 높여야"

 최근 서울 아산병원 간호사 뇌출혈 사망 사건을 계기로 필수 의료 확충 필요성이 다시금 부각됐지만 필수과 미달 현상은 전혀 개선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가 필수 의료과 전공의(전문의 취득 전 수련의)를 확보하기 위해 여러 지원을 하고 있으나 실효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지난해 흉부외과, 산부인과, 소아청소년과 등은 전공의 지원이 전년에 이어 계속 미달한 반면 재활의학과, 정형외과, 피부과 등은 지원율 상위권을 차지했다.

 19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이종성 국민의힘 의원이 보건복지부로부터 제출받은 과목별 전공의 지원 현황 자료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지원 미달인 과목은 2017년 8개에서 지난해 10개로 오히려 늘었다.

 지난해 미달과목은 핵의학과, 소아청소년과, 병리과, 흉부외과, 방사선종양학과, 가정의학과, 비뇨의학과, 산부인과, 외과, 진단검사의학과 등이었다.

 이 의원에 따르면 복지부는 필수과 확보를 위한 지원 정책을 추진해 왔다. 대표적으로 흉부외과의 경우 전문의 확충을 위해 건강보험 수가를 100% 인상했고, 가산금액 대비 30% 이상을 지원하도록 했다.

 실제로 가산금액으로 지원된 금액은 2017년 279억 원, 2018년 348억원, 2019년 386억원, 2020년 479억원이었다. 이외에 수련보조수당, 전공의 해외 단기연수 지원 등도 있다.

 그러나 흉부외과는 2017년부터 지난해까지 지원율이 50∼60%대에 그치며 계속 미달이고, 또 다른 필수과인 산부인과는 2018년부터 미달로 돌아섰다.

 소아청소년과는 2020년에 지원율 78.5%로 미달되더니 지난해에는 지원율이 절반 이상 떨어진 37.3%로 전체 과목 중 최하위권이었다.

 더 큰 문제는 필수과 전공의를 거쳐 전문의가 된 의사가 해당 과가 아닌 다른 과에서 근무하며 실제 필수과 의료 인력이 더욱 부족한 현상이라고 이 의원은 지적했다.

 지난해 기준 흉부외과 전문의 1천322명 중 흉부외과 근무 인력은 837명(병원급 이상 흉부외과 근무자 780명, 흉부외과 의원급 개설 57명)에 그쳤다.

 그외 나머지 전문의 인력은 흉부외과가 아닌 다른 과목으로 개원하거나 페이닥터로 근무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소아청소년과, 산부인과 사정도 비슷하다.

 필수과 미달과 달리 인기 학과 쏠림 현상도 심화하고 있다.

 지난해 전공의 지원 상위 1위 학과는 재활의학과로 지원율이 202.0%에 달했다.

 2위는 정형외과(186.9%), 3위 피부과(184.1%), 4위 성형외과(180.6%), 5위 영상의학과(157.2%), 안과(150.5%) 순이였다.

 이 의원은 "정부의 특수과 전공의 지원 정책이 실효성 없이 오히려 쏠림현상을 키웠다"며 "의료인들이 해당과에 가고 싶도록 인적·물적 투자를 하고 실제 수요에 맞게 지원을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전공의들, 환자단체 찾아 "의정갈등으로 불편 겪은 국민께 사과"
전공의들이 28일 환자단체를 찾아 장기간 이어진 의정 갈등으로 불편과 불안을 겪은 국민에게 사과했다. 한성존 대한전공의협의회(대전협) 비상대책위원장은 이날 서울 영등포구 한국환자단체연합회 사무실에서 환자단체 대표들과 만나 "1년 5개월 이상 길어진 의정갈등으로 인해 불편을 겪고 불안하셨을 국민 여러분께 사과의 말씀을 드린다"며 "이 사태가 장기화한 데 대해 의료계 또한 책임에서 자유롭지 않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한 위원장은 "아울러 의료계를 대표하고 이끄는 위치에 있었던 일부 의사들의 부적절한 언행으로 국민 여러분께 심려를 끼쳐드린 점도 대한민국의 일원인 젊은 의사로서 깊이 사과드린다"며 "저희는 앞으로 전문성을 바탕으로 사회적인 책무를 다하고 보다 나은 의료 환경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의정갈등 당시 일부 의료계 인사가 "정부는 의사를 이길 수 없다"고 하거나, 메디스태프와 같은 익명의 의사 커뮤니티에서 "환자 죽어도 감흥 없다" "죽을 뻔한 경험 쌓여야 의사 존경한다"는 등 선 넘는 발언이 나온 상황을 지칭한 것으로 보인다. 그는 또 "긴 세월 국민과 의료계 모두 상처받고 힘든 시간을 보냈다"며 "이런 일이 다시 생기지 말아야 한다는 점

학회.학술.건강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