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라리아 환자 지난해보다 39% 증가…사회적 거리두기 완화 원인?

 지난 5월 사회적 거리두기가 완화한 뒤 국내 말라리아 환자가 많이 늘어난 탓에 올해 환자 수가 지난해보다 40%가량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1일 질병관리청 감염병포털에 따르면 지난달 30일까지 국내 말라리아 환자는 모두 407명이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 293명보다 38.8%(114명) 증가한 것이다.

 지역별로는 경기 236명, 인천 61명, 서울 56명 등 수도권이 353명으로 전체의 86.7%를 차지했다.

 월별로 보면 지난 1∼5월 환자 수는 45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76명보다 오히려 적었다.

 그러나 지난 5월 야외 마스크 착용 의무가 해제되는 등 사회적 거리두기가 완화된 뒤 환자 수가 크게 늘었다.

 6∼10월 환자 수를 보면 올해가 지난해보다 매달 15∼40명씩 많았다.

 사회적 거리두기 완화가 국내 말라리아 환자 증가의 한 요인이 된 것으로 분석된다.

 2020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발병 뒤 2020년 385명, 지난해 294명까지 감소했던 말라리아 환자 수는 다시 400명 대로 늘어나게 됐다.

 국내에서 발병하는 말라리아는 고열, 오한, 무기력증 등 감기와 유사한 증세가 3일 간격으로 나타나는 삼일열 말라리아로, 열대지방의 열대열 말라리아와 비교하면 치사율은 낮은 편이다.

 국내에서 말라리아 환자는 고양·파주·김포 등 경기 서북부와 서울, 인천 등 수도권에 집중된다.

 최근 5년간 환자 수는 2018년 576명, 2019년 559명, 2020년 385명, 지난해 294명, 올해 11월까지 407명이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장내 미생물 이용해 악성 뇌종양 면역치료 효과 높인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장내 미생물과 그 대사산물을 이용해 면역항암제가 듣지 않는 교모세포종의 치료 효과를 높일 수 있는 방법을 고안해 냈다고 6일 밝혔다. 교모세포종은 가장 공격적이고 예후가 나쁜 대표적 악성 뇌종양이다. 암세포를 직접 공격하지 않고 면역세포가 암세포를 공격하도록 돕는 면역항암제가 최근들어 주목받고 있지만, 면역반응이 일어나지 않는 교모세포종에는 치료 효과가 제한적이다. 생명과학과 이흥규 교수 연구팀은 장내 미생물 생태계의 변화에 주목해 교모세포종의 면역치료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전략을 제시했다. 연구팀은 교모세포종이 진행되면서 장내 중요한 아미노산인 '트립토판'의 농도가 급격히 감소하며, 이는 곧 장내 미생물 생태계 변화로 이어진다는 점을 확인했다. 트립토판을 보충해 장내 미생물 다양성을 회복시키면, 숙주에게 이로운 유익균인 '던카니엘라 두보시'(Duncaniella dubosii)가 면역세포인 'CD8 T세포'(암세포를 공격해 제거하는 역할을 하는 면역세포)를 활성화하는 역할을 하며, CD8 T세포를 종양 조직으로 유도한다는 것을 밝혀냈다. 실제 교모세포종을 유발한 생쥐 모델에 트립토판을 보충한 결과, 두보시 균주가 CD8 T세포가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