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5생 자궁경부암 백신 무료접종 마지막해…방학중 맞아요"

만 12~17세 여성 청소년, 만 18~26세 저소득층 무료 접종

 질병관리청은 초중고 학생들이 겨울방학을 계기로 자궁경부암 등의 예방을 돕는 사람유두종바이러스 예방접종을 하도록 17일 권고했다.

 사람유두종바이러스 감염은 자궁경부암을 비롯해 항문암, 질암, 구인두암 등의 주요 원인이다. 예방접종을 통해 이런 암의 70~90%를 예방할 수 있다.

 백신이 효과를 충분히 얻기 위해서는 감염이 되기 전에 접종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보건 당국은 감염의 주요 원인으로 꼽히는 성 경험 이전에 예방접종을 하도록 권장하고 있다.

 접종은 1차 접종을 만 15세 미만에 받은 경우 2회, 그렇지 않은 경우 3회 맞아야 한다.

 사람유두종바이러스 예방접종은 만 12~17세(2005년 1월1일~2011년 12월31일생) 여성 청소년에게 무료다. 만 18~26세(1996년 1월1일~2004년 12월31일생) 중 기초생활보장수급자와 차상위계층 등 저소득층 여성도 무료로 맞을 수 있다.

 지정 의료기관이나 보건소에서 접종할 수 있는데, 예방접종도우미 홈페이지(http://nip.kdca.go.kr)의 '예방접종 관리' 메뉴 중 '지정의료기관 찾기'에서 검색할 수 있다.

 비급여 예방접종 비용은 1회당 5만6천500~20만3천500원(작년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집계) 수준이다.

 질병청은 "사람유두종바이러스 백신은 국제적으로 효과와 안정성이 인정된 백신"이라며 "특히 올해 마지막 지원 대상인 2005년생(저소득층은 1996년생)은 놓치지 말고 예방접종을 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깜깜이' 병원평가…"'데이터 통합'으로 기준 바로 세워야"
A병원의 '의사 1인당 병상수'는 1.5명, B병원은 2.0명. 언뜻 B병원의 인력이 더 우수해 보이지만, 이는 착시일 수 있다. 현재 우리나라의 의료기관 평가 지표는 이름만 같을 뿐, 20개에 달하는 평가 제도마다 계산 방식이 제각각이기 때문이다. 이처럼 기준이 통일되지 않은 평가는 결국 국민이 내는 건강보험 재정이 진정으로 의료의 질이 높은 병원에 보상으로 가지 못하게 하는 '깜깜이 평가'라는 지적이 나왔다. 보건복지부 의뢰로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이 최근 수행한 '건강보험 성과보상 근거 마련을 위한 의료기관 평가체계 개편 기반 연구'보고서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파편화된 현재의 평가 방식을 버리고 '표준화된 원자료(raw data)'를 기반으로 한 통합 평가체계 구축을 시급한 과제로 제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현재 국내 의료기관은 상급종합병원 지정, 의료 질 평가, 적정성 평가 등 20개의 각기 다른 평가를 받고 있으며, 여기에 사용되는 지표만 1천개가 넘는다. 이로 인해 병원들은 유사한 자료를 평가 기관마다 다른 양식으로 반복 제출해야 하는 행정 낭비에 시달리고 있다. 하지만 더 큰 문제는 평가 결과의 신뢰성이다. 보고서는 평가지표 이름이 동일하거나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국립산림과학원 '산양삼 추출물, 근력개선 효과' 확인…특허출원
국내 대표적인 숲푸드인 산양삼 추출물이 근력 개선에 효과가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은 최근 특별관리 임산물인 산양삼에 대한 기능성 평가 연구를 수행한 결과 산양삼 추출물이 근력 개선에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했다. 이번 연구는 산양삼 추출물을 활용해 근위축증과 근감소증 등 다양한 근육질환을 효과적으로 예방하고 치료할 수 있는 천연물 식의약 소재로서의 잠재적 가능성을 입증하기 위해 수행됐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산양삼 추출물의 처리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근육세포 생성을 촉진하고, 근위축증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양삼은 철저한 생산관리를 통해 농약과 화학비료 사용이 금지되며, 품질검사를 통과해 합격증을 받은 제품만 유통이 가능하다. 엄격한 관리 기준 덕분에 안심하고 섭취할 수 있어 우리나라 대표 숲푸드로 주목받고 있다.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약용자원연구소는 이번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최근 특허를 출원했다. 앞으로 기술이전을 통해 산양삼 추출물의 산업화를 적극 지원할 계획이다. 희문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약용자원연구소장은 "그린 바이오산업 육성과 더불어 산양삼의 다양한 약리 효능을 밝혀 산업계와 국민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