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호황 끝…화이자, 백신·치료제 매출 지난해 70조원→올해 26조원 예상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과 치료제 개발로 기록적인 호황을 누렸던 미국의 제약사 화이자가 올해를 기점으로 상황이 달라질 것이라는 자체 분석을 내놨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31일(현지시간) 화이자가 이날 주주들에게 올해 백신과 치료제 등 코로나19 관련 매출 예상액으로 215억 달러(약 26조5천억 원)를 제시했다고 보도했다.

 이는 코로나19와 관련해 지난해 기록한 매출 567억 달러(약 70조 원)의 절반에도 못 미치는 액수다.

 이에 따라 지난해 1천억 달러(약 123조6천억 원)를 넘겼던 화이자의 전체 매출도 올해는 670억~710억 달러(약 82조8천억~87조7천억 원)로 급감할 것으로 전망된다.

 화이자는 독일 바이오엔테크와 함께 개발한 메신저 리보핵산(mRNA) 백신과 코로나19 치료제 팍스로비드로 시장을 주도했다.

 그러나 오는 5월 코로나19에 대응하기 위한 미국의 공중보건 비상사태가 종료될 경우 매출에도 상당한 영향이 있을 전망이다.

 3년 전 미국 정부는 공중보건 비상사태를 선포한 뒤 코로나19 검사와 백신, 치료제 비용을 부담했지만, 비상사태가 종료되면 이 비용은 환자 개인이 내야 한다.

 화이자는 미국 정부와의 계약이 끝나고 상업적 유통이 시작될 경우 백신 1회 접종 가격을 110~130달러(약 13만6천~16만1천 원)로 올릴 계획이다.

 다만 다른 감염병 백신처럼 화이자가 직접 병원과 약국에 백신을 유통할 경우 백신 수요도 줄어들 것이라는 게 일반적인 분석이다.

 코로나19와 관련한 매출은 꾸준하게 이어지더라도, 지난 2년간 이어진 호황과는 다른 양상을 보일 것이라는 것이다.

 올해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화이자의 주가는 15%가량 하락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한 모금쯤이야?…어릴 때 술 접하면 알코올 사용장애 위험 4배↑
15세 이전에 술을 처음 마신 사람은 성인이 된 후에 음주를 시작한 사람보다 알코올 중독 등 음주 관련 문제를 겪을 확률이 4배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술에 대해 관대한 주변 어른의 태도와 인식은 어린이의 음주 시기를 앞당길 수 있기 때문에 가급적 어린이 앞에선 술을 마시지 말고, 어린이에게는 소량의 술도 권하지 말아야 한다. 한국건강증진개발원과 국립암센터는 최근 이런 연구 결과를 담은 '어린이·청소년 음주 예방 가이드라인'을 발간했다. 우리나라는 어른과 함께라면 미성년자라도 술 한잔 정도는 마셔도 괜찮다고 생각하는 분위기가 있다.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실제로 우리나라 중·고등학생 3명 중 1명은 부모나 친척 등 주변 어른으로부터 술을 권유받은 적이 있었다. '한 잔쯤은 괜찮다'라며 가볍게 생각할 수도 있지만, 어린 나이에 술을 조금이라도 마셔본 아이는 조기에 음주에 빠지거나 성인이 되기 전부터 만취할 정도로 술을 마실 위험이 크다. 청소년건강행태조사를 보면 작년 기준 우리나라 중·고등학생 3명 중 1명은 술을 마셔본 적이 있었고, 최근 한 달 이내 술을 마신 학생 4명 중 1명은 초등학교 또는 그 이전에 처음 술을 접했다고 답했다. 이런 습관은 성인이 된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