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울증 치료 새로운 실마리 찾았다…신약 개발에 중요한 역할

 지스트(광주과학기술원)와 미국 칼텍(캘리포니아공과대) 공동연구팀이 새로운 우울증 치료 효능물질 개발에 성공했다.   

 4일 지스트에 따르면 생명과학부 김용철 교수 연구팀이 미국 칼텍 윌리엄 고다드 교수 연구팀과 함께 우울증 치료제의 실마리가 될 'KOR β-아레스틴 역작용제'를 개발했다.

 KOR(카파 오피오이드 수용체:Kappa Opioid Receptor)은 신경계에서의 진통작용 및 우울증 등과 연관된 다양한 신호전달 과정을 조절하는 수용체 중 하나다.

 스트레스나 불쾌한 자극에 장기간 노출되면 KOR 시스템이 과도하게 활성화돼 우울증 등 다양한 정신질환을 유발할 수 있다.

 연구팀은 최적화된 화합물의 설계 및 합성으로 강력하고 선택적으로 KOR의 활성도를 낮추는 역작용제를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이 역작용제는 수 나노몰(9.33 nM) 수준의 저농도 투여로도 KOR과 β-아레스틴의 결합을 현저하게 억제함으로써 KOR의 활성도를 크게 낮출 수 있음이 확인됐다.

 연구성과는 의약화학 분야의 권위 있는 국제학술지인 '저널 오브 메디시널 케미스트리(Journal of Medicinal Chemistry)'에 4월 13일 온라인으로 게재됐다.

 김용철 교수는 "현재 사용되는 우울증 치료제를 보완할 신약을 개발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긴 연휴에 아이 열나면?…부모가 꼭 알아야 할 대처요령
올해 추석 연휴는 개천절과 임시공휴일, 한글날이 이어지면서 무려 1주일의 황금연휴가 됐다. 가족과 함께 오랜만에 여유를 만끽할 기회지만, 어린 자녀를 둔 부모라면 긴 연휴가 마냥 반갑지만은 않다. 낯선 지역을 방문하거나 문을 여는 병원을 찾기 어려운 상황에서 아이가 갑자기 열이라도 나면 당황하기 쉽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이런 때일수록 불안해하기보다 차분하게 아이의 상태를 살피고, 연휴 전 미리 방문할 지역의 응급 의료기관을 확인해두는 게 중요하다고 조언한다. ◇ 아이 발열은 정상 면역반응…"잘 먹고 잘 자면 해열제 불필요" 발열은 바이러스나 세균이 몸에 침투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정상적인 면역반응으로, 체온이 38도 이상일 때를 말한다. 39∼40도 이상이면 고열로 분류된다. 발열 자체가 곧 위험 신호는 아니다. 아이가 열이 있으면서도 평소처럼 잘 먹고, 잘 놀고, 잘 자는 상태라면 지켜보는 것으로 충분하다. 다만, 만성 기저질환이 있는 경우에는 열로 인해 질환이 더 악화할 수 있는 만큼 해열제를 먹여야 한다. 발열 후에는 아이의 전신 상태를 꼼꼼히 살피는 것이 중요하다. 기침, 가래, 천명, 쌕쌕거림 등의 증상이 동반되면 폐렴이나 모세기관지염을, 다른 증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