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먹는 염증성 장 질환 치료제로 키토산·빌리루빈 활용

생쥐모델서 망가진 장벽 복원…면역세포·장내 미생물 정상화

 한국과학기술원(KAIST) 생명과학과 전상용·조병관 교수 연구팀은 경구 투여 시 염증성 장에서 과도하게 활성화된 대식세포를 없앨 수 있는 키토산·빌리루빈 나노입자를 개발했다고 21일 밝혔다.

 대식세포는 세포 찌꺼기·이물질·미생물·암세포 등을 집어삼켜 분해하는 백혈구의 한 유형으로, 인체 면역을 담당하지만 과도하게 활성화되는 등 이상이 생기면 질병을 불러올 수 있다.

 헤모글로빈이 분해될 때 나오는 빌리루빈은 항염증성 효과가 탁월해 약물로 개발하려는 시도가 지속되고 있지만, 물에 잘 녹지 않는 특성 때문에 임상 단계에서 직접적인 활용이 어렵다.

 연구팀은 빌리루빈을 체내, 특히 경구투여로 전달할 수 있도록 점막부착성과 수용성 성질을 동시에 지니는 저분자량 수용성 키토산(LMWC)과 결합해 키토산·빌리루빈 나노입자(LMWC-BRNPs)를 합성했다.

 생쥐 모델 실험 결과 키토산·빌리루빈 나노입자는 기존 염증성 장 질환 치료제로 사용되는 비스테로이드 계열 항염증(NSAID) 약물 가운데 하나인 아미노살리실리산(5-ASA) 보다 탁월한 장 기 능 정상화 효과를 보였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기존 경구용 치료제보다 점막 부착성이 강하고, 망가진 장내 면역 항상성을 되돌리는 효능도 보였다.

 장내 흡수 시 염증성 박테리아 중 하나인 튜리시박터의 증식을 억제하고, 세 가지 핵심 유산균인 서터렐라·오실로스피라·락토바실루스 수를 유지하는 효능도 확인됐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긴 연휴에 아이 열나면?…부모가 꼭 알아야 할 대처요령
올해 추석 연휴는 개천절과 임시공휴일, 한글날이 이어지면서 무려 1주일의 황금연휴가 됐다. 가족과 함께 오랜만에 여유를 만끽할 기회지만, 어린 자녀를 둔 부모라면 긴 연휴가 마냥 반갑지만은 않다. 낯선 지역을 방문하거나 문을 여는 병원을 찾기 어려운 상황에서 아이가 갑자기 열이라도 나면 당황하기 쉽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이런 때일수록 불안해하기보다 차분하게 아이의 상태를 살피고, 연휴 전 미리 방문할 지역의 응급 의료기관을 확인해두는 게 중요하다고 조언한다. ◇ 아이 발열은 정상 면역반응…"잘 먹고 잘 자면 해열제 불필요" 발열은 바이러스나 세균이 몸에 침투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정상적인 면역반응으로, 체온이 38도 이상일 때를 말한다. 39∼40도 이상이면 고열로 분류된다. 발열 자체가 곧 위험 신호는 아니다. 아이가 열이 있으면서도 평소처럼 잘 먹고, 잘 놀고, 잘 자는 상태라면 지켜보는 것으로 충분하다. 다만, 만성 기저질환이 있는 경우에는 열로 인해 질환이 더 악화할 수 있는 만큼 해열제를 먹여야 한다. 발열 후에는 아이의 전신 상태를 꼼꼼히 살피는 것이 중요하다. 기침, 가래, 천명, 쌕쌕거림 등의 증상이 동반되면 폐렴이나 모세기관지염을, 다른 증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