젊은 의사 줄고 고령화 가속…10년새 70대 2배로 늘어

30대 이하 필수의료 전문의 24% 줄어…신현영 의원실 분석

 외과, 흉부외과, 산부인과, 소아청소년과 등 주요 필수과목 전문의 중 40대 이하 연령대는 줄고 50대 이상은 큰 폭으로 증가하는 고령화가 가속하고 있다.

 26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신현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보건복지부로부터 제출받아 분석한 주요 필수과목 전문의의 최근 10년간 연령대 증감 현황에 따르면, 70대가 2013년 686명에서 지난해 1천621명으로 136.3% 증가했다.

 60대는 1천960명에서 3천656명으로 86.5%, 50대는 4천450명에서 6천34명으로 35.6% 각각 늘었다.

 이처럼 50대 이상 필수과목 전문의는 10년 전보다 큰 폭으로 증가한 반면, 40대 이하는 감소했다.

 40대는 5천961명에서 5천604명으로 6.0%, 30대 이하는 3천988명에서 3천24명으로 24.2% 줄었다.

최근 10년간 주요 필수과목 전문의 연령대 증감 현황

 필수과목 전공 기피 현상으로 인해 젊은 전문의가 배출되지 않는 상황이 연령대 추이 변화로 확인된 것이다.

 과목별로 보면 외과 전문의 중 70대 이상이 2013년 326명에서 지난해 625명으로 91.7% 증가한 반면, 30대 이하는 1천295명에서 898명으로 21.9% 감소했다.

 흉부외과는 70대 이상 전문의가 8명에서 54명으로 575% 늘고, 30대 이하는 219명에서 148명으로 31.8% 줄었다.

 산부인과도 70대 이상이 219명에서 568명으로 증가폭이 167.6%였고, 같은 기간 30대 이하는 1천72명에서 727명으로 32.3% 감소했다.

 소아청소년과의 경우 70대 이상이 133명에서 374명으로 181.2% 증가했고, 30대 이하는 1천400명에서 1천228명으로 12.3% 감소했다.

 신현영 의원은 "이제는 열악한 현실에서 필수의료를 지키라고 '착한 의사'에 기대는 것이 아니라 국가가 안정적인 시스템을 갖춰 필수의료와 의료체계를 지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긴 연휴에 아이 열나면?…부모가 꼭 알아야 할 대처요령
올해 추석 연휴는 개천절과 임시공휴일, 한글날이 이어지면서 무려 1주일의 황금연휴가 됐다. 가족과 함께 오랜만에 여유를 만끽할 기회지만, 어린 자녀를 둔 부모라면 긴 연휴가 마냥 반갑지만은 않다. 낯선 지역을 방문하거나 문을 여는 병원을 찾기 어려운 상황에서 아이가 갑자기 열이라도 나면 당황하기 쉽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이런 때일수록 불안해하기보다 차분하게 아이의 상태를 살피고, 연휴 전 미리 방문할 지역의 응급 의료기관을 확인해두는 게 중요하다고 조언한다. ◇ 아이 발열은 정상 면역반응…"잘 먹고 잘 자면 해열제 불필요" 발열은 바이러스나 세균이 몸에 침투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정상적인 면역반응으로, 체온이 38도 이상일 때를 말한다. 39∼40도 이상이면 고열로 분류된다. 발열 자체가 곧 위험 신호는 아니다. 아이가 열이 있으면서도 평소처럼 잘 먹고, 잘 놀고, 잘 자는 상태라면 지켜보는 것으로 충분하다. 다만, 만성 기저질환이 있는 경우에는 열로 인해 질환이 더 악화할 수 있는 만큼 해열제를 먹여야 한다. 발열 후에는 아이의 전신 상태를 꼼꼼히 살피는 것이 중요하다. 기침, 가래, 천명, 쌕쌕거림 등의 증상이 동반되면 폐렴이나 모세기관지염을, 다른 증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