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뇌혈관질환, 권역별 의사 네트워크로 골든타임 내 치료"

2차 종합계획…"전문의들 소통해 환자 이송 병원 결정"
'응급환자 적정시간 병원 도착' 10%p 상승 목표

 급성심근경색이나 뇌출혈, 뇌경색 등 중증·응급 심뇌혈관질환자가 골든타임 내 적절한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정부가 권역별 의사 네트워크를 구축한다.

 보건복지부는 내년 1월부터 심뇌혈관질환 응급환자가 적시에 필요한 진료와 수술 등을 받을 수 있도록 권역별 전문의 네트워크 시범사업을 실시한다고 31일 밝혔다.

 이번 사업은 제2차 심뇌혈관질환관리 종합계획(2023∼2027)의 일환이다. 정부는 우리나라 사망원인 2위인 심장질환과 4위 뇌혈관질환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5년마다 종합계획을 수립하고 있다.

 지난 1차 종합계획(2018∼2022)은 예방관리 대책 위주로 마련돼 중증·응급 진료체계 지원에는 한계가 있었다는 지적이 나왔다.

"심뇌혈관질환, 권역별 의사 네트워크로 골든타임 내 치료"(종합) - 2

 심근경색 응급환자가 골든타임 내 응급의료기관에 도착할 확률은 작년 기준 48%, 뇌졸중은 52%에 불과하다.

 정부는 권역 내 전문의들이 직접 소통해 환자를 치료할 수 있는 병원을 신속하게 정할 수 있도록 인적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2027년까지 응급환자가 적정 시간 내 병원에 도착할 확률을 심근경색 58%, 뇌졸중 62% 등 10%포인트씩 올리겠다고 밝혔다.

 김한숙 복지부 질병정책과장은 "지역 의료 인프라에 따라 이송 시간이 다를 수 있겠지만, 국제적 골든타임 기준인 증상 발생 후 60분 안에 병원에 도착하는 비율을 높이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심뇌혈관질환, 권역별 의사 네트워크로 골든타임 내 치료"(종합) - 3

 네트워크는 골든타임 내 환자를 이송할 수 있는 거리에 있는 서로 다른 병원 소속 심뇌혈관질환 전문의 등 최소 7인으로 구성된다.

 네트워크 운영에 필요한 송수신비, 환자 이송 경로설정 수당 등의 비용은 정부가 사전에 100% 보상하고, 운영 성과에 따라 사전 보상비의 최대 40%까지 추가로 지급한다.

 네트워크가 제대로 운영되지 않거나 운영 비용이 다른 용도로 쓰일 경우 해당 네트워크는 사업 대상에서 탈락한다.

 박민수 복지부 제2차관은 "지금도 심뇌혈관질환 전문의들이 사적 네트워크를 통해 환자 발생에 대응하고 있는데, 이를 공식적인 제도와 정책으로 지원하겠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복지부는 산하기관인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을 통해 이 네트워크 사업을 관리할 예정이다.

 정부는 이와 함께 현재 14곳에 지정 운영 중인 권역 심뇌혈관질환센터를 2027년까지 약 24곳으로 확대해 전국 모든 진료권에 대응체계를 구축하겠다고도 밝혔다.

 환자와 가족이 응급증상을 빠르게 인지하고 대응하는 것이 중요한 만큼, 포털 사이트와 유튜브 등을 통해 국민이 심뇌혈관질환 정보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교육과 홍보도 강화할 계획이다.

 박 차관은 "심뇌혈관질환은 필수의료 중에서도 매우 중요한 분야로, 종합계획 성과가 또 다른 필수의료 분야의 문제 해결에 대안이 될 수 있게 하겠다"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긴 연휴에 아이 열나면?…부모가 꼭 알아야 할 대처요령
올해 추석 연휴는 개천절과 임시공휴일, 한글날이 이어지면서 무려 1주일의 황금연휴가 됐다. 가족과 함께 오랜만에 여유를 만끽할 기회지만, 어린 자녀를 둔 부모라면 긴 연휴가 마냥 반갑지만은 않다. 낯선 지역을 방문하거나 문을 여는 병원을 찾기 어려운 상황에서 아이가 갑자기 열이라도 나면 당황하기 쉽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이런 때일수록 불안해하기보다 차분하게 아이의 상태를 살피고, 연휴 전 미리 방문할 지역의 응급 의료기관을 확인해두는 게 중요하다고 조언한다. ◇ 아이 발열은 정상 면역반응…"잘 먹고 잘 자면 해열제 불필요" 발열은 바이러스나 세균이 몸에 침투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정상적인 면역반응으로, 체온이 38도 이상일 때를 말한다. 39∼40도 이상이면 고열로 분류된다. 발열 자체가 곧 위험 신호는 아니다. 아이가 열이 있으면서도 평소처럼 잘 먹고, 잘 놀고, 잘 자는 상태라면 지켜보는 것으로 충분하다. 다만, 만성 기저질환이 있는 경우에는 열로 인해 질환이 더 악화할 수 있는 만큼 해열제를 먹여야 한다. 발열 후에는 아이의 전신 상태를 꼼꼼히 살피는 것이 중요하다. 기침, 가래, 천명, 쌕쌕거림 등의 증상이 동반되면 폐렴이나 모세기관지염을, 다른 증상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