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반기 전공의도 필수의료 기피 심각…소아과는 4명만 지원

143명 모집에 4명 지원…심장혈관 흉부외과는 1명만
상반기 정원 미달에 추가 모집에도 인원 못 채워

  올해 하반기 전공의 모집에서도 필수의료 과목 지원율이 매우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18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이종성 국민의힘 의원이 낸 전국 96개 수련병원 '2023년도 하반기 과목별 전공의 지원율' 자료에 따르면 소아청소년과 지원율은 2.8%, 심장혈관흉부외과 3.3%, 외과 6.9%, 산부인과 7.7%, 응급의학과 7.5% 등이었다.

 하반기 전공의 모집은 상반기 모집에서 정원이 미달했거나 중간에 수련 과정을 이탈한 인원이 있어 결원을 채우기 위해 하는 추가 모집 개념이다.

 올해 하반기 소아청소년과는 모집 인원이 143명인데 4명이 지원하는 데 그쳤고, 심장혈관흉부외과도 30명 모집에 1명만 지원했다.

 이와 달리 인기 과목인 재활의학과는 7명 모집에 27명이 몰려 지원율 385.7%로 가장 높았고, 정형외과는 9명 모집에 32명이 지원해 지원율 355.6%였다.

 성형외과 지원율은 320.0%, 정신건강의학과 250.0% 등 인기 과목들은 모두 지원율 100%를 웃돌았다.

 인기 진료과목들은 상반기에 전공의를 채웠기 때문에 하반기 추가 모집이 적은데도 지원율이 매우 높고, 필수의료 과목은 상반기 미달 현상이 하반기에도 해소되지 못한 것이다.

 이종성 의원은 "상반기에 정부가 필수의료 관련 대책들을 연이어 발표하는 등 다양한 노력을 했는데도 하반기에 필수의료 과목 전공의 기피 현상이 전혀 나아지지 않았다"며 "땜질식 대책으로는 필수의료 분야로 젊은 의사들을 유인하는 데 한계가 있어 더욱 과감한 대책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 의원은 전공의 수련 보조수당 재도입, 의료사고 형사책임 부담 완화 등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조규홍 보건복지부 장관은 이날 국회 보건복지위원회에서 출석해 이러한 이 의원의 지적에 "지역 및 진료 과목 간 불균형은 어느 하나의 문제라기보다는 구조적 문제가 누적된 결과라고 본다"며 개선을 계속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긴 연휴에 아이 열나면?…부모가 꼭 알아야 할 대처요령
올해 추석 연휴는 개천절과 임시공휴일, 한글날이 이어지면서 무려 1주일의 황금연휴가 됐다. 가족과 함께 오랜만에 여유를 만끽할 기회지만, 어린 자녀를 둔 부모라면 긴 연휴가 마냥 반갑지만은 않다. 낯선 지역을 방문하거나 문을 여는 병원을 찾기 어려운 상황에서 아이가 갑자기 열이라도 나면 당황하기 쉽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이런 때일수록 불안해하기보다 차분하게 아이의 상태를 살피고, 연휴 전 미리 방문할 지역의 응급 의료기관을 확인해두는 게 중요하다고 조언한다. ◇ 아이 발열은 정상 면역반응…"잘 먹고 잘 자면 해열제 불필요" 발열은 바이러스나 세균이 몸에 침투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정상적인 면역반응으로, 체온이 38도 이상일 때를 말한다. 39∼40도 이상이면 고열로 분류된다. 발열 자체가 곧 위험 신호는 아니다. 아이가 열이 있으면서도 평소처럼 잘 먹고, 잘 놀고, 잘 자는 상태라면 지켜보는 것으로 충분하다. 다만, 만성 기저질환이 있는 경우에는 열로 인해 질환이 더 악화할 수 있는 만큼 해열제를 먹여야 한다. 발열 후에는 아이의 전신 상태를 꼼꼼히 살피는 것이 중요하다. 기침, 가래, 천명, 쌕쌕거림 등의 증상이 동반되면 폐렴이나 모세기관지염을, 다른 증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