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속 '유해 화학물질', 고성능 센서로 즉석 검출"

美 연구팀 "코로나19 신속검사 방식 PFAS 센서 개발…민감도 향상 필요"

 식품 포장과 조리기구 등 다양한 소비재에 사용되는 물질로 잘 분해되지 않아 '영원한 화학물질'로 불리는 과불화화합물(PFAS)에 대한 우려가 커지는 가운데 식수 속 미량의 PFAS를 즉석에서 검출할 수 있는 고성능 센서가 개발됐다.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티머시 스웨거 교수팀은 12일 과학 저널 미국립과학원회보(PNAS)에서 코로나19 신속 검사 및 임신 테스트 등에 사용되는 것과 동일한 방식인 측면 흐름 기술을 기반으로 PFAS를 빠르고 값싸게 검사할 수 있는 새로운 센서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1950년대부터 코팅제 첨가물 등으로 널리 사용돼온 PFAS는 달라붙지 않는 조리기구, 식품 포장재, 발수성 의류, 얼룩방지 직물, 화장품 용기 등 많은 소비자 제품에 사용된다. 하지만 암 유발, 생식 기능 악영향, 내분비계 교란 등 건강을 위협하는 것으로 밝혀지면서 규제 움직임이 강해지고 있다.

 연구팀은 PFAS는 공장, 하수 처리장, 매립지 등에서 물, 공기, 토양으로 방출될 수 있고 미국 내 50개 주 식수원에서 모두 발견됐다며 미 환경보호청(EPA)은 2023년 과불화옥탄산(PFOA)과 과불화부탄산(PBFA)의 식수 내 함량을 각각 4ppt(4ng/ℓ)와 1ppt로 제한하는 등 6가지 PFAS 규제 지침을 발표했다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이 연구에서 더 저렴하고 빠른 PFAS 검사 방법을 개발하기 위해 코로나19 신속 검사나 임신 테스트 등에 사용되는 것과 같은 방식인 측면 흐름(lateral flow) 기술을 기반의 새로운 PFAS 센서를 설계했다.

 검사띠 부분에 항체를 코팅하는 코로나19 신속 검사와 달리 '폴리아닐린'이라는 고분자를 내장해 물 샘플에 양성자 물질이 들어 있으면 전기적 특성이 반도체에서 전도체로 바뀌게 했다.

 폴리아닐린을 니트로셀룰로스 종이 위에 증착하고 그 위에 놓인 물 한 방울에서 PFAS 같은 불화탄소를 끌어낼 수 있는 계면활성제를 코팅, 물속에 PFAS가 있을 경우 PFAS의 양성자가 폴리아닐린으로 흡수돼 전도체로 바뀌면서 검사띠의 전기 저항이 감소하는 원리다.

 연구팀은 이 방식은 현재로는 가장 유해한 두 가지 PFAS인 PFOA와 PBFA 등 산성 PFAS에만 적용할 수 있다며 검사띠의 저항 변화를 측정해 물속에 PFAS가 얼마나 존재하는지 정량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이 센서는 검출 민감도가 PBFA는 200ppt, PFOA는 400ppt 정도로 EPA의 PFAS 규제 기준에는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현재 폴리아닐린 막을 통해 약 1ℓ의 물을 걸러낼 수 있는 더 큰 규모의 장치를 개발하고 있다며 이를 통해 감도를 100배 이상 높여 EPA의 규제 기준을 충족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스웨거 교수는 "PFAS는 한번 방출되면 오랫동안 남아 있기 때문에 이를 감지하고 제거하는 기술이 필요하다"며 "이번에 개발한 장치가 현재의 PFAS 검출 방법보다 더 저렴하고 신속한 대안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출처 : PNAS, Timothy Swager et al., 'Resistivity detection of perfluoroalkyl substances with fluorous polyaniline in an electrical lateral flow sensor', http://dx.doi.org/10.1073/pnas.2317300121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질병청 "新 탄저백신, 기존 독소·부작용 없애…올해 비축 시작"
질병관리청은 국내 개발 신규 탄저 백신이 기존 백신과 달리 독소를 포함하지 않아 안전성이 입증됐다며, 올해 내로 생산과 비축을 시작할 것이라고 14일 밝혔다. 질병청은 ㈜녹십자와 협력해 국내 기술로 세계 최초의 유전자 재조합 단백질 방식 흡착 탄저 백신(배리트락스주)을 개발했고 해당 품목은 지난 8일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허가를 받았다. 정윤석 질병청 고위험병원체분석과장은 이날 기자단 대상 브리핑에서 신규 백신에 대해 "기존 백신과 가장 큰 차이점은 백신 주원료인 탄저균의 방어 항원 생산 방식"이라며 "기존에는 탄저균 배양액을 정제하다 보니 미량의 독소가 포함돼 부작용 가능성이 있었지만, 이번에는 독소를 생산하지 않는 균주를 사용, 방어 항원만을 순수하게 만들어냈다"고 설명했다. 질병청에 따르면 이렇게 탄저균의 방어 항원 단백질을 유전자 재조합 기술로 제조, 의약품으로 상용화한 사례는 세계 최초다. 흡입 탄저의 경우 치명률이 97%에 달하는 탄저병은 법정 제1급 감염병으로, 그 균은 생물테러에 악용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알려졌다. 김갑정 질병청 진단분석국장은 "1997년 기초 연구에 착수해 30년 가까이 준비한 노력이 결실을 보았다"며 "전량 수입에 의존하던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주말에 몰아서 하는 운동, 건강증진 효과는?…"운동량 충분하면 OK"
운동을 매일 하지 않고 주말에 몰아서 하더라도 당뇨병 유병률이 낮아지는 등 건강 증진 효과는 유사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14일 의료계에 따르면 경희의료원 디지털헬스센터 연동건 교수 연구팀은 질병관리청의 지역사회건강조사(2009∼2022년) 데이터를 토대로 성인 242만8천448만명의 당뇨병과 신체활동의 연관성을 분석해 이런 사실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운동량만 충분하다면 운동 빈도 자체는 큰 영향이 없다는 걸 확인한 것으로, 평일에 규칙적으로 하든 주말에 집중적으로 하든 적절한 운동량만 지킨다면 당뇨병 유병률 감소 효과를 낼 수 있다는 의미다. 연구 결과 세계보건기구(WHO)가 권고하는 '일주일에 75∼150분 중강도 또는 75분 이상의 고강도 운동'을 하는 집단의 당뇨병 유병률은 신체활동을 하지 않는 집단에 비해 16%가량 낮았다. 다만 이 수준까지 운동량이 증가하면 당뇨병 유병률이 떨어지지만, 그 이상으로 운동한다고 해서 추가적인 효과가 크게 나타나지는 않았다. 중강도 운동과 고강도 운동을 WHO 권고량 범위 내에서 적절히 병행하는 게 당뇨병 유병률 감소와 가장 크게 연관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주말에 운동을 집중적으로 몰아서 하는 집단과 평일에 규칙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