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 기능 임상연구' 김성기 IBS단장 골드메달 수상…자기공명 분야서 아시아 최초

  뇌 기능 임상연구 선구자로 불리는 김성기 기초과학연구원(IBS) 단장이 관련 학회에서 최고 영예 수상자로 선정됐다.

 IBS는 김성기 뇌과학 이미징 연구단이 MRI 분야 권위 있는 학술대회인 '국제자기공명의과학회'(ISMRM) 자기공명(MR) 분야에서 아시아 최초로 골드메달을 수상했다고 7일 밝혔다.

 ISMRM은 매년 자기공명·의과학 분야에서 주요 연구 업적을 이룬 우수 연구자 2∼4명을 선정해 골드메달을 수여한다.

 김 단장은 인간과 동물 연구를 통해 '기능적 MRI'(fMRI·혈류와 관련된 변화를 감지해 뇌 활동을 측정하는 기술) 신호의 기본적인 생리학적 기초를 이해하는 데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미국 피츠버그대에서 '폴 로터버 석좌교수'를 지내다 국내 뇌과학 발전에 기여하기 위해 귀국, 2013년 IBS에 합류했다.

 뇌세포가 활성화되면 에너지 소모에 대응해 혈액 속 산소량이 증가하는데, 김 단장은 이런 뇌세포에서 일어나는 현상과 MRI에 찍히는 신호의 상관관계를 밝혀내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그 외 골드메달 수상자로는 레온 악셀 미국 뉴욕대 의과대학 교수, 왕 이 미국 코넬대 의과대학 교수 등이 선정됐다.

 김 단장은 "IBS 뇌과학 이미징 연구단은 세계 최고 수준의 사람용·동물용 초고자장 MRI 시설을 보유하고 있다"며 "최고의 MRI 연구 시설인 'IBS-성균관대 N 센터'가 만들어지고 나서 이 상을 받게 돼 더욱 뜻깊다"고 소감을 전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의사 엄융의의 'K-건강법'…무엇을, 어떻게 먹을까
이전 칼럼에 언급한 대로 씨앗과 채소, 과일 등의 신선 식품을 가공하지 않은 채로 먹는 것이 대부분의 장내세균이 좋아하는 식생활이다. 일례로 채소가 몸에 좋다고 하는데 구체적으로 왜 그럴까? 채소는 비타민 등 우리 몸이 꼭 필요로 하는 영양소를 공급하고, 섬유질이 많아 대장운동을 촉진한다. 이게 결국 장내세균이 살아가기 좋은 환경을 만든다. 장내세균이 좋아하는 환경을 위해 되도록 첨가물이 적고 원래 식자재의 형태를 알아볼 수 있는 음식을 먹는 것이 좋다. 유럽 사람들이 엄청난 예산을 들여서 장내세균을 조사했다. 현대적 기법으로 장내세균 분포를 조사해본 결과 사람의 장내세균 분포가 서너 가지로 나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장내세균의 패턴에 따른 체질, 수명, 또는 특정 질병과의 관계에 대해서도 지속해 연구하고 있다. 아직 뚜렷한 결과는 없지만 그래도 분명히 흥미로운 결과가 나올 거라고 기대한다. 인간을 네 부류로 나눈다는 관념에는 굉장히 흥미로운 구석이 있다. 동서양을 막론하고 이런 전통이 있었다. 일반적으로 혈액형을 A, B, O, AB형 네 가지로 나누고, 한의학에서도 체질에 따라 태양, 태음, 소양, 소음 네 가지로 나눈다. 또 서양의학의 선구자라 불리는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