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약처, 영·유아용 조제유·조제식 월령 구분 세분화

  앞으로 영·유아용 조제유 및 조제식의 식품 유형 분류 체계와 기준·규격이 개편된다.

 26일 식품의약품안전처(식약처)는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식품의 기준 및 규격' 고시 개정안을 행정 예고한다고 밝혔다.

 조제유와 조제식은 일반 분유와는 다른 특수영양식품으로 영·유아의 성장발육에 적합하도록 영양성분을 첨가해 모유 대용의 용도로 제조·가공한 제품이다.

 구체적으로는 월령별 성장 발달에 필요한 영양성분을 적절하게 공급하기 위해 영아전기용(0∼6개월 미만), 영아후기용(6∼12개월 미만), 유아용(12∼36개월 이하) 등 3단계로 유형 분류가 세분된다.

 농·축·수산물 안전관리를 위한 사항도 마련된다.

 농산물 안전관리 강화를 위해 피카뷰트라족스 등 2종 농약의 잔류허용기준이 강화되고, 축·수산물 안전 관리를 위해서는 안전성에 문제가 있다고 확인된 스트리키닌 등 3종이 식품 중 사용금지 물질에 추가된다.

 아울러 다양한 제품의 개발이 가능하도록 식용 근거가 확인된 붉가시나무 열매를 신규 식품 원료로 인정하고 발효식초, 주류, 간장, 소스 제조 시 착향 목적으로 사용되는 오크칩(바)의 사용범위를 모든 식품으로 확대한다.

 기존에는 일부 식품에만 오크칩(바)를 사용하도록 규정돼 그 외 식품은 관리가 어려운 오크통을 사용해 숙성·제조 과정을 거쳐야 했다.

 또 조제식류 제품 중 곰팡이독소(오크라톡신A) 오염 가능성이 높은 제품에 한해 오크라톡신A 기준을 적용하도록 개정된다.

 이는 전분질 함량이 25% 미만으로 적어 오크라톡신A의 오염 가능성이 낮은 조제식류 제품에 불필요한 규제 적용을 제외해 기준·규격을 합리적으로 개선하려는 취지하고 식약처는 설명했다.

 이번 개정안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식약처 홈페이지(www.mfds.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암 진단뿐만 아니라 치료·면역까지 유도하는 나노물질
한국표준과학연구원은 암 진단은 물론 치료, 면역 반응까지 유도하는 나노물질을 개발했다고 최근 밝혔다. 항암 치료에 쓰이는 기존 수술, 방사선 치료, 항암화학요법은 암 조직뿐만 아니라 정상 조직에까지 손상을 가한다는 부작용이 있다. 지름 1∼100(㎚·10억분의 1m) 크기 나노물질은 암세포와 병변 부위를 정밀하게 표적해 약물을 전달할 수 있어 부작용이 적으면서도 효과는 뛰어난 차세대 암 치료 플랫폼으로 주목받고 있다. 표준연 나노바이오측정그룹은 암 부위의 위치와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해 치료하고, 면역 반응 체계도 활성화할 수 있는 나노물질을 개발했다. 금 사이에 철을 넣은 나노디스크(나노 원형 형태) 형태의 삼중 층 구조로, 종양 부위에 자석을 대면 철의 자성으로 인해 나노물질을 쉽게 끌어당길 수 있도록 설계됐다. 특히 광음향 영상(조직에 레이저 빛을 쪼여 발생하는 초음파 신호를 이용해 조직 내부의 정보를 얻는 영상 기법) 기능을 탑재해 종양의 위치와 물질의 전달 과정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연구팀은 쥐 실험을 통해 종양 부위에 나노입자가 축적되는 과정을 추적, 치료에 가장 효과적인 시점이 물질을 투여한 뒤 6시간 지난 시점이라는 점을 확인했다.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