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급실 사망률 증가' 보도에 정부 "올해 사망, 작년比 3% 감소"

"경증환자 사망은 작년 대비 올해 12.5% 줄어"

  전공의가 집단 사직한 이후 응급실 사망률이 올랐다는 보도를 두고 정부가 실제로는 사망 환자 수가 소폭 감소했다고 밝혔다.

 보건복지부는 11일 응급의료 등 비상진료 대응 관련 브리핑에서 이렇게 밝혔다.

 복지부에 따르면 응급실 내원 환자 중 사망자 수는 지난해 1∼7월 2만8천123명에서 올해 같은 기간 2만7천176명으로 3.4% 감소했다.

 또 경증환자의 사망은 작년 553명에서 올해 484명으로 12.5% 줄었다.

 응급실 사망률은 전체 응급실 내원 환자 수 중 사망자 수로 산출한다.

 정 실장은 "올해 응급실 내원 환자 중 사망자 수는 거의 변동이 없는데도 사망률이 증가한 것처럼 보이는 것은 국민들의 협조 덕분에 중등증과 경증환자의 응급실 이용이 감소해 분모에 해당하는 응급실 내원 환자 수가 줄어들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통계청의 발표에 따르면 올해 2분기 사망자 수는 전년 동기보다 1.1% 증가했는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이 아니라는 게 학계의 판단"이라고 덧붙였다.

 복지부에 따르면 이달 11일 현재 전체 응급실 409곳 중 24시간 운영하는 곳은 404곳으로, 전날과 같다.

 이달 9일 기준 응급실을 내원한 전체 환자 수는 하루 평균 1만6천239명이고, 이는 평시(1만7천892명)의 91% 수준이다.

 경증과 비응급 환자는 전체 내원 환자의 약 41%인 일평균 6천665명이고, 평시 대비 80%이다.

 정 실장은 "경증환자 내원이 감소해 응급실 내원 전체 환자 숫자가 비교적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있다"고 말했다.

 이달 10일 정오 기준 전체 응급의료센터 180곳에서 27개 중증응급질환별 진료가 가능한 의료기관은 평균 102곳으로, 하루 전과 같다. 이는 평시 평균인 109곳보다 7곳보다 부족한 수준이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긴 연휴에 아이 열나면?…부모가 꼭 알아야 할 대처요령
올해 추석 연휴는 개천절과 임시공휴일, 한글날이 이어지면서 무려 1주일의 황금연휴가 됐다. 가족과 함께 오랜만에 여유를 만끽할 기회지만, 어린 자녀를 둔 부모라면 긴 연휴가 마냥 반갑지만은 않다. 낯선 지역을 방문하거나 문을 여는 병원을 찾기 어려운 상황에서 아이가 갑자기 열이라도 나면 당황하기 쉽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이런 때일수록 불안해하기보다 차분하게 아이의 상태를 살피고, 연휴 전 미리 방문할 지역의 응급 의료기관을 확인해두는 게 중요하다고 조언한다. ◇ 아이 발열은 정상 면역반응…"잘 먹고 잘 자면 해열제 불필요" 발열은 바이러스나 세균이 몸에 침투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정상적인 면역반응으로, 체온이 38도 이상일 때를 말한다. 39∼40도 이상이면 고열로 분류된다. 발열 자체가 곧 위험 신호는 아니다. 아이가 열이 있으면서도 평소처럼 잘 먹고, 잘 놀고, 잘 자는 상태라면 지켜보는 것으로 충분하다. 다만, 만성 기저질환이 있는 경우에는 열로 인해 질환이 더 악화할 수 있는 만큼 해열제를 먹여야 한다. 발열 후에는 아이의 전신 상태를 꼼꼼히 살피는 것이 중요하다. 기침, 가래, 천명, 쌕쌕거림 등의 증상이 동반되면 폐렴이나 모세기관지염을, 다른 증상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