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가발전' 생체흡수성 수술용 봉합사 개발…"치유속도 50%↑"

中 연구팀 "움직일 때 전하 생성-상처 부위 전기 자극, 치유 효과 높여"

  상처나 수술 부위를 꿰맬 때 사용하면 자체적으로 전기를 생산해 상처 부위를 자극, 상처가 일반 봉합사를 사용할 때보다 50% 더 빠르게 낫게 해주는 생체흡수성 수술용 봉합사가 개발됐다.

 중국 상하이 둥화대 왕훙즈 교수팀은 최근 과학 저널 네이처 커뮤니케이션(Nature Communications)에서 인체에 적합한 생분해성 고분자와 마그네슘(Mg)으로 수술용 전기자극 봉합사(BioES-suture)를 개발, 쥐 실험에서 효과를 확인했다고 밝혔다.

 부상이나 수술로 생긴 상처는 회복되는 동안 피부가 고정되도록 봉합사로 치료하는 게 일반적이다.

 봉합사는 의료 인력이 비교적 쉽게 사용할 수 있고 감염 예방 효과도 있지만 봉합 부위가 움직일 경우 치유가 늦어지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연구팀은 이 연구에서 인체에 적합하고 몸 안에서 분해돼 흡수되는 고분자인 폴리락틱코클리콜산(PLGA)와 폴리카프로락톤(PCL), 마그네슘으로 다층 동축 구조(multi-layer coaxial structure)의 전기자극 봉합사를 만들었다.

 이 봉합사로 상처를 꿰매면 피부가 움직일 때마다 실이 늘어나고 줄면서 전하가 생성돼 상처 부위에 자동으로 전기자극이 가해진다.

 연구팀이 쥐의 뒷다리에 상처를 내고 이 전기자극 봉합사로 꿰맨 뒤 관찰한 결과 상처 치유 속도가 일반 봉합사를 사용한 경우보다 50%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봉합 시점의 상처 면적이 원래 상처의 69% 수준이었으나 전기자극 봉합사로 봉합하고 24시간이 지난 뒤에는 10.8% 수준으로 줄어든 반면 일반 봉합사를 사용한 대조군은 상처 면적이 원래의 32.6%로 줄어드는 데 그쳤다.

 연구팀은 전기자극 봉합사 그룹은 대조군보다 결합 조직 형성을 돕는 섬유아세포가 상처 부위로 더 빨리 이동해 치유가 촉진됐다며 전기자극 봉합사를 사용한 쥐는 상처 재생 속도가 빨라져 10일 후 거의 완치에 도달했다고 말했다.

 또 전기자극 봉합사를 사용한 경우에는 매일 상처를 소독하지 않아도 상처 부위의 박테리아 수가 낮게 유지돼 감염을 줄여주는 항균 효과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이 전기자극 봉합사가 인체에도 효과가 있는지 평가하기 위해서는 임상 시험이 필요하다며 안전성과 효과가 확인되면 기존 봉합사를 대체할 수 있는 안전하고 효과적이며 비용 효율적인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출처 : Nature Communications, Hongzhi Wang et al., 'A bioabsorbable mechanoelectric fiber as electrical stimulation suture', https://www.nature.com/articles/s41467-024-52354-x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의사 엄융의의 'K-건강법'…무엇을, 어떻게 먹을까
◇ 의학계의 화두, 장내 세균 지난 칼럼에 언급한 대로 현대인은 실질적인 영양 부족에 시달리고 있다. 따라서 영양이 풍부한 건강한 음식을 찾아 먹는 것이 중요하다. 그럼 무엇이 좋은 음식이고, 어떤 음식을 찾아 먹어야 할까? 결론은 장내세균이 좋아하는 음식을 먹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상하지 않은가. 왜 내가 아닌 장내세균이 좋아하는 음식을 먹어야 할까. 여기에 답을 하려면 우선 장내세균이 무엇이고, 장내세균이 왜 중요한가에 대해 알아야 한다. 흔히 장내세균, 즉 우리 장 속에 있는 세균이라고 하면 대장균을 떠올릴 것이다. 대장균 하면 어떤 생각이 드는가. 여름철 식중독, 설사, 구토 등을 유발하는 나쁜 세균으로 생각한다. 대장균은 흔히 위생 상태가 나쁜 곳에서 발견되는 균으로 인식된다. 하지만 이런 생각은 일부만 맞다. 어떤 음식에 대장균이 있다는 것은 본래는 동물의 대장에 있어야 할 대장균이 대변을 통해 그 음식으로 들어갔다는 말이므로 위생 상태가 좋지 않음을 뜻하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대장균은 장내세균의 극히 일부에 불과하다. 장내세균은 우리에게 엄청나게 중요한 균이다. 수십조 마리의 장내세균이 우리 몸속에서 살아가며 우리 몸의 건강과 면역기능 수행에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