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가발전' 생체흡수성 수술용 봉합사 개발…"치유속도 50%↑"

中 연구팀 "움직일 때 전하 생성-상처 부위 전기 자극, 치유 효과 높여"

  상처나 수술 부위를 꿰맬 때 사용하면 자체적으로 전기를 생산해 상처 부위를 자극, 상처가 일반 봉합사를 사용할 때보다 50% 더 빠르게 낫게 해주는 생체흡수성 수술용 봉합사가 개발됐다.

 중국 상하이 둥화대 왕훙즈 교수팀은 최근 과학 저널 네이처 커뮤니케이션(Nature Communications)에서 인체에 적합한 생분해성 고분자와 마그네슘(Mg)으로 수술용 전기자극 봉합사(BioES-suture)를 개발, 쥐 실험에서 효과를 확인했다고 밝혔다.

 부상이나 수술로 생긴 상처는 회복되는 동안 피부가 고정되도록 봉합사로 치료하는 게 일반적이다.

 봉합사는 의료 인력이 비교적 쉽게 사용할 수 있고 감염 예방 효과도 있지만 봉합 부위가 움직일 경우 치유가 늦어지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연구팀은 이 연구에서 인체에 적합하고 몸 안에서 분해돼 흡수되는 고분자인 폴리락틱코클리콜산(PLGA)와 폴리카프로락톤(PCL), 마그네슘으로 다층 동축 구조(multi-layer coaxial structure)의 전기자극 봉합사를 만들었다.

 이 봉합사로 상처를 꿰매면 피부가 움직일 때마다 실이 늘어나고 줄면서 전하가 생성돼 상처 부위에 자동으로 전기자극이 가해진다.

 연구팀이 쥐의 뒷다리에 상처를 내고 이 전기자극 봉합사로 꿰맨 뒤 관찰한 결과 상처 치유 속도가 일반 봉합사를 사용한 경우보다 50%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봉합 시점의 상처 면적이 원래 상처의 69% 수준이었으나 전기자극 봉합사로 봉합하고 24시간이 지난 뒤에는 10.8% 수준으로 줄어든 반면 일반 봉합사를 사용한 대조군은 상처 면적이 원래의 32.6%로 줄어드는 데 그쳤다.

 연구팀은 전기자극 봉합사 그룹은 대조군보다 결합 조직 형성을 돕는 섬유아세포가 상처 부위로 더 빨리 이동해 치유가 촉진됐다며 전기자극 봉합사를 사용한 쥐는 상처 재생 속도가 빨라져 10일 후 거의 완치에 도달했다고 말했다.

 또 전기자극 봉합사를 사용한 경우에는 매일 상처를 소독하지 않아도 상처 부위의 박테리아 수가 낮게 유지돼 감염을 줄여주는 항균 효과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이 전기자극 봉합사가 인체에도 효과가 있는지 평가하기 위해서는 임상 시험이 필요하다며 안전성과 효과가 확인되면 기존 봉합사를 대체할 수 있는 안전하고 효과적이며 비용 효율적인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출처 : Nature Communications, Hongzhi Wang et al., 'A bioabsorbable mechanoelectric fiber as electrical stimulation suture', https://www.nature.com/articles/s41467-024-52354-x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전립선암 방사선 치료 환자, 내달부터 치료비 부담 던다
오는 9월 1일부터 전립선암 방사선 치료의 정확도를 높이고 부작용을 줄이는 데 필수적인 '방사선치료 체내고정용 재료'에 건강보험 필수급여가 적용된다. 이에 따라 그간 비용의 50%를 짊어져야 했던 환자들의 경제적 부담이 크게 완화될 전망이다. 보건복지부는 이런 내용의 '요양급여의 적용기준 및 방법에 관한 세부사항' 일부개정안을 최근 행정 예고했다고 23일 밝혔다. 이번 개정은 해당 치료재료가 임상적 유용성과 필요성을 인정받아 건강보험정책심의위원회 심의를 통과한 데 따른 후속 조치다. '방사선치료 체내 고정용 재료'는 체외 방사선 조사 시 치료 부위의 움직임을 최소화하기 위해 직장 내에 삽입하는 일회용 재료다. 전립선은 남성의 방광 바로 아래, 직장 앞에 위치한 작은 기관이다. 해부학적으로 직장과 매우 인접해 있어, 방사선 치료 시 미세한 움직임에도 방사선이 직장에 영향을 미쳐 직장 출혈, 통증 등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다. 이 재료는 전립선과 직장 사이에 물리적 공간을 확보해 방사선이 전립선암 조직에만 정확히 조사되도록 돕는 '방어벽' 역할을 수행한다. 지금까지 해당 재료는 환자가 비용의 50%를 부담하는 '선별급여' 항목이었다. 치료 효과와 안전성을 높이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