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불 초미세먼지에 장기간 노출되면 치매 위험 증가"

美 연구팀, 캘리포니아주 산불 PM2.5 장기 노출 영향 분석

 세계적으로 기후변화로 인한 산불이 크게 증가하는 가운데 산불로 발생한 초미세먼지(PM2.5)에 장기간 노출될 경우 치매 발생 위험이 증가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워싱턴대 공중보건대학원 조앤 케이시 교수팀은 1일 미국의학협회 학술지 JAMA 신경학(JAMA Neurology)에서 캘리포니아주 60세 이상 120여만명의 전자 건강기록(EHR)을 이용해 산불 PM2.5 노출과 치매의 관계를 분석, 이런 연관성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이 결과는 산불 PM2.5 장기간 노출과 치매 발생 간 뚜렷한 연관성을 보여준다며 기후변화가 심화할수록 산불 PM2.5 노출을 줄이는 개입이 잠재적으로 치매 위험과 건강 불평등을 줄이는 전략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입자 크기가 2.5㎛ 이하인 PM2.5에 대한 장기간 노출은 치매 위험 요인으로 인식되고 있지만, 점점 더 빈번해지고 있는 산불로 인한 PM2.5가 치매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밝혀진 것이 적다고 연구팀은 지적했다.

 조사 구역별 3년 평균 대기 중 산불 PM2.5와 비산불 PM2.5를 모니터링과 원격 측정 데이터, 통계 기법으로 추정하고, PM2.5 노출과 관련된 치매 위험을 연령, 성별, 인종, 결혼, 흡연 등 다른 치매 관련 요인들을 반영한 모델을 통해 조사했다.

 연구 모집단은 여성이 64만4천766명(53.0%)이었고, 인종은 비히스패닉계 백인 60만1천334명(49.0%), 히스패닉계 31만9천521명(26.0%)이었다. 추적관찰 기간에 치매 진단을 받은 사람은 8만993명(6.6%)으로 집계됐다.

 분석 결과 3년 평균 산불 PM2.5 노출량이 1㎍/㎥ 증가할 경우 치매 진단 확률은 18%나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비산불 PM2.5 노출이 1㎍/㎥ 증가하면 치매 진단 확률은 1%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또 산불 PM2.5 노출과 치매 위험 증가 간 연관성은 연구 참여 시점의 나이가 75세 이상인 경우보다 이하인 사람에서 더 컸으며, 소수 인종 그룹과 빈곤 정도가 심한 지역 거주자에서 연관성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이 결과는 산불 PM2.5에 대한 장기간 노출이 치매 위험을 증가시키고, 소수 인종과 빈곤층이 더 큰 영향을 받는 것을 보여준다며 향후 대기오염 연구에서는 취약 그룹에 대한 영향을 고려해 불평등을 완화하는 전략을 모색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 출처 : JAMA Neurology, ; Joan A. Casey et al., ' Wildfire Smoke Exposure and Incident Dementia', https://media.jamanetwork.com/embargoed-articles/?_articles=6e54d00cd3#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복잡한 과정 없이"…환자 침으로 현장서 코로나 변이 진단
국내 연구진이 주요 코로나19 바이러스 변이를 현장에서 진단하는 센서를 개발했다. 포항공대(POSTECH)는 신소재공학과 오승수 교수, 우성욱 교수, 이민종 박사팀이 아산병원 김성한 교수 연구팀과 함께 모든 코로나19 변이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개발했다고 최근 밝혔다. 코로나19와 같은 감염병 확산을 막기 위해서는 감염자를 신속하게 식별해야 한다. 그러나 바이러스 특정 부위를 인식하는 항체를 주로 활용하는 기존 진단법은 바이러스가 변이하면 제대로 인식하지 못한다는 한계가 있다. 연구팀은 이를 해결하기 위해 바이러스가 몸속 특정 수용체(ACE2)와 결합하고 변이가 일어나도 이 방식이 바뀌지 않는다는 점에 주목했다. 이를 바탕으로 ACE2 수용체를 모방한 분자 인식 물질을 개발한 뒤 휴대하기 쉬운 전기화학센서에 접목했다. 그 결과 이 센서는 오미크론을 포함한 지금까지 주요 코로나바이러스 변이를 매우 정확하게 감지했다. 기존 PCR 검사나 신속 항원 검사 키트는 바이러스를 분해하는 복잡한 전처리 과정이 필요하지만 연구팀이 개발한 센서는 환자의 침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어 현장에서 검사할 수 있는 편의성이 높다. 이 연구는 분석화학 분야 국제 학술지인 '바이오센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