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한방약 가격 10.5% 급등…역대 최대폭

올초 비타민제·진통제·피부질환제 줄인상…약국·편의점 '한숨'

 작년 한방약 가격 상승률이 역대 최초로 10%를 웃돌았다.

 올해는 연초부터 비타민제와 진통제, 피부질환제 등 의약품 전반으로 가격 인상이 확산하고 있어 약국과 편의점 운영자들이 판매 위축을 우려하고 있다.

 9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작년 한방약 소비자물가지수는 124.63으로 작년 112.82보다 10.5% 급등했다.

 작년 한방약 물가 상승률은 의약품 가격 상승률 1.9%에 비해 5배를 웃도는 수준이다. 작년 소비 자물자지수 상승률 2.3%에 비해서도 4.5배 수준에 달해 전체 물가에 부담으로 작용했다.

 한방약 가격이 큰 폭으로 상승한 것은 우황 등 원재료 가격이 급등한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우황청심원 가격의 최고 70%를 차지하는 우황 가격은 2012년부터 상승세를 보였으며 작년 초에는 1년 전의 2배인 1㎏당 2억5천만원대로 치솟았다.

 일부 제약사들이 우황 가격 상승을 감당하지 못해 우황청심원 제조·판매를 중단한 점이 한방약 가격 상승을 부채질하기도 했다.

 한방약에 이어 소화제(8.3%), 피부질환제(7.8%), 감기약(5.2%), 치과구강용약(4.9%), 비타민제(3.5%), 진통제(3.4%), 위장약(3.4%), 진해거담제(2.5%) 등 대부분 의약품 가격 상승률이 작년 소비자물가지수 상승률을 웃돌았다.

 올해 들어서도 원부자재 비용 상승 추세가 이어지자 제약업체들이 연초부터 의약품 가격 인상에 나서고 있다.

 광동제약은 이달부터 비타민제인 비타500 100㎖와 180㎖ 가격을 각각 1천100원, 1천700원으로 100원씩 인상했으며 보령은 진해거담제 용각산쿨을 7~8%, 위드원바이오는 키미테를 7.9% 인상한 것으로 알려졌다.

 동아제약은 다음 달부터 약국 판매용 박카스D 공급가격을 10.9%, 일반 대리점 유통용 박카스F 공급가격을 11.1% 인상하기로 했으며 오는 4월 1일부터는 피부질환제 애크논 크림과 애크린 겔의 공급가를 14.8% 인상할 계획이다.

 또, 다음 달부터 동성제약 정로환은 10%, GC녹십자 소염진통제 탁센은 16% 인상된다.

 의약품 가격 인상이 전방위로 확산할 조짐을 보이자 수요 감소를 우려한 약국과 편의점 운영자들이 긴장하고 있다.

 한 약국 관계자는 "약국을 찾는 소비자들은 일반의약품 가격이 알던 것보다 높으면 발길을 돌리는 경향이 있다"며 "당국이 연초 의약품 가격 인상 수준을 파악해 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서울 관악구의 편의점 사장 오모(52)씨는 "물가 급등으로 즉석밥 등 필수품을 제외한 제품 수요가 크게 줄어든 상황에서 지인 방문 때 필수품이던 비타500과 박카스 수요도 위축될 것이 우려된다"며 "한번 오른 제품 가격은 원재료 가격이 내려가도 떨어지지 않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정부가 직간접적인 방식으로 통제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표] 의약품 소비자물가지수 동향(2020=100)

 

  총지수 의약품
  한방약 등락률(%)
2005 74.413 90.895 68.550  
2006 76.081 92.069 68.441 -0.2
2007 78.010 93.077 68.561 0.2
2008 81.656 94.258 70.189 2.4
2009 83.906 96.144 71.714 2.2
2010 86.373 97.477 72.690 1.4
2011 89.850 99.817 77.083 6.0
2012 91.815 97.409 79.821 3.6
2013 93.010 95.986 82.004 2.7
2014 94.196 95.933 83.214 1.5
2015 94.861 96.899 84.475 1.5
2016 95.783 96.784 85.537 1.3
2017 97.645 96.484 86.126 0.7
2018 99.086 96.577 88.506 2.8
2019 99.466 98.436 95.737 8.2
2020 100.00 100.00 100.00 4.5
2021 102.50 100.24 101.29 1.3
2022 107.72 100.47 104.85 3.5
2023 111.59 102.60 112.82 7.6
2024 114.18 104.60 124.63 10.5

 

(자료: 통계청 KOSIS)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질병청 "新 탄저백신, 기존 독소·부작용 없애…올해 비축 시작"
질병관리청은 국내 개발 신규 탄저 백신이 기존 백신과 달리 독소를 포함하지 않아 안전성이 입증됐다며, 올해 내로 생산과 비축을 시작할 것이라고 14일 밝혔다. 질병청은 ㈜녹십자와 협력해 국내 기술로 세계 최초의 유전자 재조합 단백질 방식 흡착 탄저 백신(배리트락스주)을 개발했고 해당 품목은 지난 8일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허가를 받았다. 정윤석 질병청 고위험병원체분석과장은 이날 기자단 대상 브리핑에서 신규 백신에 대해 "기존 백신과 가장 큰 차이점은 백신 주원료인 탄저균의 방어 항원 생산 방식"이라며 "기존에는 탄저균 배양액을 정제하다 보니 미량의 독소가 포함돼 부작용 가능성이 있었지만, 이번에는 독소를 생산하지 않는 균주를 사용, 방어 항원만을 순수하게 만들어냈다"고 설명했다. 질병청에 따르면 이렇게 탄저균의 방어 항원 단백질을 유전자 재조합 기술로 제조, 의약품으로 상용화한 사례는 세계 최초다. 흡입 탄저의 경우 치명률이 97%에 달하는 탄저병은 법정 제1급 감염병으로, 그 균은 생물테러에 악용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알려졌다. 김갑정 질병청 진단분석국장은 "1997년 기초 연구에 착수해 30년 가까이 준비한 노력이 결실을 보았다"며 "전량 수입에 의존하던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주말에 몰아서 하는 운동, 건강증진 효과는?…"운동량 충분하면 OK"
운동을 매일 하지 않고 주말에 몰아서 하더라도 당뇨병 유병률이 낮아지는 등 건강 증진 효과는 유사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14일 의료계에 따르면 경희의료원 디지털헬스센터 연동건 교수 연구팀은 질병관리청의 지역사회건강조사(2009∼2022년) 데이터를 토대로 성인 242만8천448만명의 당뇨병과 신체활동의 연관성을 분석해 이런 사실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운동량만 충분하다면 운동 빈도 자체는 큰 영향이 없다는 걸 확인한 것으로, 평일에 규칙적으로 하든 주말에 집중적으로 하든 적절한 운동량만 지킨다면 당뇨병 유병률 감소 효과를 낼 수 있다는 의미다. 연구 결과 세계보건기구(WHO)가 권고하는 '일주일에 75∼150분 중강도 또는 75분 이상의 고강도 운동'을 하는 집단의 당뇨병 유병률은 신체활동을 하지 않는 집단에 비해 16%가량 낮았다. 다만 이 수준까지 운동량이 증가하면 당뇨병 유병률이 떨어지지만, 그 이상으로 운동한다고 해서 추가적인 효과가 크게 나타나지는 않았다. 중강도 운동과 고강도 운동을 WHO 권고량 범위 내에서 적절히 병행하는 게 당뇨병 유병률 감소와 가장 크게 연관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주말에 운동을 집중적으로 몰아서 하는 집단과 평일에 규칙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