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주뭘살까] 화이트데이 선물부터 봄나물까지 풍성

 유통업계는 오는 14일 화이트데이를 앞두고 사탕과 초콜릿 등 각종 선물부터 제철 봄나물까지 다양한 상품을 준비했다. 

 ▲ 롯데백화점 = 따뜻해진 봄 날씨에 맞는 '봄나물' 할인 행사를 진행한다. 롯데백화점 본점, 잠실점, 강남점 등 총 17개 수도권 점포에서 오는 9일까지 봄나물 할인 행사를 만나볼 수 있다. 냉이와 참나물, 달래, 돌나물, 씀바귀, 취나물, 방풍나물, 가시 두릅 총 8개 봄나물을 최대 20∼30% 할인 판매한다. 아울러 오는 14일까지 본점과 잠실점에서 화이트데이 맞아 디저트 팝업 행사를 진행한다. 본점에서는 오는 16일까지 '럭셔리 수퍼 위크'를 테마로 해외 패션 브랜드 구매 프로모션을 진행, 당일 구매 금액의 7% 상당 상품권 증정행사를 진행한다. 잠실점에서는 9일까지 지하 1층에서 '2025 해피 러블리'(Happy Lovely) 와인 페스타'를 진행한다. 이번 와인 페스타에서는 약 2만병 이상의 다양한 와인과 전통주, 위스키, 사케를 한자리에서 만나볼 수 있다.

 ▲ 신세계백화점 = 오는 13일까지 강남점 7층 팝업 공간에서 젊은 층의 열렬한 지지를 받는 편집숍 '어데케이드'의 팝업스토어가 펼쳐진다. 팝업에서는 아워셀브스, 그라미치, 인더로우, 시오타 등의 해외 유명 브랜드와 더불어 슬릭앤이지, 서스테인과 같은 어데케이드에서 직접 선보이는 PB(자체 브랜드) 상품도 함께 만나볼 수 있다. 일본의 오키야마 원단 공장에서 만드는 워크웨어 브랜드 시오타는 강남점에서만 단독으로 만나볼 수 있다. 대표상품으로는 슬릭앤이지 '우동 데님', 인더로우 레더 트러커 재킷, 미네조 스포츠 슈즈 등이 있다. 센텀시티 지하 1층 이벤트홀에서는 12일까지 국내 여성 패션 대전을 열어 윤진모피, 손정완, 앤디앤뎁, 스피치오, BCBG 등이 참여한다.

 ▲ 홈플러스 = 창립 28주년 단독 슈퍼세일 '홈플런 이즈 백' 행사를 통해 오는 12일까지 대표 인기 먹거리부터 생활용품, 가전용품까지 최대 반값에 제공한다. 9일까지 CJ 작은 햇반(12입)은 전 지점 4만개 한정으로 5천원 할인하고, 10대 카드로 결제 시 농협안심한우 전 품목을 반값에 판다. 12일까지 '두칸 반반 딸기'(900g)는 5천원 할인, '12브릭스 AI선별 성주참외'(3∼5입)은 50% 할인한다. 특란 30구는 5천990원에 팔고, 국내산 채소 반값 행사도 진행한다. 생리대 100여종은 원플러스원(1+1)으로 판매한다.

 ▲ 롯데마트 = 오는 12일까지 봄맞이 '싱싱 페스타'를 진행한다. 참치데이(3월7일)를 기념해 12일까지 전 지점에서 '참다랑어 모둠회'(300g)를 기존 판매가 대비 약 50% 할인한다. 롯데마트는 해당 참치회 행사 준비를 위해 30톤(t)의 참치 원물을 준비했다. 다랑어 가운데 가장 고급 어종으로 알려진 참다랑어의 '배꼽살'로 장식해 포인트를 줬고 성인 두 명이 먹기 좋은 분량이다. 엘포인트 회원에게 미국산 초이스 척아이롤·부채살은 40%씩, 무항생제 한우 전 품목은 30% 할인 판매한다. 국내산 돼지고기 앞다리와 뒷다리도 저렴하게 판매한다.

 ▲ 스타필드 = 트렌디한 디저트와 선물로 소중한 마음을 전할 수 있는 '렛츠 러브'(Let's Love) 화이트데이 행사를 진행한다. 스타필드 고양은 마시멜로의 달콤한 맛과 쫀득한 식감으로 SNS(사회관계망서비스)에서 품절 대란을 일으킨 '마시멜로우 쫀득쿠키' 원조 '달라또' 팝업스토어를 14일까지 진행한다. 전남 여수에서 시작한 디저트 맛집 '쓖'은 16일까지 스타필드 코엑스몰에서 유통사 최초로 팝업스토어를 연다. 프리미엄 초콜릿에 여수 특산물인 거문도 해풍쑥을 더해 만든 수제 생초콜릿을 만날 수 있다. 스타필드 하남은 '타르트 기프트 특별전'을 준비했다.

 ▲ 11번가 = 오는 9일까지 제철 식재료와 먹거리를 최대 15% 즉시 할인가에 판매한다. 해풍을 맞고 자라 진한 향과 단맛을 자랑하는 '남해 보물섬 시금치', 아삭한 식감이 일품인 '제주농협 햇살바람 미니 양배추', 비타민이 풍부한 '김제 오아로 파프리카' 등 봄나물과 채소를 준비했다. 올해 처음 출하하는 '완도맘 생곰피 미역', '마산 진동 당일바리 오만둥이, '깊은바다 속초 자숙 홍게' 등 지금 가장 맛있는 제철 수산물도 다양하게 만나볼 수 있다. 상큼함으로 봄 입맛을 돋우어 줄 '깨비농원 제주 한라봉', '충남 논산 설향 딸기' 등도 할인가에 선보인다.

 ▲ G마켓 = 오는 14일까지 봄맞이 특가 프로모션 '더쎈 마트·패션 빅페스타'를 진행한다. G마켓과 옥션은 마트 상품군과 패션, 뷰티, 육아, 취미 등 총 40여개 카테고리를 대상으로 시즌 인기 상품을 할인가에 판매한다. 테마딜은 '하나 사면 무조건 더 주는 특가', '9천900원 특가', '봄시즌 특가'로 구성한다. 테마별 2개씩, 사이트별 매일 6종의 상품을 선보인다. 총 22곳의 브랜드관을 별도로 선보이고, 각각의 스테디셀러를 할인가에 판매한다. 대표적으로 신세계푸드, CJ제일제당, 유한킴벌리, 모던하우스, 코카콜라, 아모레퍼시픽, 신성통상, 센텔리안24, K2/아이더, 숨, JC패밀리 등이 있다.

 ▲ 롯데온 = 오는 9일까지 연간 최대 뷰티 행사 '뷰세라'를 통해 '크리니크 오픈런'과 '뷰세라 72시간 브랜드 스페셜'을 진행한다. 크리니크 오픈런'에서는 롯데 단독 원플러스원(1+1) 정품 증정 세트와 최대 12% 다운로드 쿠폰, 15% 즉시 할인, 10% 카드 할인 혜택을 제공한다. '뷰세라 72시간 브랜드 스페셜'에서는 나스와 아베다 단독 세트와 샘플 증정 등 다양한 혜택을 마련했다. 추천 상품으로는 '나스 퓨어 래디언트 쿠션 리필 투플러스원(2+1)' 제품 등이 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질병청 "新 탄저백신, 기존 독소·부작용 없애…올해 비축 시작"
질병관리청은 국내 개발 신규 탄저 백신이 기존 백신과 달리 독소를 포함하지 않아 안전성이 입증됐다며, 올해 내로 생산과 비축을 시작할 것이라고 14일 밝혔다. 질병청은 ㈜녹십자와 협력해 국내 기술로 세계 최초의 유전자 재조합 단백질 방식 흡착 탄저 백신(배리트락스주)을 개발했고 해당 품목은 지난 8일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허가를 받았다. 정윤석 질병청 고위험병원체분석과장은 이날 기자단 대상 브리핑에서 신규 백신에 대해 "기존 백신과 가장 큰 차이점은 백신 주원료인 탄저균의 방어 항원 생산 방식"이라며 "기존에는 탄저균 배양액을 정제하다 보니 미량의 독소가 포함돼 부작용 가능성이 있었지만, 이번에는 독소를 생산하지 않는 균주를 사용, 방어 항원만을 순수하게 만들어냈다"고 설명했다. 질병청에 따르면 이렇게 탄저균의 방어 항원 단백질을 유전자 재조합 기술로 제조, 의약품으로 상용화한 사례는 세계 최초다. 흡입 탄저의 경우 치명률이 97%에 달하는 탄저병은 법정 제1급 감염병으로, 그 균은 생물테러에 악용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알려졌다. 김갑정 질병청 진단분석국장은 "1997년 기초 연구에 착수해 30년 가까이 준비한 노력이 결실을 보았다"며 "전량 수입에 의존하던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주말에 몰아서 하는 운동, 건강증진 효과는?…"운동량 충분하면 OK"
운동을 매일 하지 않고 주말에 몰아서 하더라도 당뇨병 유병률이 낮아지는 등 건강 증진 효과는 유사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14일 의료계에 따르면 경희의료원 디지털헬스센터 연동건 교수 연구팀은 질병관리청의 지역사회건강조사(2009∼2022년) 데이터를 토대로 성인 242만8천448만명의 당뇨병과 신체활동의 연관성을 분석해 이런 사실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운동량만 충분하다면 운동 빈도 자체는 큰 영향이 없다는 걸 확인한 것으로, 평일에 규칙적으로 하든 주말에 집중적으로 하든 적절한 운동량만 지킨다면 당뇨병 유병률 감소 효과를 낼 수 있다는 의미다. 연구 결과 세계보건기구(WHO)가 권고하는 '일주일에 75∼150분 중강도 또는 75분 이상의 고강도 운동'을 하는 집단의 당뇨병 유병률은 신체활동을 하지 않는 집단에 비해 16%가량 낮았다. 다만 이 수준까지 운동량이 증가하면 당뇨병 유병률이 떨어지지만, 그 이상으로 운동한다고 해서 추가적인 효과가 크게 나타나지는 않았다. 중강도 운동과 고강도 운동을 WHO 권고량 범위 내에서 적절히 병행하는 게 당뇨병 유병률 감소와 가장 크게 연관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주말에 운동을 집중적으로 몰아서 하는 집단과 평일에 규칙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