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독사회 부추기는 '결핍의 뇌'

 직장인 A씨는 아침 알람과 함께 스마트폰을 확인하며 하루를 시작한다.

 지하철에서는 웹툰과 유튜브를, 점심시간에는 배달앱과 쇼핑앱을, 저녁에는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OTT)와 게임까지, 하루 내내 디지털의 늪에 빠진다.

 2023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조사에 따르면, 한국인 스마트폰 과의존 위험군이 23.1%에 달한다. 이러한 무의식적 과몰입이 바로 '디지털 중독'이다.

 인간의 뇌는 '결핍의 시대'를 거치며 진화해왔다. 달콤한 음식에 끌리고, 즉각적 반응을 원하며, 새로운 자극에 민감한 뇌 구조는 생존을 위한 적응의 산물이다.

 뇌과학 연구들에 따르면, 고열량 음식을 볼 때 뇌의 보상회로가 활성화된다.

 이는 채집·수렵 시대에 단백질과 당분 확보 본능이 남긴 흔적이다.

 현대 사회는 음식과 정보, 자극이 넘치는 '과잉의 시대'다. 하지만 뇌는 여전히 부족함을 느낀다.   편의점 진열대 앞에서 무심코 초콜릿을 집어 드는 순간이나, 스마트폰 알림음에 반사적으로 손이 가는 모습이 바로 '결핍의 뇌'가 풍요와 충돌하는 현장이다.

 이런 충돌 현상의 중심에는 뇌의 보상회로인 도파민 시스템이 있다.

 도파민은 단지 쾌락을 유발하는 데 그치지 않고, 새로운 자극을 찾는 동기부여 시스템의 핵심이다.

 소셜미디어에서 '좋아요' 알림이 올 때나 유튜브가 재밌는 영상을 추천할 때, 뇌에서 도파민이 분비된다고 한다.

 여기서 포인트는 보상이 언제 올지 모른다는 점이다.

 실험실의 쥐는 매번 먹이를 주면 곧 흥미를 잃지만, 불규칙하게 주면 레버를 반복적으로 누른다. 

 메신저의 '읽음' 표시나 소셜미디어의 '좋아요' 등이 이런 원리를 따른다.

 예측 불가능한 보상이 뇌를 강하게 자극하고, 반복 행동을 멈추기 어렵게 한다.

 결핍의 뇌는 우리를 반복적 클릭과 과잉 소비로 이끈다.

 기업들은 이를 정밀하게 계산된 알고리즘으로 활용해 수익으로 전환한다. 따라서 우리는 선택이 아닌 차단의 능력을 키워야 한다.

 스마트폰 알림을 끄고, 앱 사용 시간을 제한하고, 의도적으로 지루함을 견디는 연습을 해야 한다. 

 결핍을 자각하고 과잉을 거부할 때 우리는 비로소 자유에 가까워질 수 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긴 연휴에 아이 열나면?…부모가 꼭 알아야 할 대처요령
올해 추석 연휴는 개천절과 임시공휴일, 한글날이 이어지면서 무려 1주일의 황금연휴가 됐다. 가족과 함께 오랜만에 여유를 만끽할 기회지만, 어린 자녀를 둔 부모라면 긴 연휴가 마냥 반갑지만은 않다. 낯선 지역을 방문하거나 문을 여는 병원을 찾기 어려운 상황에서 아이가 갑자기 열이라도 나면 당황하기 쉽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이런 때일수록 불안해하기보다 차분하게 아이의 상태를 살피고, 연휴 전 미리 방문할 지역의 응급 의료기관을 확인해두는 게 중요하다고 조언한다. ◇ 아이 발열은 정상 면역반응…"잘 먹고 잘 자면 해열제 불필요" 발열은 바이러스나 세균이 몸에 침투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정상적인 면역반응으로, 체온이 38도 이상일 때를 말한다. 39∼40도 이상이면 고열로 분류된다. 발열 자체가 곧 위험 신호는 아니다. 아이가 열이 있으면서도 평소처럼 잘 먹고, 잘 놀고, 잘 자는 상태라면 지켜보는 것으로 충분하다. 다만, 만성 기저질환이 있는 경우에는 열로 인해 질환이 더 악화할 수 있는 만큼 해열제를 먹여야 한다. 발열 후에는 아이의 전신 상태를 꼼꼼히 살피는 것이 중요하다. 기침, 가래, 천명, 쌕쌕거림 등의 증상이 동반되면 폐렴이나 모세기관지염을, 다른 증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