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장지방 많으면 심장·혈관 노화 빨라진다"

英 연구팀 "여성 엉덩이·허벅지 지방은 심장 노화 예방"

 내장을 둘러싸고 있는 숨겨진 지방인 내장지방이 과도할 경우 심장과 혈관의 노화를 촉진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영국 임페리얼칼리지런던(ICL) 의학연구위원회(MRC) 연구소 디클런 오리건 교수팀은 최근 유럽심장학회지(European Heart Journal)에서 영국바이오뱅크(UK Biobank) 등록자 2만1천여명의 MRI 영상 데이터 등을 이용해 지방 분포와 심혈관 노화간 관계를 분석, 이런 결과를 얻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이 연구는 내장지방이 심장 노화 가속화와 관련이 있음을 보여주는 것으로 남성과 여성 사이에 차이도 발견됐다며 여성의 경우 엉덩이와 허벅지 주변 지방은 오히려 심장 노화를 늦추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비만은 노화 촉진 요인으로 알려져 있지만 지방이 어디에 얼마나 쌓이느냐가 심장·혈관 노화에 미치는 영향은 잘 알려지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영국 바이오뱅크 등록자 2만1천241명의 전신 지방 분포와 심장 및 혈관 정밀 영상 등이 담겨 있는 데이터를 이용, 성별에 따라 다른 지방 분포가 심혈관 노화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했다.

 인공지능으로 영상들을 분석해 조직이 뻣뻣해지고 염증이 생기는 등의 장기 노화 징후들을 포착, 참가자들의 '심장 나이'(heart age)를 산출하고 이를 영상 촬영 당시 실제 나이와 비교했다.

 그 결과 위, 장, 간 같은 장기 주위 복부에 쌓이는 내장지방 조직이 더 많을수록 심장 노화가 더 빨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녀 간 체형에 따른 차이도 확인됐다.

 남자는 복부와 상체에 지방이 많은 '사과형' 체형일 경우 심장 노화가 가속되는 반면, 여성은 엉덩이·허벅지에 지방이 주로 쌓이는 '서양배형' 체형일 경우 심혈관 노화가 늦춰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혈액검사에서 내장지방이 체내 염증 증가와 연관돼 있다는 징후를 발견했다며 이것이 심장과 혈관 조기 노화의 잠재적 원인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폐경 전 여성에서 높은 에스트로겐 수치와 느린 심장 노화 간 연관성이 발견됐다며 이는 에스트로겐이 노화로부터 심장을 보호하는 역할을 할 가능성을 시사한다고 밝혔다.

 오리건 교수는 "이 연구는 장기 깊숙이 숨어 있는 '나쁜' 지방이 심장 노화를 가속한다는 것과 함께 숨겨진 지방이 건강해 보이는 사람들에게도 여전히 해로울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이어 "단순히 체중이 아니라 지방이 어디에 축적되는지가 중요하다"며 "향후 오젬픽 같은 글루카곤 유사 펩티드-1 수용체 작용제(GLP-1RA)가 당뇨병·비만뿐 아니라 내장지방에 의한 노화에도 효과가 있는지 조사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 출처 : European Heart Journal, Declan O'Regan et al., 'Sex-specific body fat distribution predicts cardiovascular ageing', https://academic.oup.com/eurheartj/article-lookup/doi/10.1093/eurheartj/ehaf553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정은경 복지장관 "의료대란 영향 조사 필요…목적·방법 검토"
정은경 보건복지부 장관이 지난 의료대란이 환자 등에게 끼친 영향에 대해 "조사가 필요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정 장관은 27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에 출석해 "환자·시민단체들은 반드시 지난 의료대란에 대한 피해 조사와 대책 마련을 해야 한다고 주장하는데 장관님 견해는 어떤가"라고 묻는 김윤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질문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에 대한 조사는 필요하다고 생각한다"고 답했다. 다만 정 장관은 "환자단체에서의 조사 요구와 의원님이 말씀하신 (보건의료기본법 일부개정안의) 조사는 조금 달라서 피해 조사의 목적과 방법에 대해 살펴볼 필요가 있고, 개인에 대한 개별적인 피해 조사와는 다른 측면이 있어 그런 부분을 잘 정리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김 의원이 "정부가 의료대란의 구체적인 피해 규모를 체계적으로 조사해 알릴 필요가 있고, 혹시라도 반복될 시 정부가 어떤 대응을 해야 하는지 알기 위해서도 조사가 필요하다고 생각하는데 동의하시냐"고 묻는 질문에는 "조사의 목적과 방법에 대해 검토하겠다"고 답했다. 의대 증원과 전공의 사직으로 촉발된 의정 갈등이 1년을 넘기며 장기화하자 환자·시민단체들은 의료 공백에 따른 피해 조사와 재발 방지책이 필요하다고 호소하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소아청소년 셋 중 한명 비만군…가당 음료 설탕세 도입 필요"
소아·청소년 비만율을 낮추기 위해 가당 음료 설탕세 도입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 박은철 연세대 의대 교수는 최근 '소아·청소년 비만 현황 공유 및 예방관리 대책 마련' 포럼 자료집에서 설탕세 도입 시 가당 음료 소비 감소 등 효과가 기대된다며 이같이 밝혔다. 박 교수는 "가당 음료는 영양상으로 거의 또는 전혀 가치가 없고 필수재가 아니며, 액체 형태의 첨가당은 설탕이 포함된 고형 식품보다 대사증후군 등의 위험을 더 크게 유발한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설탕세 도입을 통해 소아·청소년 비만율 감소, 산업계의 자발적인 무가당·저가당 음료 전환, 비만 관련 만성질환 의료비 지출 감소 등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박 교수는 영국의 청량음료산업 세금을 벤치마킹할 경우 우리나라 국내총생산(GDP)을 고려할 때 약 2천276억원 상당의 세금 수입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내다봤다. 한상원 한림원장은 "설탕세 도입 시 저소득층 부담 증가나 산업계 반발 같은 여러 고려사항이 존재한다"면서도 "세수를 소아·청소년의 급식 질 개선, 체육 활동 지원, 건강증진 사업 등에 투자한다면 세금의 역진성 우려를 해소하고 오히려 건강 형평성을 높이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