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해양생물자원관은 소재개발연구실 정승현 박사 연구진이 해양생물 유래 펩타이드가 구리 대사 이상으로 손상된 간 기능을 개선하는 사실을 확인해 특허를 출원했다고 16일 밝혔다. 구리는 필수 영양소로 간·심장 발달과 기능에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과도하게 섭취하거나 유전적으로 구리 대사 이상이 있으면 여러 장기에 쌓여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치료제도 신경계 손상 등 부작용 때문에 사용이 제한적이다. 연구진은 혈장에 있는 구리와 결합하는 단백질 세룰로플라스민 유래 펩타이드를 이용한 동물모델 연구에서 구리 과잉으로 인한 간 손상을 회복시키는 데 성공했다. 간이 발달하는 시기에 구리에 과잉 노출되면 정상 간 크기보다 58% 감소됐으나, 구리 결합 펩타이드를 투여한 결과 80∼94% 크기로 회복됐다. 과잉 구리에 의한 스트레스로 손상된 간의 세포 밀집도는 정상군의 약 61%로 낮았는데, 구리 결합 펩타이드를 투여한 결과 구리 제거에 따른 스트레스 감소로 70∼87% 회복 효과가 나타났다. 최완현 해양생물자원관장은 "해양생물 유전체 정보에서 유래한 펩타이드를 이용한 구리 대사 조절 물질 개발로 간 질환 예방과 치료의 새로운 가능성을 확인했다"며 "앞으로도 인체 적
스펀지 모양 덩어리 형태로 민물에 서식하는 민물해면과 공생하는 방선균이 암세포 사멸을 촉진하고 염증도 억제한다는 사실을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연구진이 확인했다. 자원관은 전북 무주군에서 채취한, 민물해면과 공생하는 희귀 방선균인 마이크로모노스포라속 'MS-62' 균주에서 '컴파운드 P'라는 신규 물질을 획득하고, 이 물질에 항암과 항염증 효과가 있다는 사실을 규명해 지난달 특허로 출원했다고 16일 밝혔다. 해면은 구조가 간단한 수생동물로, 근육·신경계·소화계·배설계 등이 분화되지 않은 하등동물이다. 민물해면은 바다에 살던 해면 가운데 민물에 적응한 종으로 수심 2∼5m에 있는 물풀·자갈·나뭇가지 등의 표면에 서식한다. 민물해면은 전 세계적으로 150종 정도 존재한다. 컴파운드 P는 암세포 발달에 관여하는 MDM2와 MDMX 단백질과 강하게 결합해 두 단백질이 종양을 억제하는 단백질인 p53과 결합하는 것을 막아, 결과적으로 p53이 기능을 회복하고 암세포를 사멸할 수 있도록 촉진한다. 컴파운드 P는 글로벌 제약사인 로슈가 2004년 개발한 MDM2 저해물질인 '뉴트린-3'보다 MDM2·MDMX와 p53 간 결합을 더 강하게 방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컴파
겨울철이면 허리 통증을 호소하는 사람들이 늘어난다. 추운 날에는 척추를 둘러싼 근육과 인대가 뻣뻣해지면서 뼈와 신경조직을 압박할 수 있기 때문이다. 만성 척추질환 증상이 겨울에 더 악화하는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허리 통증에서 대표적인 것은 '급성요추염좌'다. 흔히 허리를 '삐끗'하면서 갑작스럽게 통증이 생겼다고 말하는 게 대부분 이 질환이다. 급성요추염좌는 허리뼈를 연결하는 인대가 갑자기 늘어나거나 찢어져 발생한다. 허리를 과도하게 움직이거나 무거운 물건을 들 때, 잘못된 자세나 허리에 부담이 되는 자세로 오랫동안 앉아 있을 때 발생할 수 있다. 빙판길에서 균형을 잡으려고 허리에 힘을 줬을 때 생기기도 한다. 비만 역시 요추염좌의 원인 중 하나로 지목된다. 요즘 같은 추운 날씨에도 급성요추염좌를 주의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요추염좌는 움직일 때 극심한 통증을 동반한다. 심호흡이나 재채기할 때 통증이 심해지며, 근육 경직이 나타나면서 경직된 쪽으로 자세가 기울어지기도 한다. 통증이 발생한 부위를 누르면 심한 통증이 나타나고, 자세를 바꿀 때마다 통증 강도가 달라지는 것도 특징이다. 요추염좌는 보통 X-선 검사 등을 통해 신경학적 이상 증상 없이 허리 통증만 있
한국콜마는 여드름균과 노화의 연관성을 세계 최초로 규명했다고 16일 밝혔다. 한국콜마는 SCI(과학기술인용색인)급 국제 저널 '마이크로오가니즘' 10월호에 나이가 들수록 여드름균이 감소하고 전체 마이크로바이옴(체내 미생물) 유전자의 다양성이 폭발적으로 증가한다는 연구 결과가 담긴 논문을 게재했다. 한국콜마와 한림대 한강성심병원, 경북대 공동 연구진은 20∼29세와 60∼75세 한국인을 대상으로 여드름균을 조사했다. 그 결과 20∼29세 피부에서는 여드름균이 83%가량 있었던 반면 60∼75세 피부에는 61%로 현저히 줄어든 것을 확인했다. 한국콜마는 이 연구를 바탕으로 유익한 여드름균의 양을 늘려주는 성분(미생물의 먹이)을 담을 '전달체'와 이를 잘 스며들게 할 제형 기술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또 한국콜마는 여드름균은 무조건 나쁘다는 인식을 깨고 피부 건강을 유지하는 데 도움을 준다는 사실도 확인했다. 아토피 유발 유해균으로 알려진 황색포도상구균(S.aureus)을 억제하는 유익한 여드름균이 있다는 내용의 논문을 지난 11월 'BMC 게노믹 데이터'(Genomic Data) 저널에 게재했다. 한국콜마 관계자는 "피부에 유익한 여드름균 조절을 통해 피부 노
간헐적 단식이 신진대사 건강에는 좋지만 생쥐 실험에서는 털의 성장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람 대상 소규모 임상시험에서도 생쥐에서보다는 약하지만 모발 성장이 억제되는 것으로 확인됐다. 중국 저장성 서호대학 빙 장 교수팀은 16일 과학 저널 셀(Cell)에서 간헐적 단식을 한 쥐는 24시간 음식 섭취가 가능한 쥐보다 신진대사 건강은 개선됐지만 털의 성장은 느려졌다고 밝혔다. 이는 간헐적 단식으로 축적된 활성산소가 모낭 줄기세포(HFSC)의 세포 사멸(apoptosis) 일으키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사람을 대상으로 한 소규모 임상 시험에서 사람 모발에서도 유사한 과정이 일어났다. 다만 사람은 생쥐보다 신진대사 속도가 훨씬 느리고 모발 성장 패턴이 달라 모발 성장 억제 정도가 쥐에서보다는 크지 않았다. 연구팀은 이전 연구에서 단식은 대사적 이점 외에도 혈액, 장, 근육 조직과 관련된 줄기세포의 스트레스 저항력을 높일 수 있지만 피부와 모발 같은 말초 조직에 대한 영향은 거의 알려지지 않았다고 연구 배경을 설명했다. 연구팀은 이 연구에서 털을 깎은 생쥐를 세 그룹으로 나눠 한 그룹(TRF)은 매일 8시간 먹이를 주고 16시간 금식하는 간헐적 단식을, 한 그룹(
악어 머리에서 볼 수 있는 다양하고 독특한 형태의 비늘 패턴은 유전자에 의해 결정되는 게 아니라 피부의 성장 속도와 강직성 같은 기계적 변수의 진화에서 비롯된 것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스위스 제네바대학(UNIGE) 미셸 밀린코비치 박사팀은 15일 나일악어의 배아 발달과 유전자 조작,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결합한 실험에서 악어 머리 비늘 패턴이 뼈보다 빠르게 성장하는 피부와 서로 다른 조직의 강직성 차이 등으로 생기는 접힘 같은 기계적 자기 조직화 과정을 통해 형성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생물체의 형태적 다양성과 복잡성의 기원은 과학의 가장 큰 미스터리 중 하나로 남아 있다며 과학자들은 이 수수께끼를 풀기 위해 다양한 생물종들을 연구해 왔다고 말했다. 깃털이나 털, 비늘 같은 동물의 부속기관들은 일반적으로 배아 발달 과정에서 유전적으로 제어되는 단위로 발달한다. 연구팀은 이전 연구에서 악어 머리 비늘이 배아 단계에서 몸의 비늘과 달리 물질이 힘을 받을 때 균열이 전파되는 것과 유사한 과정을 거쳐 형성된다는 사실을 발견했으나 정확한 메커니즘은 파악하기 어려웠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이 연구에서 배아 발달, 첨단 현미경, 컴퓨터 모델링을 결합해
과학 저널 사이언스(Science)는 '2024년 올해의 혁신'에 1회 접종으로 6개월간 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HIV) 감염을 막아주는 주사제 레나카파비르(lenacapavir)와 관련 연구를 선정했다고 14일 밝혔다. H. 홀든 소프 사이언스 편집장은 이날 사설에서 "수십년간 발전에도 HIV는 매년 100만 명 이상을 감염시키고 백신은 요원하다"며 "새로운 주사제 레나카파비르는 한 번 접종으로 6개월간 예방효과가 있는 약물로 희망을 주고 있다"고 말했다. 경구 또는 피하 주사로 투여하는 항레트로바이러스 약물인 레나카파비르(상품명 Sunlenca)는 HIV 감염 치료에 사용되는 처방 약이다. 사이언스는 이 약이 임상 시험에서 아프리카 청소년 소녀와 여성은 100%, 여러 대륙의 다양한 성별에서는 99.9%의 예방 효과를 보였다며 이런 효과의 비결은 바이러스 유전물질을 보호하는 HIV의 캡시드 단백질에 대한 획기적인 연구에서 비롯됐다고 설명했다. 레나카파비르는 캡시드 단백질을 경화시킴으로써 바이러스 복제의 주요 단계를 차단하는 메커니즘으로 작동한다. 사이언스는 캡시드 단백질을 표적으로 하는 메커니즘은 한때 비실용적으로 여겨졌으나 레나카파비르의 성공으로 다른 바이
국립호남권생물자원관은 녹조를 일으키는 특정 남조류 독소에 대해 우수한 분해 능력을 지닌 세균을 발견했다고 14일 밝혔다. 이번에 발견된 세균 '로도코커스 큉솅지(학명: Rhodococcus qingshengii)'는 남조류에서 분비되는 독소인 마이크로시스틴을 분해하는 특징을 갖고 있다. 마이크로시스틴은 특정 남조류가 분비하는 대표적 독소로 인체 발암성 물질로 알려져다. 이 독소는 식수원으로 사용되는 강, 호수, 저수지 등 다양한 수역에서 검출되며, 해외에서는 동물 집단 폐사의 원인으로도 보고되고 있다. 연구진은 이 균주를 활용한 실험을 통해 해당 세균의 독소 분해 능력은 1일 486.8μg/ℓ이며, 이는 표준균주 대비 20배 이상 높은 분해 능력에 해당하는 것을 밝혀냈다. 이 세균이 생태계 내 다양한 미생물 및 수생 생물의 성장을 저해하지 않고도 독성 물질을 제거할 수 있어 2차 오염이나 생태계 교란을 최소화하는 친환경적 해결책이라고 자원관은 설명했다. 자원관은 올해부터 '도서·연안 야생 생물자원 활용 유해 생물 방제 기술 개발' 연구사업 추진을 통해 해당 세균을 발견했으며 관련 기술에 대한 특허를 출원했다. 최경민 도서생물융합연구실장은 "기후변화로 유해 남
가천대학교 한의학과 김창업 교수·부산대학교 사상체질의학과 김지환 교수 공동연구팀은 인공지능(AI)과 거대언어모델(LLM) 기반의 한의학 임상수행평가(CPX) 학습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13일 밝혔다. 이 시스템은 AI를 활용해 학생들의 진료 과정을 평가하고 자동 채점 및 맞춤형 피드백을 제공한다. 또 웹 기반으로 구현돼 학생들이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QR코드를 통해 접속해 임상 환경에서 진료 연습을 할 수 있다. 실습 후에는 진료 과정을 정량적으로 채점하고 맞춤형 피드백도 제공한다. 연구팀은 이번에 개발한 CPX 학습 챗봇의 미래 확장성을 고려해 표준 프레임워크(틀)도 제시했다. 이는 새롭게 개발되는 AI 모델이나 다양한 임상 시나리오를 체계적으로 평가하고 적용할 수 있는 개발 파이프라인으로, 시스템의 지속적인 발전을 가능하게 한다. 연구팀은 "이 프레임워크는 한의학을 넘어 의학, 치의학, 간호학 등 다양한 의료교육 분야에 적용할 수 있다"며 "앞으로 음성 인식, 영상 분석 등 새로운 기술을 도입해 더욱 실감 나는 실습 환경을 구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 연구 결과는 지난 1일 대한한의학회지 제45권 제4호에 게재됐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 임성갑 교수 연구팀은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손미영 박사 연구팀과 공동으로 동물 성분이 완전히 배제된 무이종(xenogeneic-free) 환경에서 인간 장 줄기세포를 대량 배양하는 데 성공했다고 13일 밝혔다. 기존 인간 오가노이드(유사 장기) 유래 장 줄기세포 배양 기술은 동물 유래 물질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 병원체 전파 등 문제가 있다. 미국 식품의약국(FDA) 승인 기준에 따르면 임상용 재생 치료제는 동물 유래 물질의 사용을 원칙적으로 배제해야 한다. 이에 전 세계적으로 화학적으로 합성할 수 있는 무이종 배양 플랫폼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지만, 비용이 많이 들고 절차가 복잡하다는 한계가 있다. 연구팀은 쥐 섬유아세포나 매트리젤 등 동물 유래 물질 없이 기상 증착된 유기 고분자를 활용해 배양·재생 치료 플랫폼을 개발했다. 고분자 스크리닝을 통해 장 줄기세포 표면을 동물 유래 물질 없이 배양하기 적합하도록 고안했다. 개발한 플랫폼을 통해 배양한 장 줄기세포를 실제 장 상피가 손상된 염증성 쥐 모델의 대장 조직에 생체 내(in vivo) 이식 실험을 한 결과 손상 부위가 재생되고 염증 반응이 완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강력한 자외선 차단력과 항산화 능력이 있는 색소를 생산하는 생물을 국내 연구진이 염전에서 발견했다. 국립생물자원관은 서명지 인천대 교수 연구진과 함께 인천 염전에서 '박테리오루베린'을 생산하는 호염성 고균 11종을 발견했다고 12일 밝혔다. 고균은 DNA가 없는 원핵생물로, 극한 환경에서도 살 수 있다. 호염성 고균은 할로박테리움강(Halobacteria)에 속하는 고균을 일컫는 말로 염전처럼 염분 농도가 9% 이상인 고염(高鹽) 환경에서도 생존할 수 있다. 박테리오루베린은 호염성 고균이 자외선이 가해지고 수분이 증발할 때 세포가 파괴되는 것을 막고자 생성하는 붉은 색소다. 자외선 차단력이 뛰어나고 항산화 능력을 지닌 박테리오루베린을 원료로 하는 화장품이 독일엔 이미 출시돼있다. 한국은 현재 박테리오루베린를 전량 수입하고 있다고 자원관은 설명했다. 이번에 발견된 호염성 고균 중 5종은 빛을 이용해 신경세포를 제어할 수 있는 유전자도 지닌 것으로 나타났다. 이 유전자는 '할로로돕신'(Halorhodopsin) 생산에 관여하는데, 할로로돕신은 빛에 반응하는 단백질로 신경세포 활동을 억제할 수 있다. 연구진은 이번 연구 결과를 내년 상반기 국제 학술지에 투고하고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바이오및뇌공학과 박지호 교수 연구팀이 차세대 항암 세포치료제의 치료 효과를 체내에서 구현할 수 있는 메신저리보핵산(mRNA) 치료제를 개발했다고 12일 밝혔다. 세포치료제는 살아있는 세포를 체외에서 증식·배양해 암·치매 등 난치질환을 치료하는 의약품이다. 혈액암 치료를 위한 카티(CAR-T) 세포치료제 개발 이후 고형암을 표적으로 하는 세포치료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최근 다양한 종양 항원을 인식해 암세포를 사멸할 수 있는 면역세포인 '종양 침윤 T세포' 기반 항암 세포치료제가 차세대 고형암 세포치료제로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종양 조직 내에서 종양 침윤 T세포를 분리한 뒤 이를 체외에서 증식시켜 다시 주입하는 과정이 복잡해 개발하는 데 한계가 있다. 연구팀은 종양 안에 mRNA 지질 나노입자를 주입, 종양 침윤 T세포 기반 세포치료제를 체내에서 구현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mRNA 지질 나노입자가 세포막 표면에 T세포 증식에 필요한 '항CD3 항체'를 발현시키는 역할을 한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개발한 mRNA 치료제를 다양한 고형암 동물 모델의 종양 조직에 투여한 결과 부작용 없이 암세포를 사멸한 모습을 확인했
콜라겐의 인체 내 분해와 재배치를 통해 암 전이 단백질의 악성화와 전이가 촉진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광주과학기술원(지스트·GIST)은 11일 생명과학부 남정석 교수 연구팀이 이 같은 내용의 암 전이 단백질인 '디스에드헤린(Dysadherin)'과 콜라겐 상관관계를 규명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2022년 선행연구에서 디스에드헤린이 암의 악성화와 전이를 유도한다는 사실을 밝히고 이를 억제하는 펩타이드 항암제를 발굴했는데, 이를 바탕으로 종양의 대표적 구성성분인 콜라겐의 분해와 재배치가 암의 악성화와 전이를 유도한다는 사실을 밝혔다. 쥐에 이식한 인간의 면역시스템을 활용해 디스에드헤린 매개의 콜라겐 분해와 재배치가 면역억제와 혈관신생을 촉진해 암세포 친화적 종양 미세환경을 형성하는 데 기여한다는 사실도 확인했다 연구팀은 선행 연구에서 발굴한 펩타이드의 디스에드헤린 억제 효과를 추가 검증해 미국 특허를 등록했다. 남정석 교수는 "디스에드헤린에 의한 종양 미세환경 변화를 통해 암의 악성화와 전이를 촉진하는 메커니즘을 규명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며 "종양 악성화와 전이를 제어할 수 있는 새로운 치료 전략의 기반을 마련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고 말했다. 남 교수가
건강한 식단이 만성 통증을 줄여주며 이런 효과는 남성보다 여성에게 더 크게 나타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연구진은 이는 만성 통증 환자들에게 자기 상태를 더 잘 관리할 수 있는 쉽고 접근 가능한 방법을 제시한다고 말했다. 호주 남호주대학(University of South Australia) 앨리슨 힐 교수팀은 10일 국제학술지 영양 연구(Nutrition Research)에서 성인 650여명을 대상으로 한 식단과 체지방, 통증 간 연관성 조사에서 식이 지침에 따른 건강한 식품 섭취가 통증을 감소시킨다는 사실을 발견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건강 식단의 통증 감소 효과는 남성보다 여성에게 더 두드러졌고, 체중과 무관하게 나타났다며 이는 신체 구성과 관계 없이 건강한 식단이 만성 통증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만성 통증은 세계적으로 인구의 약 30%에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추정된다며 통증 치료에 다양한 방법이 사용되고 있지만 많은 사람이 여전히 치료받지 못하고 어려움을 겪는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2008년 2월~2009년 7월 호주 남부 화이앨라에서 만성 질환 유병률과 관련 위험 요인을 추정하기 위해 실시된 화이앨라
인플루엔자(독감) 의사환자가 4주째 꾸준히 늘어난 가운데 방역 당국은 올해 겨울에도 인플루엔자가 유행할 것으로 예측했다. 10일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올해 48주차인 지난달 24∼30일 전국 300개 표본감시 의료기관에서 집계한 외래환자 1천명당 인플루엔자 의사환자(38도 이상의 갑작스러운 발열과 기침 또는 인후통이 있는 자) 분율은 5.7명이었다. 인플루엔자 의사환자 분율은 지난 41∼44주차에는 3.9명을 유지하다가 45주 4.0명, 46주 4.6명, 47주 4.8명으로 계속 증가하는 추세다. 질병청은 아직 인플루엔자가 유행 단계는 아니지만 겨울철 환자가 늘 것이라 예상하고 예방 접종 등을 권고했다. 정부는 3년치 비유행 기간의 주별 의사환자 분율 평균에 표준편차를 적용해 유행 기준을 정하는데, 2024∼2025절기의 유행 기준은 8.6명으로 현재 환자 수는 이에 못 미친다. 다만 예년의 경우 인플루엔자 의사환자 분율은 12월에서 1월 사이에 정점을 찍었던 터라 환자가 급격히 늘어날 가능성이 있다. 질병청은 "인플루엔자 유행 상황은 아니지만 (발생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상황이라 올해 겨울에도 인플루엔자가 유행할 것으로 예측된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현
세안제(클렌저)나 화장품 등에 사용되는 작은 플라스틱 구슬(마이크로비드)은 미세플라스틱 배출원 중 하나다. 이런 마이크로비드를 대체하고 영양소 캡슐 등 식품에도 사용할 수 있으며 배출 후에는 당분과 아미노산으로 분해되는 생분해성 물질이 개발됐다.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애나 재클레넥 박사팀은 최근 과학 저널 네이처 화학 공학(Nature Chemical Engineering)에서 생분해성 고분자인 폴리 베타-아미노 에스테르(PBAE)를 기반으로 한 마이크로비드 대체 물질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이 물질로 만든 마이크로비드를 비누 거품에 섞어 실험한 결과 기존 폴리에틸렌 마이크로비드보다 효과가 좋았다며 이 연구가 건강·미용 제품을 통해 배출되는 미세 플라스틱 양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재클레넥 박사는 "미세 플라스틱 문제를 완화하는 한 가지 방법은 기존 오염을 정화하는 방법을 개발하는 것이지만 이보다 먼저 미세 플라스틱을 생성하지 않는 재료를 만드는 데 초점을 맞추는 것도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연구팀은 이 연구에서 이전에 개발한 폴리 베타-아미노 에스테르(PBAE)의 구성 요소를 변경해 물을 밀어내는 특성인 소수성, 기계적
음주가 탈모에 악영향을 준다는 통념과 달리 실제로는 음주와 탈모 사이 연관성이 떨어진다는 메타연구(기존 연구를 분석한 연구) 결과가 나왔다. 과학기술계에 따르면 김원규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천연물유효성최적화연구센터 선임연구원 및 연세대 원주의대 겸임교수와 부산대 김기훈·김윤학 교수 공동연구팀은 음주와 안드로겐성 탈모의 연관성이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는 연구 결과를 최근 국제학술지 '알코올 및 알코올중독'에 발표했다. 안드로겐성 탈모는 남성 호르몬인 안드로겐이 모발의 성장을 억제해 모발이 서서히 얇아지고 빠지는 질환이다. 남녀 모두에게 나타나는 세계적으로 가장 흔한 탈모 유형이다. 보통 유전적 영향이 크지만, 흡연이나 식단, 스트레스와 같은 요인도 잠재적 원인으로 꼽혀 왔는데, 음주도 알코올 대사 부산물인 아세트알데하이드가 두피 면역을 방해할 수 있어 면역질환인 안드로겐성 탈모를 악화할 수 있다는 이론이 존재해왔다. 하지만 연구팀이 올해 4월까지 공개된 수천 편의 연구를 코호트(동일 집단) 방식으로 분석한 결과 1주일에 소주 3잔 수준의 알코올을 섭취하는 음주자와 비음주자 사이에서 안드로겐성 탈모 발병 정도에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안드로겐성
국내 당뇨병 환자가 600만 명을 넘어서면서 대란 상황이 우려되고 있는 가운데, 젊은 사람이라도 치주질환(잇몸병)이 있으면 당뇨병 발병 위험이 크게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치주질환은 치아 주변의 잇몸, 치주인대, 치조골 등에 염증이 생긴 상태를 말한다. 치아 주위 조직이 바람든 것처럼 붓고 피가 난다고 해서 풍치라고도 한다. 국제학술지 '역학과 건강'(Epidemiology and Health) 최근호에 따르면 성균관의대 사회의학과 신명희 교수 연구팀은 2012∼2018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참여한 2만9천491명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당뇨병과 치주질환 사이에 이런 연관성이 관찰됐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연구 대상자를 당뇨병 그룹(4천50명)과 비당뇨병 그룹(2만5천441명)으로 나눠 치주질환의 영향을 살폈다. 당뇨병은 기존 당뇨병과 최근 5년 이내 발병한 신규 당뇨병으로 세분화했다. 이 결과 치주질환은 당뇨병이 없는 사람에 견줘 기존 당뇨병 환자와 신규 당뇨병 환자에게서 각각 1.51배, 1.74배 더 당뇨병 발병 위험을 높이는 요인으로 분석됐다. 주목되는 건 젊은 층일지라도 치주질환이 심할수록 신규 당뇨병 발병 위험이 크게 높아졌다는 점이다. 치주
일론 머스크의 뇌신경과학 스타트업 뉴럴링크가 포문을 연 뇌-컴퓨터 인터페이스(BCI) 시장 규모가 미국에서만 540조원에 이르며 스타트업간 기술 경쟁이 격화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은 9일 '글로벌 정보통신기술(ICT) 주간 동향 리포트'에서 모건 스탠리의 분석을 인용해 미국 내 뇌-컴퓨터 인터페이스(BCI) 기술 시장이 약 540조원(4천억 달러) 규모로 전망된다고 밝혔다. 또 향후 5년 이내 임상 시험을 마친 기기들의 본격적인 상용화가 이뤄질 것이라고 예측했다. 뉴럴링크가 최근 미국 외 국가에서 처음으로 캐나다 규제 당국으로부터 임상시험을 승인받아 토론토 웨스턴 병원에서 뇌 칩 이식을 시험한다는 계획을 발표하자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기술에 대한 관심이 증폭됐다. 보고서는 디지털과 바이오 분야 외신을 인용해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기술과 스마트홈 장치, 전자기기의 통합은 사지마비 환자가 주변 환경을 제어할 수 있는 가능성을 통해 자율성과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있다"고 전했다. 최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이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규제의 변수로 작용할 수 있지만, 전문가들이 여전히 이 기술의 미래에 대해 낙관적인 태도를
거주지 주변에 녹지공간이 많고 거리에 꽃·식물 등 녹지 구성 요소가 많을수록 어린이와 청소년의 비만도가 낮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하버드대 의대 리 위 박사팀은 7일 미국의학협회 학술지 JAMA 네트워크 오픈(JAMA Network Open)에서 위성과 스트리트뷰 이미지로 파악한 특정 지역 녹지 비율과 어린이·청소년 비만 간 관계를 추적, 이런 연관성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녹지 공간은 신체 활동을 촉진하고 스트레스를 줄여 어린이 비만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고 있지만, 이전 연구들은 대부분 녹지 공간과 체질량지수(BMI)를 단일 지표로 사용하는 한계가 있었다고 지적했다. 연구팀은 이를 극복하기 위해 특정 지역의 식생 분포와 활동성을 나타내는 위성 기반 정규 식생지수(NDVI)와 스트리트뷰 이미지 기반의 녹지 공간 지표를 활용하고, 어린이 비만 측정에도 BMI, 허리둘레, 체지방량(FMI), 몸통 지방량(trunk FMI) 등을 포함했다. 이들은 1999년 시작된 여성과 어린이 건강 연구인 비바 프로젝트(VIVA Project)에 참여한 어린이 843명을 대상으로 2007~2021년 평균 연령 8.0세와 13.3세, 17.8세 때 비만도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홍승범·변혜령 교수팀이 서울대 치의학대학원 연구팀과 협력해 충치 치료제가 보호막을 형성해 탄산음료에 의한 부식 작용을 막는 모습을 ㎚(나노미터·1㎚는 100만분의 1㎜) 단위로 분석했다고 6일 밝혔다. 연구팀은 선행 연구에서 청량음료에 노출된 시간에 따라 치아 가장 바깥쪽의 법랑질(에나멜) 표면이 받는 영향을 원자간력현미경을 이용해 nm급으로 관측한 바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치과에서 치아 우식증(충치) 치료제로 사용하는 은다이아민플로라이드(SDF)를 치아에 도포한 뒤 콜라에 담가 엑스선 광전자 분광법(XPS· X레이를 이용해 물질 표면을 분석하는 기술)과 적외선 분광법(FTIR·적외선 흡수 여부에 따라 물질의 특성을 분석하는 방법)을 활용해 관측했다. 한 시간 뒤 SDF를 도포한 치아는 거칠기(표면 요철의 정도)가 64nm에서 70nm로 차이가 거의 없었던 반면 처리하지 않은 치아는 83nm에서 287nm로 급격하게 거칠어졌다. 탄성 계수(힘을 가했을 때 저항 정도)도 215GPa(기가파스칼·단위 면적당 100㎏의 하중을 견디는 강도)에서 205GPa로 변화가 거의 없었다. 미처리 치아는 125GPa에서 13GPa로 급격히 약해
라면을 끓일 때 수돗물을 쓰는 사람이 많을까, 생수나 정수기 물을 쓰는 사람이 많을까. 7만여 가구 대상 '수돗물 먹는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수돗물을 사용하는 사람이 더 많을 것으로 보인다. 환경부는 2024년 수돗물 먹는 실태조사 결과를 6일 공개했다. 조사는 환경부가 한국상하수도협회에 의뢰해 지난 4월 22일∼6월 30일 전국 7만2천460가구를 방문해 조사하는 방식으로 이뤄졌다. 집에서 어떤 물을 마시는지 물었을 때(중복응답 허용) 조사 가구의 37.9%가 "수돗물을 그대로 또는 끓여서 마신다"라고 밝혔다. 정수기 물을 마신다는 가구는 전체의 53.6%였고 먹는 샘물을 사서 마신다는 가구는 34.3%였다. 수돗물 음용률은 첫 조사이자 직전 조사였던 2021년 조사 때(36.0%)보다 1.9%포인트 상승했다. 다만 정수기 물과 먹는 샘물을 마신다는 비율도 각각 4.2%포인트와 1.4%포인트 올랐다. 중복응답이 가능해 모든 선택지 응답률이 상승할 수 있다. 밥과 음식을 조리할 때는 수돗물을 그대로 사용하거나 끓여서 사용한다는 가구가 전체의 66.0%로 가장 많았다. 정수기 물을 사용한다는 가구는 40.8%, 먹는 샘물을 쓴다는 가구는 13.0%였다. 차
노년기에 골격근량이 줄어드는 근감소증(sarcopenia)이 있을 경우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치매 발병 위험이 60% 가까이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볼티모어 존스홉킨스대 의대 카미야 모라디 박사팀은 4일 시카고에서 열린 북미영상의학회(RSNA) 연례 회의에서 치매가 없는 70세 이상 노인들의 뇌 자기공명영상(MRI)을 통해 측정한 측두근(temporalis muscle)의 양과 치매 발병 위험 간 관계를 평균 5.8년 간 추적해 이런 결과를 얻었다고 밝혔다. 뼈와 연결돼 다양한 움직임을 가능하게 하는 골격근은 체중의 약 3분의 1을 차지하며 나이가 들면서 점차 감소하기 시작한다. 머리에 있는 측두근은 아래턱을 움직이는 데 사용되는 근육이다. 연구팀은 노화와 관련된 골격근 손실은 알츠하이머성(AD) 치매 노인에게서 종종 나타난다며 이 연구는 골격근 손실의 척도로서 측두근 손실이 노인의 AD 치매 위험 증가와 관련이 있는지 조사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고 말했다. 이들은 이 연구에서 다른 신경학적 질환으로 이미 뇌 MRI를 촬영한 70세 이상 치매가 없는 노인 621명(평균 연령 77세)을 대상으로, 뇌 MRI 사진을 통해 측두근의 크기를 측정한 다음
수면무호흡증은 수면 중 호흡이 일시적으로 10초 이상 멈추는 질환이다. 기도(공기 통로)가 막히면서 코골이가 심해지는 게 주요 증상이다. 보통은 코골이를 하는 사람의 최대 70%에서 수면무호흡 증상이 동반하는 것으로 보고된다. 코골이와 수면무호흡은 본인뿐 아니라 배우자 삶의 질에도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좀처럼 깊은 잠을 잘 수 없게 되면서 주간졸림증, 두통, 기억상실, 우울증 등의 추가적인 질환으로 이어질 수 있어서다. 그런데 배우자의 코골이로 인한 주관적인 건강 영향에 대해서는 남편과 아내의 생각이 각기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부산백병원 가정의학과 이가영 교수 연구팀은 2019∼2021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참여한 부부 2천498쌍의 설문조사를 분석한 결과 부부 사이의 코골이로 인한 건강 영향 평가에서 이런 연관성이 관찰됐다고 4일 밝혔다. 연구팀은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코골이가 본인과 배우자의 건강에 각각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했다. 이번 조사에서는 남편의 59.2%, 아내의 11.0%가 코골이를 동반한 수면무호흡증 고위험군이었다. 설문 분석 결과 사회 인구학적 요인, 합병증, 건강 행동 등의 변수를 모두 조정했을 때, 자신의 코골이로 인해 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