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유·오락·휴양'…안산 화랑유원지 대대적 리모델링

289억원 투입 2022년 마무리…안산시 명소로 탈바꿈

세월호 참사 추모 시설이 들어설 경기도 안산시 화랑유원지가 대대적인 리모델링 사업을 통해 '명소'로 탈바꿈을 준비 중이다.

안산시는 27일 "1998년 조성돼 상당수 시설이 노후화한 화랑유원지를 국비 248억원을 포함해 모두 289억원을 투입해 2022년 말 마무리를 목표로 리모델링한다"고 밝혔다.

전체 면적 61만8천175㎡ 규모의 화랑유원지 리모델링 사업은 ▲치유·회복(사업비 102억원) ▲지역 명소화(사업비 69억원) ▲오락·휴양(사업비 107억원) 등 3개 분야로 나눠 추진된다.

우선 치유·회복 분야에서는 호수 경관 개선 사업과 시민 편의시설 확충, 쉼터 및 데크 산책로 조성 등이 진행된다.

지역 명소화 사업으로는 호수에 화려한 조명을 갖춘 음악분수가 설치되고, 공원 내에 휴게음식점이 조성되며, 호수 주변 산책로 조명이 개선된다.

오락 및 휴양 분야로는 테마놀이공간·숲놀이터 등 국내 최대 규모의 놀이 공간이 만들어지고, 테니스·풋살장 등 복합 체육시설이 들어서며 자전거 묘기를 펼칠 수 있는 X-게임장 등도 조성된다.

앞서 시는 이미 시 예산 41억원을 들여 다음 달 완공을 목표로 ▲야간경관조명 정비 ▲자작나무 숲 조성 ▲산책로 수목류 개선 ▲중심광장 정비 ▲공연장 리모델링 ▲호수 수질 개선 ▲노인편익 시설 개선 등의 사업을 진행 중이다.

아울러 화랑유원지 내 1만3천여㎡ 부지에는 2021년까지 지하 1층, 지상 3층, 전체면적 5천160㎡ 규모의 '안산산업역사박물관'이 건립된다. 안산 산업의 상징적 의미와 역사성을 담을 공간이다.

이밖에 국비로 안산국립도서관·트라우마센터 건립도 검토 중이어서 시는 이런 모든 사업이 정상적으로 마무리되면 화랑유원지가 시민이 쉬고 즐길 수 있는 새로운 문화공간으로 재탄생할 것으로 기대한다.

더욱이 화랑유원지 인근에서 추진 중인 초지역세권 개발과 맞물려 방문 시민이 더 늘어날 것으로 보고 있다.

한편, 화랑유원지에는 2022년까지 4·16 세월호참사 희생자들을 추모하기 위한 시설인 가칭 4·16 생명안전공원이 조성된다.

안산시 관계자는 "화랑유원지가 이번 명품화 리모델링 사업을 통해 안산시를 넘어 세계적 명소로 탈바꿈할 것"이라며 "화랑유원지가 시민을 위해 거듭나도록 차질 없이 사업을 진행하겠다"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긴 연휴에 아이 열나면?…부모가 꼭 알아야 할 대처요령
올해 추석 연휴는 개천절과 임시공휴일, 한글날이 이어지면서 무려 1주일의 황금연휴가 됐다. 가족과 함께 오랜만에 여유를 만끽할 기회지만, 어린 자녀를 둔 부모라면 긴 연휴가 마냥 반갑지만은 않다. 낯선 지역을 방문하거나 문을 여는 병원을 찾기 어려운 상황에서 아이가 갑자기 열이라도 나면 당황하기 쉽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이런 때일수록 불안해하기보다 차분하게 아이의 상태를 살피고, 연휴 전 미리 방문할 지역의 응급 의료기관을 확인해두는 게 중요하다고 조언한다. ◇ 아이 발열은 정상 면역반응…"잘 먹고 잘 자면 해열제 불필요" 발열은 바이러스나 세균이 몸에 침투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정상적인 면역반응으로, 체온이 38도 이상일 때를 말한다. 39∼40도 이상이면 고열로 분류된다. 발열 자체가 곧 위험 신호는 아니다. 아이가 열이 있으면서도 평소처럼 잘 먹고, 잘 놀고, 잘 자는 상태라면 지켜보는 것으로 충분하다. 다만, 만성 기저질환이 있는 경우에는 열로 인해 질환이 더 악화할 수 있는 만큼 해열제를 먹여야 한다. 발열 후에는 아이의 전신 상태를 꼼꼼히 살피는 것이 중요하다. 기침, 가래, 천명, 쌕쌕거림 등의 증상이 동반되면 폐렴이나 모세기관지염을, 다른 증상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