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셀트리온 3형제' 합병계획에 주가는 엇갈려

 합병 계획을 발표한 셀트리온[068270], 셀트리온헬스케어[091990], 셀트리온제약[068760]이 28일 각각 주가 방향은 엇갈렸다.

 이날 코스닥시장에서 셀트리온제약은 전 거래일보다 6.68% 오른 11만200원에 거래를 마쳤다

 셀트리온헬스케어는 8만7천700원에 보합 마감했고, 셀트리온은 차익 실현 매물에 1.35% 하락한 25만5천원으로 장을 마무리했다.

 앞서 셀트리온그룹은 지난 25일 장 마감 후 셀트리온, 셀트리온헬스케어, 셀트리온제약 등 이른바 '셀트리온 3형제'의 합병 계획을 밝혔다.

 이번 합병 계획을 두고 사업 구조 측면에서는 대체로 긍정적인 평가가 나왔다.

 이달미 SK증권 연구원은 "합병을 통해 단일 회사에서 개발, 생산, 유통, 판매까지 가능해져 거래 구조 개선으로 비용을 절감하고 사업 투명성을 제고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고 진단했다.

 이명선 신영증권 연구원은 "같은 제품을 개발하고 유통한다는 점에서 투자자들은 사업 구조 개선을 꾸준히 요구해왔다"며 "다만 합병 완료까지는 몇 번의 난관이 예상되며 특히 소액주주 동의가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이날 종가 기준 3사 합산 시가총액은 51조6천790억원으로 코스피 3위 수준이다.

 김태희 미래에셋대우 연구원은 "개발·생산회사와 판매회사의 합병이기에 실질적으로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지만, 주가에 미치는 영향은 분명 긍정적"이라고 평가했다.

 이어 "단순화한 지배구조와 이익 배분 비율 논란 해소로 투자 접근성이 향상되고, 단순 합산 시가총액으로 코스피 3위에 오르면 패시브 펀드의 수요가 증가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유전자가위 동시에 켜고 끈다…이중모드 크리스퍼 가위 개발
한국과학기술원(KAIST) 이주영 교수와 한국화학연구원 노명현 박사 공동 연구팀은 대장균(박테리아의 일종)에서 원하는 유전자를 동시에 켜고 끌 수 있는 '이중모드 크리스퍼(CRISPR) 유전자 가위'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2일 밝혔다. 유전자 가위는 인간·동식물 세포의 특정 염기서열을 찾아내 해당 부위 데옥시리보핵산(DNA)을 절단함으로써 유전체를 교정하는 기술이다. 대표적으로 '크리스퍼 카스9 유전자가위'(CRISPR-Cas9)가 널리 활용되고 있는데, 절단 효소인 카스9(Cas9) 단백질과 교정할 유전자 부위를 찾아주는 '가이드 리보핵산(RNA)'이 결합해 유전체를 편집하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다만 '끄기'(억제) 기능에 특화돼 유전자 발현을 막는 데는 뛰어나지만, 유전자를 켜 활성화하는 기능은 제한적이다. 그나마 사람·식물·동물 등 다세포 생물의 기본 단위인 진핵세포에서는 켜는 것이 가능하지만, 박테리아에게서는 유전자 켜기가 되지 않는다는 한계가 있다. 박테리아는 구조가 단순하고 빠르게 증식하면서도 다양한 유용 물질을 생산할 수 있어, 합성생물학(미생물을 살아있는 공장처럼 만들어 의약품과 화학물질 등을 생산할 수 있는 핵심 기술)의 기반이 된다. 합성생물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