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다 물고기 배변 등으로 연간 16억5천만t 탄소 심해 '저장'

표층수서 가라앉는 탄소 중 16% 차지…탄소 흐름에 큰 역할

 바다는 지구온난화를 유발하는 온실가스인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CO₂)를 흡수해 심해에 가둬놓는 역할을 하는데, '바다 내 탄소 흐름'(carbon flux)에서 물고기와 관련된 탄소가 연간 16억5천만t에 달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럿거스대학에 따르면 이 대학 해양·해안과학과 조교수 그레이스 사바 박사가 이끄는 연구팀은 바다 내 탄소 흐름에서 물고기의 역할을 분석한 결과를 학술지 '호소(湖沼)와 해양학'(Limnology and Oceanography)을 통해 발표했다.

 연구팀은 연안과 원양에서 물고기에 의한 탄소 흐름 관련 정보를 종합하고, 탄소 흐름 측정에 오류가 있거나 부족한 부분을 보완해 물고기가 배변립(粒)과 호흡, 기타 배설물 등을 통해 배출하는 탄소가 연간 16억5천만t에 달하는 것으로 분석했다.

 이는 바다 표층수에서 심해로 가라앉는 전체 탄소의 16%를 차지하는 양이다.

 빛이 들어오는 200m까지 '유광대'에서 물고기가 배출하는 탄소는 심해로 가라앉는 배변립과 입자성 무기탄소(탄산칼슘 광물), 용존유기탄소, 호흡으로 인한 CO₂ 등의 형태를 띠고 있다.

 바다는 표층 해양이 대기에서 CO₂를 흡수해 용존 무기탄소 형태로 갖고 있으면서 대기와 용해도 평형 상태를 유지한다. 바닷물 속의 무기탄소는 식물성 플랑크톤의 광합성을 통해 입자 유기물로 바뀌어 동물 플랑크톤의 먹이가 되고, 먹이사슬을 타고 올라가 물고기의 배설물이 되거나 플랑크톤 사체 형태로 유광대 아래로 떨어지며 표층수의 탄소를 심해로 가져오는 '생물학적 펌프'로 작용한다.

 사바 박사는 "빛이 들지 않는 곳으로 떨어진 탄소는 깊이와 장소에 따라 수백년 이상 안정적으로 저장된다"면서 "이런 자연 과정은 CO₂ 배출원의 균형을 맞추는 역할을 한다"고 설명했다.

 그는 "물고기가 탄소 흐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것은 처음"이라면서 "이번 연구 결과가 많은 불확실성을 안고 있지만 과학자들이 앞으로 연구를 통해 개선해 나갈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경기도의료원 수원·안성·이천병원, AI 진단보조시스템 도입
경기도는 경기도의료원 수원·안성·이천병원에 'AI 진단보조시스템'과 '의료영상 AI 데이터 플랫폼'을 도입해 AI 공공의료 실증 지원사업에 나선다고 12일 밝혔다. AI 진단보조시스템은 의료기관의 기존 PACS(의료영상 저장·전송 시스템)와 연동돼 실시간 진료에 활용된다. 폐결절, 유방암, 치매, 뇌졸중 같은 주요 질환의 영상 판독과 식약처 인증을 받은 설루션을 지원하는 등 의료진의 판독 업무를 보조해 진단의 정확도와 속도를 높이게 된다. 의료영상 AI 데이터 플랫폼은 3개 병원의 영상 데이터를 통합 관리하고 AI 학습용 데이터로 전환해 의료 AI 기업의 데이터 확보 어려움을 해소하게 된다. 유신씨앤씨 컨소시엄이 수행하는 실증사업은 오는 11월까지 7개월간 진행된다. 컨소시엄에는 PACS 연동과 영상 데이터 가명화에 강점을 지닌 유신씨앤시, 폐결절과 유방암 분야에서 세계적 수준의 AI 진단 설루션을 보유한 루닛, 뇌질환 중심의 MRI 기반 분석 기술에 특화된 휴런 등 분야별 전문기업이 참여한다. 도는 사업 종료 시점에 맞춰 성과공유회를 열고 시스템 운영 결과와 의료데이터 활용 사례를 발표할 예정이다. 이어 실증 결과를 바탕으로 사업 확대 여부를 검토하고 향후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