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음이 힘들 땐 '109'로 전화주세요'…자살예방 상담전화 통일

 올해부터 자살예방 상담전화가 '109'번으로 통합됐다.

 보건복지부는 자살예방 상담의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이달 1일부터 상담전화 번호를 '109'번으로 통합해 운영하고 있다고 2일 밝혔다.

 새롭게 도입된 '109'에는 '한 명의 생명도(1), 자살 제로(0), 구하자(9)'라는 의미가 담겼다. 또 '119'처럼 자살이 구조가 필요한 긴급 상황이라는 인식을 심어줄 수 있다고 복지부는 설명했다.

 기존 자살예방 상담번호 '1393'으로도 연간 10만 건이 넘는 상담이 이뤄졌지만, 인지도가 낮고 상담사가 부족한 문제가 있었다. 정신건강 상담전화(1577-0199), 청소년 상담전화(1388) 등과 함께 안내돼 혼란도 있었다.

 109는 상담을 통한 심리적 안정 지원, 112 긴급출동 및 정신건강복지센터 연계 등을 통해 자살 예방 기능을 수행한다.

 정부는 상담 수요가 늘어날 것에 대비해 상담사를 기존 80명에서 100명으로 늘린다.

 전화보다는 문자로 상담하는 것을 선호하는 청소년과 청년층을 위해 올해 하반기부터는 문자나 메신저 등 사회관계망서비스(SNS) 상담도 제공한다.

 이형훈 복지부 정신건강정책관은 "언제든지 상담과 도움의 손길을 건네는 자살예방 상담전화 '109'가 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한국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가입국 중 자살률 1위다.

  2020년 기준 인구 10만명당 사망자가 24.1명으로 OECD 38개국 평균(11.3명)의 배가 넘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긴 연휴에 아이 열나면?…부모가 꼭 알아야 할 대처요령
올해 추석 연휴는 개천절과 임시공휴일, 한글날이 이어지면서 무려 1주일의 황금연휴가 됐다. 가족과 함께 오랜만에 여유를 만끽할 기회지만, 어린 자녀를 둔 부모라면 긴 연휴가 마냥 반갑지만은 않다. 낯선 지역을 방문하거나 문을 여는 병원을 찾기 어려운 상황에서 아이가 갑자기 열이라도 나면 당황하기 쉽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이런 때일수록 불안해하기보다 차분하게 아이의 상태를 살피고, 연휴 전 미리 방문할 지역의 응급 의료기관을 확인해두는 게 중요하다고 조언한다. ◇ 아이 발열은 정상 면역반응…"잘 먹고 잘 자면 해열제 불필요" 발열은 바이러스나 세균이 몸에 침투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정상적인 면역반응으로, 체온이 38도 이상일 때를 말한다. 39∼40도 이상이면 고열로 분류된다. 발열 자체가 곧 위험 신호는 아니다. 아이가 열이 있으면서도 평소처럼 잘 먹고, 잘 놀고, 잘 자는 상태라면 지켜보는 것으로 충분하다. 다만, 만성 기저질환이 있는 경우에는 열로 인해 질환이 더 악화할 수 있는 만큼 해열제를 먹여야 한다. 발열 후에는 아이의 전신 상태를 꼼꼼히 살피는 것이 중요하다. 기침, 가래, 천명, 쌕쌕거림 등의 증상이 동반되면 폐렴이나 모세기관지염을, 다른 증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