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천시 "15분 거리를 5분 만에…긴급차량 우선신호로 생명 구해"

  경기 과천시는 광역 긴급차량 우선 신호시스템을 통해 위급환자의 생명을 살렸다고 2일 밝혔다.

  과천시에 따르면 지난달 30일 오전 7시 40분께 별양동 소방서삼거리에서 교차로 수신호 봉사활동을 하던 50대 남성 A 씨가 갑자기 쓰러졌다.

 119구급차량이 현장에 도착했을 때 A 씨는 심정지 상태로 빠른 치료가 필요했지만, 과천 관내에는 응급병원이 없어서 인근 안양시 한림대학교성심병원으로 이송해야 했다.

 소방서삼거리에서 한림대성심병원까지 거리는 5.3㎞로 평소 15분 이상 걸린다.

 이 시스템은 경기도와 과천, 안양, 의왕, 군포, 광명시 등 5개 시가 연계해 구축한 것으로 지자체의 신호를 자동으로 제어해 소방차나 구급차가 교통신호의 제약 없이 신속하게 시군을 오갈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통해 A 씨는 약 5분 만에 한림대성심병원 응급실에 도착했고 현재 의식을 회복한 상태로 치료받고 있다.

 신계용 과천시장은 "시스템이 성공적으로 가동해 시민의 소중한 생명을 살리는 데 기여해 다행"이라며 "시스템이 작동할 때 일시적인 차량 정체가 발생할 수 있는데 운전자들의 양해와 협조를 당부한다"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긴 연휴에 아이 열나면?…부모가 꼭 알아야 할 대처요령
올해 추석 연휴는 개천절과 임시공휴일, 한글날이 이어지면서 무려 1주일의 황금연휴가 됐다. 가족과 함께 오랜만에 여유를 만끽할 기회지만, 어린 자녀를 둔 부모라면 긴 연휴가 마냥 반갑지만은 않다. 낯선 지역을 방문하거나 문을 여는 병원을 찾기 어려운 상황에서 아이가 갑자기 열이라도 나면 당황하기 쉽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이런 때일수록 불안해하기보다 차분하게 아이의 상태를 살피고, 연휴 전 미리 방문할 지역의 응급 의료기관을 확인해두는 게 중요하다고 조언한다. ◇ 아이 발열은 정상 면역반응…"잘 먹고 잘 자면 해열제 불필요" 발열은 바이러스나 세균이 몸에 침투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정상적인 면역반응으로, 체온이 38도 이상일 때를 말한다. 39∼40도 이상이면 고열로 분류된다. 발열 자체가 곧 위험 신호는 아니다. 아이가 열이 있으면서도 평소처럼 잘 먹고, 잘 놀고, 잘 자는 상태라면 지켜보는 것으로 충분하다. 다만, 만성 기저질환이 있는 경우에는 열로 인해 질환이 더 악화할 수 있는 만큼 해열제를 먹여야 한다. 발열 후에는 아이의 전신 상태를 꼼꼼히 살피는 것이 중요하다. 기침, 가래, 천명, 쌕쌕거림 등의 증상이 동반되면 폐렴이나 모세기관지염을, 다른 증상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