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교사 10명 중 8명 '정서적 아동학대 피소' 걱정"

경기교사노조, 교사 4천200여명 대상 교원 인식 설문조사

 

 경기교사노동조합은 스승의 날을 앞두고 경기지역 교사들의 '교직 및 교육현장에 대한 인식 조사'를 한 결과 교사 대부분이 정서적 아동학대 피소를 걱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9일 밝혔다.

 교사노조는 지난달 15일부터 같은 달 26일까지 진행해 조합원 4천203명이 응답한 조사 결과를 이날 공개했다.

 교사노조에 따르면 최근 1년간 정서적 아동학대 피소를 걱정해 본 적이 있냐는 물음에 응답자의 82.2%가 "그렇다"고 응답했다.

 업무시간 외의 정치기본권이 보장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물음에는 83.2%가 "그렇다"고 했고, 87.3%가 교원의 정치기본권 회복이 교육정책 및 입법의 전문성과 현장적합성을 높일 수 있다고 했다.

 교사노조 관계자는 "수업방해 학생으로 많은 시간을 허비하고 있냐는 질문에 90%가 '그렇다'고 답한 반면 수업방해 학생 분리 제도가 잘 운영되고 있냐는 질문에는 12.3%만이 긍정적인 답변을 했다"며 "안전하게 교육할 권리가 현장에서 여전히 보장되지 못함을 확인했다"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긴 연휴에 아이 열나면?…부모가 꼭 알아야 할 대처요령
올해 추석 연휴는 개천절과 임시공휴일, 한글날이 이어지면서 무려 1주일의 황금연휴가 됐다. 가족과 함께 오랜만에 여유를 만끽할 기회지만, 어린 자녀를 둔 부모라면 긴 연휴가 마냥 반갑지만은 않다. 낯선 지역을 방문하거나 문을 여는 병원을 찾기 어려운 상황에서 아이가 갑자기 열이라도 나면 당황하기 쉽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이런 때일수록 불안해하기보다 차분하게 아이의 상태를 살피고, 연휴 전 미리 방문할 지역의 응급 의료기관을 확인해두는 게 중요하다고 조언한다. ◇ 아이 발열은 정상 면역반응…"잘 먹고 잘 자면 해열제 불필요" 발열은 바이러스나 세균이 몸에 침투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정상적인 면역반응으로, 체온이 38도 이상일 때를 말한다. 39∼40도 이상이면 고열로 분류된다. 발열 자체가 곧 위험 신호는 아니다. 아이가 열이 있으면서도 평소처럼 잘 먹고, 잘 놀고, 잘 자는 상태라면 지켜보는 것으로 충분하다. 다만, 만성 기저질환이 있는 경우에는 열로 인해 질환이 더 악화할 수 있는 만큼 해열제를 먹여야 한다. 발열 후에는 아이의 전신 상태를 꼼꼼히 살피는 것이 중요하다. 기침, 가래, 천명, 쌕쌕거림 등의 증상이 동반되면 폐렴이나 모세기관지염을, 다른 증상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