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기관 남성 육아휴직 5년간 125% '껑충'…男비중 15→24%

여성 육아휴직 26% 증가…男 철도공사·女 기업은행 '1위'

 공공기관의 남성 육아휴직이 5년 새 2배 이상으로 불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절대적인 규모에서는 여전히 여성 육아휴직에 밀리지만, 남성 증가세가 가파른 편이어서 주목된다.

 12일 공공기관 경영정보 공개시스템(알리오)에 따르면, 339개 공공기관의 육아휴직 사용자는 지난해 2만4천489명으로 집계됐다.

 공공기관의 육아휴직자는 2019년 1만7천435명, 2020년 1만8천892명, 2021년 2만195명, 2022년 2만3천250명 등으로 꾸준한 증가세다. 특히 남성 육아휴직이 활발해진 모습이다.

 여성 육아휴직자는 2019년 1만4천871명에서 2020년 1만5천743명, 2021년 1만6천600명, 2022년 1만7천995명, 2023년 1만8천714명으로 같은 기간 25.8% 증가했다.

 이에 따라 당해연도 육아휴직 중에서 남성이 차지하는 비중도 2019년 14.7%에서 지난해 23.6%로 커졌다.

 정부는 공공기관의 육아휴직을 장려한다는 방침이어서 앞으로도 이런 추세는 가속화할 것으로 보인다.

 앞서 기획재정부는 공공기관운영위원회를 열어 공공기관 경영평가에 '일·가정 양립 노력' 항목을 별도 지표로 평가하기로 했다. 육아휴직에 따른 결원 또는 정원을 한층 탄력적으로 운용할 수 있도록 한다는 방침이다.

 한편, 기관별로 남성휴직과 여성휴직 순위가 엇갈렸다.

 남성휴직 통계에서는 한국철도공사가 1천445명(2019~2023년 합계)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한국수력원자력 1천392명, 국민건강보험공단 831명, 한국전력공사 777명, 강원랜드 622명, 한국토지주택공사 535명 순이었다.

 여성휴직에서는 중소기업은행이 7천369명으로 1위를 차지했고 국민건강보험공단 4천964명, 근로복지공단 3천657명, 서울대병원 3천264명, 건강보험심사평가원 3천102명, 부산대병원 3천56명 순이었다.

[표] 공공기관 육아휴직 현황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증가율
(2019~2023)
여성 14,871 15,743 16,600 17,995 18,714 25.8%
남성 2,564 3,149 3,595 5,255 5,775 125.2%
(총계) 17,435 18,892 20,195 23,250 24,489 40.5%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긴 연휴에 아이 열나면?…부모가 꼭 알아야 할 대처요령
올해 추석 연휴는 개천절과 임시공휴일, 한글날이 이어지면서 무려 1주일의 황금연휴가 됐다. 가족과 함께 오랜만에 여유를 만끽할 기회지만, 어린 자녀를 둔 부모라면 긴 연휴가 마냥 반갑지만은 않다. 낯선 지역을 방문하거나 문을 여는 병원을 찾기 어려운 상황에서 아이가 갑자기 열이라도 나면 당황하기 쉽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이런 때일수록 불안해하기보다 차분하게 아이의 상태를 살피고, 연휴 전 미리 방문할 지역의 응급 의료기관을 확인해두는 게 중요하다고 조언한다. ◇ 아이 발열은 정상 면역반응…"잘 먹고 잘 자면 해열제 불필요" 발열은 바이러스나 세균이 몸에 침투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정상적인 면역반응으로, 체온이 38도 이상일 때를 말한다. 39∼40도 이상이면 고열로 분류된다. 발열 자체가 곧 위험 신호는 아니다. 아이가 열이 있으면서도 평소처럼 잘 먹고, 잘 놀고, 잘 자는 상태라면 지켜보는 것으로 충분하다. 다만, 만성 기저질환이 있는 경우에는 열로 인해 질환이 더 악화할 수 있는 만큼 해열제를 먹여야 한다. 발열 후에는 아이의 전신 상태를 꼼꼼히 살피는 것이 중요하다. 기침, 가래, 천명, 쌕쌕거림 등의 증상이 동반되면 폐렴이나 모세기관지염을, 다른 증상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