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년새 반토막 난 10대 헌혈자…적십자사 "저출생 영향"

가장 헌혈 많이 한 연령대는 20대…30대 이상은 헌혈자 수 증가세

 10대 헌혈자 수가 10년 만에 절반 아래로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적십자사는 저출생에 따른 인구구조 변화를 원인으로 보고 있다.

 세계 헌혈자의 날인 지난 14일 통계청 연령별 헌혈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10대 헌혈자는 50만3천624명으로 집계됐다.

 2013년 10대 헌혈자 수(105만8천704명)의 47.6%에 불과하다.

 전체 헌혈자 중 10대 비중도 2013년 36.3%에서 2023년 18.1%로 절반 수준으로 급감했다.

 같은 기간 전체 헌혈자 수가 291만4천483명에서 277만6천291명으로 소폭(13만8천192명·4.7%) 감소한 것과 비교하면 10대 헌혈자 감소추세는 유독 두드러진다.

 2021년 고등학교 입학생부터 학교 차원이 아닌 개인 봉사활동 실적은 대입에 반영되지 않도록 한 교육정책의 영향도 있다고 봤다.

 대한적십자사 관계자는 "2024학년도 대입부터 헌혈을 포함한 개인 봉사활동 실적이 반영되지 않고 학교 내 단체헌혈만 인정하면서 10대 개인헌혈 참여가 크게 감소하고 있다"고 말했다.

 헌혈을 가장 많이 하는 연령대는 20대로 지난해 기준 102만4천621명으로 집계됐다.

 10대는 50만3천624명으로 2위를 차지했고 40대(47만4천995명), 30대(44만8천166명), 50대(27만2천60명), 60대 이상(5만2천854명) 순으로 나타났다.

 다만 20대 역시 2013년 123만1천995명에서 전반적인 감소세를 보였다.

 반면 같은 기간 30대부터 60대 이상까지는 모두 헌혈자 수가 늘어났다.

 30대는 8만6천752명, 40대는 28만7천700명, 50대는 20만6천67명, 60대 이상은 4만3천712명 증가했다.

 대한적십자사는 30대 이상의 헌혈자 수 증가 등으로 혈액 보유량은 적정수준을 유지하고 있지만 안정적인 혈액 수급을 위해 헌혈에 대한 지속적 관심과 참여가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관계자는 "적정량의 혈액 재고를 상시 유지해야 혈액이 필요한 응급상황에 대응할 수 있는데 수혈에 주로 사용되는 혈액제제의 경우 보관기간이 짧다"며 "국민 여러분의 지속적인 헌혈 참여가 필요하다"고 전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긴 연휴에 아이 열나면?…부모가 꼭 알아야 할 대처요령
올해 추석 연휴는 개천절과 임시공휴일, 한글날이 이어지면서 무려 1주일의 황금연휴가 됐다. 가족과 함께 오랜만에 여유를 만끽할 기회지만, 어린 자녀를 둔 부모라면 긴 연휴가 마냥 반갑지만은 않다. 낯선 지역을 방문하거나 문을 여는 병원을 찾기 어려운 상황에서 아이가 갑자기 열이라도 나면 당황하기 쉽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이런 때일수록 불안해하기보다 차분하게 아이의 상태를 살피고, 연휴 전 미리 방문할 지역의 응급 의료기관을 확인해두는 게 중요하다고 조언한다. ◇ 아이 발열은 정상 면역반응…"잘 먹고 잘 자면 해열제 불필요" 발열은 바이러스나 세균이 몸에 침투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정상적인 면역반응으로, 체온이 38도 이상일 때를 말한다. 39∼40도 이상이면 고열로 분류된다. 발열 자체가 곧 위험 신호는 아니다. 아이가 열이 있으면서도 평소처럼 잘 먹고, 잘 놀고, 잘 자는 상태라면 지켜보는 것으로 충분하다. 다만, 만성 기저질환이 있는 경우에는 열로 인해 질환이 더 악화할 수 있는 만큼 해열제를 먹여야 한다. 발열 후에는 아이의 전신 상태를 꼼꼼히 살피는 것이 중요하다. 기침, 가래, 천명, 쌕쌕거림 등의 증상이 동반되면 폐렴이나 모세기관지염을, 다른 증상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