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위성 자료·AI 결합해 태풍 강도 더 정밀하게 예측"

UNIST, 딥러닝 기반 태풍 예측 모델 개발…"현업 예보 시스템에 적용 가능"

 실시간 위성 자료와 딥러닝 기술을 결합해 태풍 강도를 더욱 정밀하게 예측하는 기술을 울산과학기술원(UNIST) 연구진이 개발했다.

 2일 UNIST에 따르면 지구환경도시건설공학과 임정호 교수팀은 태풍 정보를 정확하게 분석하는 딥러닝 기반 예측 모델을 만들었다.

 이 모델은 정지궤도 기상위성 자료와 수치모델 자료를 결합해 24시간, 48시간, 72시간 동안 태풍 강도를 예측한다.

 일반적인 태풍 관측은 주로 예보관이 정지궤도 위성 자료만 사용해 분석하는 방식을 사용했다.

 연구팀이 개발한 모델은 분석 속도를 높여 수치모델의 불확실성을 줄였다.

 연구팀은 우리나라의 정지궤도 기상위성인 천리안 1호와 천리안 2A호 위성 자료를 이용해 전이학습 기반의 태풍 강도를 추정했다.

 인공지능(AI)을 통해 태풍 강도 자동 추정 과정을 시각화하고, 정량적으로 분석해 태풍 예보의 정확성을 높였다.

 기존 기상 데이터를 학습한 AI가 새로운 태풍 데이터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분석한 것이다.

 태풍 강도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 요인을 객관적으로 추출해 현업 예보 시스템에도 적용할 수 있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임정호 교수는 "딥러닝 기반 태풍 예측 프레임워크는 예보관들에게 더욱 정확한 예측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며 "신속하고 효과적인 대책을 마련할 수 있게 해줄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지난 3월 저널 '지아이사이언스 앤드 리모트 센싱'(GIscience & Remote Sensing)과 5월 '아이사이언스'(iScience)에 각각 게재됐다.

 연구는 해양수산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정보통신기획평가원 등의 지원을 받았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긴 연휴에 아이 열나면?…부모가 꼭 알아야 할 대처요령
올해 추석 연휴는 개천절과 임시공휴일, 한글날이 이어지면서 무려 1주일의 황금연휴가 됐다. 가족과 함께 오랜만에 여유를 만끽할 기회지만, 어린 자녀를 둔 부모라면 긴 연휴가 마냥 반갑지만은 않다. 낯선 지역을 방문하거나 문을 여는 병원을 찾기 어려운 상황에서 아이가 갑자기 열이라도 나면 당황하기 쉽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이런 때일수록 불안해하기보다 차분하게 아이의 상태를 살피고, 연휴 전 미리 방문할 지역의 응급 의료기관을 확인해두는 게 중요하다고 조언한다. ◇ 아이 발열은 정상 면역반응…"잘 먹고 잘 자면 해열제 불필요" 발열은 바이러스나 세균이 몸에 침투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정상적인 면역반응으로, 체온이 38도 이상일 때를 말한다. 39∼40도 이상이면 고열로 분류된다. 발열 자체가 곧 위험 신호는 아니다. 아이가 열이 있으면서도 평소처럼 잘 먹고, 잘 놀고, 잘 자는 상태라면 지켜보는 것으로 충분하다. 다만, 만성 기저질환이 있는 경우에는 열로 인해 질환이 더 악화할 수 있는 만큼 해열제를 먹여야 한다. 발열 후에는 아이의 전신 상태를 꼼꼼히 살피는 것이 중요하다. 기침, 가래, 천명, 쌕쌕거림 등의 증상이 동반되면 폐렴이나 모세기관지염을, 다른 증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