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정폭력 가해자 10명 중 7명 남성…80% 부부간 발생

가정법률상담소, '2023년 가정폭력행위자 상담통계' 분석 결과
'남편에 의한 아내 폭력' 52.7%…'아내에 의한 남편 폭력' 10년 전보다 13배↑

 가정폭력 가해자 10명 중 7명은 남성으로, 가해자와 피해자 간 관계가 부부인 경우가 80%를 넘었다.

 한국가정법률상담소(이하 상담소)가 2023년 '가정폭력 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에 따라 법원에서 상담위탁 보호처분 결정을 받고 위탁된 가정폭력행위자 524명에 대한 상담 내용을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

 상담소 분석 결과에 따르면 가정폭력 가해자 524명 중 남성은 374명(71.4%), 여성은 150명(28.6%)이었다.

 가해자 연령으로는 40대(29.4%·154명), 30대(22.1%·116명), 50대(21.4%·112명) 등의 순으로, 30·40대가 절반을 넘었다.

 상담소 측은 상담에 참여한 부부 110명 중 63명(57.3%)은 육아 및 가사분담 문제로 스트레스가 컸는데, 육아와 가사를 평등하게 책임지기를 원하는 아내와 전통적인 성역할 태도에 머물러 있는 남편 간의 입장차와 갈등으로 폭력이 발생했다고 분석했다.

 폭력 유형별로 보면 '남편에 의한 아내 폭력'이 52.7%(276명)로 가장 많아 한국 사회에서 가정폭력 가해자의 대부분은 여전히 배우자인 남편으로 파악됐다.

 '아내에 의한 남편 폭력'도 꾸준히 증가해 왔다.

 작년 상담사례에서 아내가 가해자인 경우는 13.7%(72명)로, 상담 전례가 전혀 없었던 2013년과 비교해 그 비율이 13배 이상 늘었다.

 남편에게 폭력을 행사한 아내 72명 중 40명은 남편의 과거 외도 또는 현재의 외도, 이로 인한 상습적인 거짓말 등으로 부부 갈등이 증폭돼 폭력적인 부부싸움으로 이어진 경우가 많았다고 상담소 측은 전했다.

 가정폭력의 원인으로는 '가부장적 사고 등 성격 차이'가 39.8%로 가장 많았다. 이어 '부부간 불신'(14.5%), '경제갈등'(11.8%), '가해자의 음주(주벽·알코올 중독 등)'(7.7%) 등이었다.

 부부간 가정폭력의 경우 법원의 상담처분을 이행하는 과정부터 상담 종료 시까지 99.1%가 폭력 재발이 없었다.

 또 가해자·피해자가 관계를 회복해 화해하고 동거하는 경우가 58.8%로 가장 많았다고 상담소 측은 밝혔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긴 연휴에 아이 열나면?…부모가 꼭 알아야 할 대처요령
올해 추석 연휴는 개천절과 임시공휴일, 한글날이 이어지면서 무려 1주일의 황금연휴가 됐다. 가족과 함께 오랜만에 여유를 만끽할 기회지만, 어린 자녀를 둔 부모라면 긴 연휴가 마냥 반갑지만은 않다. 낯선 지역을 방문하거나 문을 여는 병원을 찾기 어려운 상황에서 아이가 갑자기 열이라도 나면 당황하기 쉽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이런 때일수록 불안해하기보다 차분하게 아이의 상태를 살피고, 연휴 전 미리 방문할 지역의 응급 의료기관을 확인해두는 게 중요하다고 조언한다. ◇ 아이 발열은 정상 면역반응…"잘 먹고 잘 자면 해열제 불필요" 발열은 바이러스나 세균이 몸에 침투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정상적인 면역반응으로, 체온이 38도 이상일 때를 말한다. 39∼40도 이상이면 고열로 분류된다. 발열 자체가 곧 위험 신호는 아니다. 아이가 열이 있으면서도 평소처럼 잘 먹고, 잘 놀고, 잘 자는 상태라면 지켜보는 것으로 충분하다. 다만, 만성 기저질환이 있는 경우에는 열로 인해 질환이 더 악화할 수 있는 만큼 해열제를 먹여야 한다. 발열 후에는 아이의 전신 상태를 꼼꼼히 살피는 것이 중요하다. 기침, 가래, 천명, 쌕쌕거림 등의 증상이 동반되면 폐렴이나 모세기관지염을, 다른 증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