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고기에 잡아먹힌 뱀장어, 아가미로 탈출하는 모습 포착"

日 연구팀 "포식자 배 속 먹이동물 행동 첫 촬영…새 방어전략 발견"

 포식자에게 잡아먹히는 피식 종(prey species) 동물의 방어 전략에 한 가지가 추가됐다.

 새끼 뱀장어(Anguilla japonica)가 물고기에게 잡아먹힌 뒤 아가미를 통해 배 속에서 탈출하는 모습이 카메라에 포착됐다.

 일본 나가사키대 가와바타 유키 교수팀은 10일 과학 저널 커런트 바이올로지(Current Biology)에서 X선 비디오 촬영 장치로 물고기에 잡아먹힌 새끼 뱀장어가 꼬리 끝을 식도와 아가미에 밀어 넣고 머리를 빼내 탈출하는 것을 발견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이전 연구에서 뱀장어가 잡아먹힌 후 포식자의 아가미에서 탈출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으나 포식자의 몸 안에서 일어나는 일이라 탈출 경로와 탈출 중 행동 패턴은 알 수 없었다고 말했다.

 실험 결과 남방동사리에게 잡아먹힌 새끼 뱀장어 32마리 중 28마리가 소화관을 통해 식도와 아가미로 탈출을 시도한 것으로 나타났다.

 탈출을 시도한 뱀장어 가운데 13마리가 꼬리를 남방동사리의 아가미 밖으로 빼내는 데 성공했고, 이 중 9마리는 몸과 머리까지 빼내 탈출하는 데 성공했다.

 탈출한 뱀장어들이 아가미로 빠져나오는 데 걸린 시간은 평균 56초였다

 가와바타 교수는 "가장 놀라운 순간은 뱀장어가 배 속에서 아가미를 향해 소화관을 거슬러 올라가 탈출하는 장면을 처음 관찰했을 때"라며 "뱀장어가 포식자의 입에서 아가미로 바로 탈출할 것으로 추측했으나 예상과 달리 뱃속에서 식도와 아가미로 필사적으로 탈출을 시도했다"고 말했다.

 이어 "뱀장어들이 뱃속에서 탈출구를 찾기 위해 빙빙 돌기도 했고 이는 잡아먹힌 뱀장어들이 탈출을 위한 특정 행동을 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며 "이 연구는 포식자의 소화관 안에서 일어나는 먹이 동물의 행동을 포착한 최초 사례"라고 덧붙였다.

 연구팀은 향후 연구에서는 뱀장어가 성공적으로 탈출할 수 있는 행동 특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볼 계획이라며 이번 연구에서 사용한 X선 비디오 촬영 방법은 다른 포식자-먹이 행동 관찰에도 적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 출처 : Current Biology, Yuha Hasegawa et al., 'How Japanese eels escape from the stomach of a predatory fish', https://www.cell.com/current-biology/fulltext/S0960-9822(24)00926-6.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긴 연휴에 아이 열나면?…부모가 꼭 알아야 할 대처요령
올해 추석 연휴는 개천절과 임시공휴일, 한글날이 이어지면서 무려 1주일의 황금연휴가 됐다. 가족과 함께 오랜만에 여유를 만끽할 기회지만, 어린 자녀를 둔 부모라면 긴 연휴가 마냥 반갑지만은 않다. 낯선 지역을 방문하거나 문을 여는 병원을 찾기 어려운 상황에서 아이가 갑자기 열이라도 나면 당황하기 쉽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이런 때일수록 불안해하기보다 차분하게 아이의 상태를 살피고, 연휴 전 미리 방문할 지역의 응급 의료기관을 확인해두는 게 중요하다고 조언한다. ◇ 아이 발열은 정상 면역반응…"잘 먹고 잘 자면 해열제 불필요" 발열은 바이러스나 세균이 몸에 침투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정상적인 면역반응으로, 체온이 38도 이상일 때를 말한다. 39∼40도 이상이면 고열로 분류된다. 발열 자체가 곧 위험 신호는 아니다. 아이가 열이 있으면서도 평소처럼 잘 먹고, 잘 놀고, 잘 자는 상태라면 지켜보는 것으로 충분하다. 다만, 만성 기저질환이 있는 경우에는 열로 인해 질환이 더 악화할 수 있는 만큼 해열제를 먹여야 한다. 발열 후에는 아이의 전신 상태를 꼼꼼히 살피는 것이 중요하다. 기침, 가래, 천명, 쌕쌕거림 등의 증상이 동반되면 폐렴이나 모세기관지염을, 다른 증상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