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철 숙면 관심 증가…'쿨슬립' 제품·서비스 시장 확대"

KPR, 소셜 빅데이터 분석…5월부터 관련 키워드 언급량 급증

 무더운 여름철 수면 환경을 개선하려는 소비자들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24일 종합커뮤니케이션그룹 KPR 부설 KPR 디지털커뮤니케이션연구소가 약 3만건의 소셜 빅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여름철 수면 관련 키워드 언급량이 3월 대비 5월에 약 43% 증가했다.

 이에 따라 수면 환경 개선을 위한 쿨슬립 제품과 서비스도 다양해지고 있다.

 냉감 이불, 쿨젤 매트리스, 메시 베개 등 침구류와 LED 수면등, 서큘레이터, 냉감 커튼 등 다양한 쿨링 인테리어 제품이 여름철 인기 품목으로 부상했다.

 슬립테크(Sleep-Tech) 기술의 접목도 활발하다. 인공지능(AI) 기반의 수면 모니터링 앱, 스마트 밴드, 자동 온도 조절 매트리스 등이 대표적이다.

 김은용 KPR 디지털커뮤니케이션연구소장은 "쿨슬립 제품과 슬립테크의 결합은 향후 여름철 수면 시장의 새로운 기준이 될 것이며, 관련 데이터를 활용한 개인 맞춤형 커뮤니케이션 전략 또한  더욱 중요해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KPR 디지털커뮤니케이션연구소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긴 연휴에 아이 열나면?…부모가 꼭 알아야 할 대처요령
올해 추석 연휴는 개천절과 임시공휴일, 한글날이 이어지면서 무려 1주일의 황금연휴가 됐다. 가족과 함께 오랜만에 여유를 만끽할 기회지만, 어린 자녀를 둔 부모라면 긴 연휴가 마냥 반갑지만은 않다. 낯선 지역을 방문하거나 문을 여는 병원을 찾기 어려운 상황에서 아이가 갑자기 열이라도 나면 당황하기 쉽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이런 때일수록 불안해하기보다 차분하게 아이의 상태를 살피고, 연휴 전 미리 방문할 지역의 응급 의료기관을 확인해두는 게 중요하다고 조언한다. ◇ 아이 발열은 정상 면역반응…"잘 먹고 잘 자면 해열제 불필요" 발열은 바이러스나 세균이 몸에 침투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정상적인 면역반응으로, 체온이 38도 이상일 때를 말한다. 39∼40도 이상이면 고열로 분류된다. 발열 자체가 곧 위험 신호는 아니다. 아이가 열이 있으면서도 평소처럼 잘 먹고, 잘 놀고, 잘 자는 상태라면 지켜보는 것으로 충분하다. 다만, 만성 기저질환이 있는 경우에는 열로 인해 질환이 더 악화할 수 있는 만큼 해열제를 먹여야 한다. 발열 후에는 아이의 전신 상태를 꼼꼼히 살피는 것이 중요하다. 기침, 가래, 천명, 쌕쌕거림 등의 증상이 동반되면 폐렴이나 모세기관지염을, 다른 증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