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 약물 사용 경험 1.63%…코로나 때 줄었다 큰 폭 반등"

2018∼2023년 '청소년건강행태조사' 분석…코로나19 기간에는 0.73%로↓
'스마트폰 과다 사용' 약물 사용 위험 높이는 요인으로 부상

 청소년의 약물 사용 경험이 코로나19 팬데믹 때 일시적으로 줄어들었다가 일상 회복 이후 더 큰 폭으로 반등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중독정신의학회에 따르면 한양대 하민경·김윤진·노성원 연구팀은 학회가 발간하는 '중독정신의학' 최신호에 이런 연구결과가 담긴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한 청소년 약물 사용 변화' 논문을 게재했다.

 약물에는 신경안정제, 각성제, 수면제, 식욕억제제, 마약성 진통제, 본드, 대마초, 코카인, 부탄가스 등이 포함됐고 의사로부터 처방받은 약을 먹은 경우는 제외됐다.

 연구진은 팬데믹 기간의 약물 사용 위험은 팬데믹 전보다 유의하게 낮았고 팬데믹 이후에는 위험이 유의하게 높아졌다면서 이는 팬데믹 동안 미국 청소년의 대마초 사용 빈도가 증가했다는 연구 등과 상반된다고 지적했다.

 연구진은 "한국의 경우 강력한 사회적 거리두기와 이동 제한으로 또래 관계가 약화하고 약물 접근성이 제한되면서 일시적으로 약물 사용이 억제된 것으로 해석된다"고 했다.

 또 "반면 팬데믹 이후에는 누적된 부정적 정서와 학교 복귀로 인한 스트레스를 해소하려는 과정에서 약물 사용이 증가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여성 청소년은 코로나19 이전에는 남성 청소년보다 약물 사용 위험이 낮았으나 팬데믹 이후에는 위험이 남성 청소년보다 유의하게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또 코로나19 이후에는 '스마트폰 과다 사용'이 약물 사용 위험을 높이는 요인으로 부상한 것으로 분석됐다.

 이는 스마트폰 사용 증가가 약물 접근성을 높이는 경로로 작용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는 게 연구진의 설명이다.

 보육시설 거주, 신체적 폭력 피해, 우울·자살 등 정신건강 문제는 팬데믹 이전·중간·이후에 걸쳐 일관되게 약물 사용 위험을 높인 것으로 나타났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긴 연휴에 아이 열나면?…부모가 꼭 알아야 할 대처요령
올해 추석 연휴는 개천절과 임시공휴일, 한글날이 이어지면서 무려 1주일의 황금연휴가 됐다. 가족과 함께 오랜만에 여유를 만끽할 기회지만, 어린 자녀를 둔 부모라면 긴 연휴가 마냥 반갑지만은 않다. 낯선 지역을 방문하거나 문을 여는 병원을 찾기 어려운 상황에서 아이가 갑자기 열이라도 나면 당황하기 쉽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이런 때일수록 불안해하기보다 차분하게 아이의 상태를 살피고, 연휴 전 미리 방문할 지역의 응급 의료기관을 확인해두는 게 중요하다고 조언한다. ◇ 아이 발열은 정상 면역반응…"잘 먹고 잘 자면 해열제 불필요" 발열은 바이러스나 세균이 몸에 침투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정상적인 면역반응으로, 체온이 38도 이상일 때를 말한다. 39∼40도 이상이면 고열로 분류된다. 발열 자체가 곧 위험 신호는 아니다. 아이가 열이 있으면서도 평소처럼 잘 먹고, 잘 놀고, 잘 자는 상태라면 지켜보는 것으로 충분하다. 다만, 만성 기저질환이 있는 경우에는 열로 인해 질환이 더 악화할 수 있는 만큼 해열제를 먹여야 한다. 발열 후에는 아이의 전신 상태를 꼼꼼히 살피는 것이 중요하다. 기침, 가래, 천명, 쌕쌕거림 등의 증상이 동반되면 폐렴이나 모세기관지염을, 다른 증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