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이 2가 됐다면 2배 증가한 것인가요?

- 딥페이크 관련 경찰 신고는 2021년 156건에서 지난해 964건으로 6배 이상 늘었다.
- 배수시설 민원은 지난 상반기 8천872건 접수돼 전년 동기(5천495건) 대비 1.61배 증가했다.
- 연간 출원 규모는 2005년 57건에서 지난해 416건으로 약 7.3배 늘었다.

 언제부턴가 증감 표현이 무뎌졌습니다. 얼마 늘었다 줄었다 하거나 몇 배 증가했다 감소했다 하는 말들 말입니다. 정보를 전하는 글인데, 게다가 숫자를 쓰고 그 변화를 나타내는 경우라면 더 벼릴 필요가 있습니다. 

 어제까지 1000원 하던 빵값이 오늘부터 1500원 한답니다. 다양하게 쓸 수 있습니다. 빵값이 오늘부터는 50% 오른 1500원이라는 거네요. 0.5배 오른 가격이라고요. 하루아침에 값이 1.5배가 되어버렸다는 거예요. 1.5배로 뛴 가격이라고요. 빵값은 1000원에서 1500원으로 0.5배(50%) 올랐습니다. 가격이 1000원에서 1500원으로 올라, 1.5배(150%)가 되었다고요.

 1이 2가 되면 1 증가한 것 아닐까요? 원래 수치는 1. 그 1과 같은 크기만큼 늘었다면 1배, 즉 100% 증가했다고 합니다. 증가 폭은 1배, 100%입니다. 배증이라고도 합니다. 2는 배증한 결과치입니다. 결과에 이른 숫자라고요. 1보다 1이 많아졌네요. 1이 배 늘어서 2배인 2가 된 것입니다. 강조하고 싶은 것은 증가량이 2배, 즉 200%가 아니라는 점입니다. 어인 말씀을요. 증가량이 2배라면 증가한 결과치는 3이 돼야 마땅하잖아요.

 예문들에서 보이는 문제는 무엇일까요? 6배 이상, 1.61배, 약 7.3배를 증가량인 양 썼다는 것입니다. 원 수치에 견준 결과치 크기를 [∼배]로 표시한 것인데도요. [X배 늘었다] 하면 X배는 증가량입니다. [X배로 늘었다] 하면 결과치를 말하는 거고요. 조사(∼로, 등등)가 뜻을 가릅니다.

 예문들은 비교하는 숫자 둘을 다 썼기에 오인될 여지가 없거나 적다고 반론할 수 있습니다. 그렇지만 1차 자료로 활용되는 글이라면 오독할 가능성을 원천 차단하는 게 좋습니다. 부정확한 정보 유통을 우려해서입니다.

 특정 기사문에서 세부 수치는 빼고 증감량만 따서 인용, 재인용하는 다른 글이 얼마든지 생산될 수 있거든요. 학술 논문이나 책들이 예입니다. 이 경우 증감치와 증감 결과치가 뒤섞여 추정될 수 있습니다. 통계나 여러 수치 활용에서 혼란이 생기는 거지요.

 [○○○에 따르면 지난달 밤 지하철역을 찾은 사람들은 16만5천명으로 전달보다 두배 이상 늘었다]라는 보도 내용도 보았습니다. 여기서 전달은 글자 그대로 지지난달일까요, 아니면 지지난달 밤일까요? 또, 밤은 언제부터 언제까지를 말하는 걸까요? 결정적으로 지지난달 (밤에) 지하철역을 찾은 사람은 몇 명가량으로 추산할 수 있을까요? 막막합니다.

 표현이 모호한 탓입니다. 매출과 영업이익, 그리고 그 증감을 주로 옮기는 기업 실적 기사문만큼은 아니더라도, 정보를 전하는 모든 글은 숫자를 더 세심하게 다뤄야 합니다. 독자들 신뢰가 배증하여 지금의 두 배가 되는 것을 꿈꾼다면요.

※ 이 글은 다음의 자료를 참고하여 작성했습니다.

1.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온라인)

2. 네이버 고려대한국어대사전

3. 동아 백년옥편 전면개정판(2021년판)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유전자가위 동시에 켜고 끈다…이중모드 크리스퍼 가위 개발
한국과학기술원(KAIST) 이주영 교수와 한국화학연구원 노명현 박사 공동 연구팀은 대장균(박테리아의 일종)에서 원하는 유전자를 동시에 켜고 끌 수 있는 '이중모드 크리스퍼(CRISPR) 유전자 가위'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2일 밝혔다. 유전자 가위는 인간·동식물 세포의 특정 염기서열을 찾아내 해당 부위 데옥시리보핵산(DNA)을 절단함으로써 유전체를 교정하는 기술이다. 대표적으로 '크리스퍼 카스9 유전자가위'(CRISPR-Cas9)가 널리 활용되고 있는데, 절단 효소인 카스9(Cas9) 단백질과 교정할 유전자 부위를 찾아주는 '가이드 리보핵산(RNA)'이 결합해 유전체를 편집하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다만 '끄기'(억제) 기능에 특화돼 유전자 발현을 막는 데는 뛰어나지만, 유전자를 켜 활성화하는 기능은 제한적이다. 그나마 사람·식물·동물 등 다세포 생물의 기본 단위인 진핵세포에서는 켜는 것이 가능하지만, 박테리아에게서는 유전자 켜기가 되지 않는다는 한계가 있다. 박테리아는 구조가 단순하고 빠르게 증식하면서도 다양한 유용 물질을 생산할 수 있어, 합성생물학(미생물을 살아있는 공장처럼 만들어 의약품과 화학물질 등을 생산할 수 있는 핵심 기술)의 기반이 된다. 합성생물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