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분 안 되는 짧은 영상 '숏폼'…뇌가 썩는다?

 분명 1분이 채 안 되는 짧은 영상이었는데 보다 보면 하루가 훌쩍 지나갑니다.

 무심코 몇 시간씩 스크롤을 하고 나면 공허한 기분이 드는데요. 바로 이것을 '뇌 썩음'이라고 합니다.

 옥스퍼드대 출판부는 지난해 12월 과도한 온라인 콘텐츠 소비로 뇌가 멍해지는 상태인 '뇌 썩음'을 2024년 '올해의 단어'로 발표했습니다.

 특히 20대 이하에서는 약 85%가 이용하고 있을 정도로 숏폼 영상 시청률이 높았습니다.

 이렇게 짧고 흥미진진한 영상들이 정말 우리 뇌를 썩게 할까요?

 이인아 서울대 뇌인지과학과 교수는 "숏폼 콘텐츠가 뇌 썩음을 일으킨다기보다는 인지 기능의 저하를 가져온다는 게 포인트인 것 같다"면서 "짧은 집중만을 하는 훈련을 받으면 뇌는 환경이 그걸 요구한다고 착각하고 그렇게 변한다. 더 이상 긴 집중력을 가져야 하는 그런 콘텐츠는 다루지 못하게 된다"고 설명했습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2023년 실시한 '스마트폰 과의존 실태조사'에 따르면 숏폼 서비스 이용자 중 23%가 이용 시간 조절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답했는데요.

 전문가들은 인간의 뇌가 보상이 빨리 주어질수록 그 행동을 반복하도록 진화했기 때문에 짧고 강한 자극을 주는 숏폼 영상을 놓을 수 없게 된다고 설명합니다.

 신영철 강북삼성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는 "자동 스크롤을 통해 SNS를 보다 보면 자기도 모르게 시간이 빨리 흘러간다. 즉, '시간 왜곡 현상'이 일어난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SNS를 이용하는 정확한 시간을 파악하고, 중요한 시간에는 스마트폰을 잠시 내 몸과 떨어뜨리는 훈련을 한다던가, 이용 시간 한계를 명확하게 설정해야 한다"고 조언했습니다.

 '콘텐츠의 홍수'라 불릴 만큼 숏폼 영상이 넘쳐나는 지금, 뇌 건강을 지키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자극적인 콘텐츠들에 피로감을 느껴 자발적으로 디지털 디톡스를 실천하는 사람들도 있습니다.

 휴대전화를 일정 시간 동안 이용하지 못하도록 잠그는 '금욕 상자'를 구매하거나 휴대전화를 사용할 수 없는 책방 등에 방문하기도 합니다.

 김문 '소수책방' 책방지기는 "처음에는 디지털 디톡스를 하고 나서 어색해하고 놀라워도 하고 재미있어하는 분들도 있는데, 나중에는 핸드폰을 잊어버릴 정도로 너무 좋은 경험이었다고 말한다"고 전했습니다.

 포브스는 최근 '뇌 썩음'을 조명하면서 건강한 두뇌를 만드는 습관을 소개했는데요.

 오메가3, 비타민B가 풍부한 음식 섭취, 유산소 운동과 걷기, 의식적인 심호흡과 명상, '멀티 태스킹' 하지 않기 등을 실천하라고 했습니다.

 이인아 교수는 "숏폼을 안 보면 계속 그걸 보는 것보단 낫겠지만 안 볼 때 뭘 하느냐가 중요하다"면서 "숏폼에서 멀어질 수 있는 자기만의 강력한 대안이 필요하다"고 말했습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포괄 2차병원 지원 구체화…중환자실 수가 1일 3만∼15만원 가산
정부가 지난달 의료개혁의 일환으로 발표한 포괄 2차 종합병원 육성안의 구체적 평가·지원안을 공개했다. 적정성 평가 결과를 따져 중환자실 입원 수가를 정액으로 더해주고 내원 24시간 이내 응급수술에는 가산 수가를 지급한다. 성과지표에는 지역 내 응급환자 수용 실적 외에도 중증화 보정 사망비 등이 시범지표로 들어갔다. 대통령 직속 의료개혁특별위원회(의개특위)와 보건복지부는 지난 16일 서울 중구 프레지던트호텔에서 포괄 2차 종합병원 지원사업 공청회를 열고 이 같은 개혁안을 발표했다. 정부는 지난달 의료개혁 2차 실행방안을 내놓으며 지역 대부분의 의료 수요를 충족하는 포괄적 진료역량을 갖추고 필수 기능을 수행하는 종합병원(포괄 2차 종합병원)을 육성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중등증(경증과 중증 사이) 이하 환자가 수도권 대형병원을 찾지 않고 지역 종합병원과 병원 등에서 충분히 치료받을 수 있도록 한다는 취지다. 이를 위해 정부는 3년간 2조원을 중환자실 수가 인상·응급의료행위와 응급 대기에 대한 보상 강화·성과 지원에 투입하기로 했다. 이날 공개된 안에 따르면 중환자실 수가는 기관별 적정성 평가 결과와 연동돼 입원 1일당 정액으로 가산 지급된다. 적정성 평가 1·2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생활습관병은 의사가 못고친다"…40년간 감기 안걸린 국민의사
인생의 95%는 건강으로 결정된다. 권력과 명예, 부(富)는 부차적 요소다. 인간에게 생명은 제일 중요한 자산인데, 이 생명의 기간을 결정하는 것은 건강이기 때문이다. 건강을 지키는 것은 쉽지 않다. 타고난 것도 있기에 더욱 그렇다. 인터뷰이들은 소식(小食)하고, 운동하고, 술을 자제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한다. 담배를 끊는 것도 중요하지만 인터뷰이들은 이에 대해 별로 언급하지 않았다. 그들 대부분은 흡연자가 아니기 때문이다. 사람들이 이 건강 비결을 모르지는 않는다. 다만 실천을 못 하기에 문제가 생긴다. 실천력도 타고나는 측면이 강하지만, 후천적 노력으로 어느 정도 확보할 수 있다. 생활에서의 보람도 건강에 중요하다고 인터뷰이들은 전한다 적지 않은 사람이 정년퇴직 후에 건강을 잃거나 빨리 노화된다. 이는 보람, 즉 타인으로부터 인정받고자 하는 욕구가 충족되지 않아 면역력이 떨어지기 때문이라고 한다. 무턱대고 부지런하다고 해서 인정받는 것은 아니다. 전략적 사고를 할 줄 알아야 한다. 인터뷰이들은 대체로 이런 사고 능력을 갖춘 사람들이다. 전략적 사고보다 더 중요한 것은 자기 적성에 맞는 일을 직업으로 선택하는 것이다. 적성에 맞지 않으면 노력도, 전략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