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렉라자 병용요법, 경쟁 약물 대비 생존 기간 12개월 연장 예상"

유럽폐암학회, 렉라자 병용요법·타그리소 단독요법 비교 초록 데이터 공개

 유한양행의 비소세포폐암 치료제 '렉라자'(성분명 레이저티닙)와 글로벌 제약사 존슨앤드존슨(J&J)의 항암제 '리브리반트'(성분명 아미반타맙) 병용요법이 경쟁 약물과 비교해 생존율 개선에 도움이 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20일 제약업계에 따르면 유럽폐암학회(ELCC)는 홈페이지에 상피세포성장인자수용체(EGFR) 돌연변이를 지닌 진행성 비소세포폐암 환자에 대한 1차 요법으로서 렉라자·리브리반트 병용요법과 아스트라제네카의 '타그리소'(성분명 오시머티닙) 단독요법을 비교한 임상 3상 '마리포사'의 논문 초록을 공개했다.

 마리포사는 EGFR 돌연변이를 지닌 진행성 비소세포폐암 환자를 렉라자·리브리반트 병용요법군 429명, 타그리소 단독 투여군 429명으로 분류해 진행됐다.

 연구 결과 렉라자·리브리반트 병용요법은 타그리소 단독요법 대비 전체 생존 기간(OS) 중앙값을 최소 12개월 이상 연장할 것으로 예측됐다.

 OS 중앙값이란 환자들의 생존 기간을 1등부터 끝 번호까지 나열했을 때 가운데 순위에 해당하는 환자가 생존한 기간을 의미한다.

 또 추적 관찰 36개월 시점에서 렉라자·리브리반트 병용요법군은 60%가, 타그리소 단독 투여군은 51%가 생존했다.

 연구진은 "렉라자·리브리반트 병용군이 타그리소 단독군 대비 OS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고 임상적으로 의미 있는 개선 효과를 보인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와 관련한 추가 연구 결과는 별도로 발표될 예정이다.

 렉라자는 폐암 세포 성장에 관여하는 EGFR의 신호 전달을 방해해 암세포 증식과 성장을 억제하는 표적항암제로, 작년 8월 국산 항암제로는 처음으로 미국 식품의약품청(FDA) 허가를 받았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추석 연휴 해외여행 급증…지역별 감염병 '맞춤 예방' 필수
추석 황금연휴를 맞아 해외로 떠나는 이들이 늘면서 출국 전 올바른 감염병 예방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지난달 부산의 한 병원에서 서아프리카 지역을 여행 다녀온 남성이 고열과 기력 저하 증세로 병원을 찾았다. 검사 결과, 그는 열대열 말라리아에 걸린 것으로 확인됐다. 이 남성은 출국 전 예방약을 복용했지만, 내성이 있는 말라리아균에 감염돼 상태가 급속도로 악화했고 결국 숨졌다. 추석 연휴를 맞아 해외여행객이 증가하는 시기에는 여행지별 유행 질병과 그에 맞는 맞춤형 예방 조치가 중요하다. 국가나 지역마다 감염될 수 있는 질병이 모두 다르며 수돗물, 벌레, 야생 동물과의 접촉 등 예상치 못한 상황에서 감염될 수 있다. 특히 한국인들이 많이 찾는 동남아시아에서는 A·B형 간염, 장티푸스뿐 아니라 모기 매개 감염병인 말라리아, 뎅기열, 지카 바이러스 등이 활발히 퍼지고 있다. 이정규 부산대병원 가정의학과 교수는 "최근 베트남과 몽골에서는 홍역이 유행 중인데, 우리나라 성인 중에는 항체가 없는 경우도 적지 않다"며 "동남아시아에서 소아 치사율 1위인 뎅기열 역시 우리나라에는 없던 병인데 베트남이나 캄보디아에서 걸리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고 말했다. 해외 감염병은 현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