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타민D 결핍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중증 진행, 사망 위험과 연관이 있다는 새로운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이스라엘 바르일란(Bar-Ilan) 대학과 갈릴리 메디컬센터(GMC)의 이비인후과 전문의 아미엘 드로르 박사 연구팀이 2020년 4월부터 2021년 2월 사이에 갈릴리 메디컬센터에 입원한 PCR 양성 코로나19 환자 1천176명의 의료 기록을 분석한 결과 이 같은 사실이 밝혀졌다고 미국 과학진흥협회(AAAS)의 과학 뉴스 사이트 유레크 얼러트(EurekAlert)가 보도했다. 연구팀은 이들 중 코로나19에 감염되기 2주에서 2년 전 사이에 혈중 비타민D 수치를 측정한 기록이 있는 253명을 대상으로 비타민D 혈중 수치와 코로나19 예후 사이에 연관이 있는지를 분석했다. 이 중 52%가 비타민D 혈중 수치가 '결핍'에 해당하는 20ng/mL 이하, 14%는 '불충분' 범위인 20~29ng/mL, 17%는 '충분' 수준인 30~39ng/mL, 16%는 '높은' 40ng/mL 이상이었다. 분석 결과 코로나19 감염 전에 비타민D 혈중 수치가 20ng/mL 이하인 환자는 40ng/mL 이상인 환자보다 증상이 중증 내지 위중으로 악화할 위험이
신세대 혈전용해제인 테넥테플라제(제품명: 메틸라제)가 뇌경색(허혈성 뇌졸중) 표준 치료제로 쓰이는 구세대 혈전용해제 알테플라제(액티라제)보다 안전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뇌경색이 발생하면 막힌 뇌혈관을 신속하게 뚫어 혈류를 회복시켜야 하는데 그러자면 늦어도 뇌경색 발생 4.5시간 안에 혈전용해제를 투여해야 한다. 미국 텍사스 대학 의대 신경과 전문의 스티븐 워러치 박사 연구팀은 테넥테플라제가 혈전용해제의 대표적인 부작용인 뇌내출혈(intracranial hemorrhage) 발생 위험이 알테플라제보다 현저히 낮다는 연구 결과를 오는 9일 뉴올리언스에서 열리는 미국 뇌졸중 협회(American Stroke Association) 온라인 학술회의에서 발표할 예정이라고 헬스데이 뉴스(HealthDay News)가 최근 보도했다. 미국, 호주, 뉴질랜드의 여러 의료기관에서 2018~2021년 알테플라제가 투여된 뇌경색 환자 6천429명과 테넥테플라제가 투여된 1천462명의 의료기록을 비교 분석한 결과 이 같은 사실이 확인됐다고 연구팀은 밝혔다. 전체적으로 테넥테플라제가 투여된 환자는 뇌내출혈 발생률이 2% 남짓으로 알테플라제가 투여된 환자의 3.7%에 비
류머티즘 관절염 신약인 야누스 키나제 억제제(JAK inhibitor) 계열의 젤잔즈(성분명: 토파시티닙)가 심근경색, 뇌졸중 등 심혈관 질환과 암 위험을 높일 수 있음을 보여주는 새로운 임상시험 결과가 나왔다. 류머티즘 관절염은 노인들에게 흔히 나타나는 퇴행성 관절염(골관절염)과는 달리 면역세포의 일종인 T세포가 팔목, 손가락, 발가락, 발목, 무릎 등 신체의 관절이 있는 부위를 공격해 발생하는 일종의 자가면역 질환으로 모든 연령대에서 발생할 수 있다. 미국 메이요 클리닉(Mayo Clinic)의 류머티즘 전문의 스티븐 이터버그 박사 연구팀이 류머티즘 관절염 환자 약 4천400명(50세 이상)을 대상으로 진행한 임상시험에서 이 같은 사실이 밝혀졌다고 헬스데이 뉴스(HealthDay News)가 최근 보도했다. 임상시험 참가들은 고혈압, 당뇨병 등 심혈관 질환 위험요인을 최소한 한 가지 이상 가지고 있었고 류머티즘 관절염 표준 치료제인 메토트렉세이트가 잘 듣지 않는 환자들이었다. 연구팀은 이들에게 JAK 억제제 계열의 토파시티닙 또는 종양괴사 인자(TNF: tumor necrosis factor) 차단제를 4년여에 걸쳐 투여했다. 임상시험 기간에 토파시티닙
최근 몇 년간 고혈압 치료제와 금연치료제 등 의약품에서 불순물이 잇달아 검출된 가운데 이번에는 천식약에서 새로운 유형의 불순물 검출 가능성이지적됐다. 4일 제약업계에 따르면 식품의약품안전처(식약처)는 천식과 알레르기 비염에 쓰이는 치료제 '몬테루카스트나트륨' 성분에서 불순물이 검출됐다는 안전성 정보를 입수했다. 이에 따라 식약처는 국내 업체에 해당 의약품의 원료 및 완제의약품에 대해 불순물 검사를 진행하고 올해 4월 25일까지 관련 자료를 제출하라고 지시했다. 이는 몬테루카스트 성분 원료의약품에서 N-니트로소디프로필라민(NDPA)이 검출됐다는 국내 제조 및 수입업체의 자체 보고 사항에 따른 사전 예방적 조치다. NDPA는 암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는 니트로사민류 물질이다. 식약처는 업체의 불순물 점검 결과 제출기한 이전이라도 NDPA가 검출된 경우 즉시 보고할 것을 지시했다. 최근 몇 년간 국내에서는 또 다른 니트로사민류 불순물인 N-니트로소디메틸아민(NDMA)이 의약품에서 잇따라 검출돼 문제가 됐다. NDMA는 2018년 고혈압치료제 발사르탄과 위장약 라니티딘·니자티딘 등에서 검출됐고, 2019년에는 메트포르민 성분의 당뇨치료제 31개에서 NDMA가 관리 기
화이자의 코로나19 먹는치료제 '팍스로비드'를 복용한 10명 중 8명은 '증상 호전'을 경험한 것으로 조사됐다. 복용 중에 위중증 또는 사망으로 악화한 환자는 없었으며, 10명 중 7명은 '쓴맛'을 느끼는 미각 변화를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는 국내 팍스로비드의 초기 복용자 63명의 건강상태와 치료경과 등을 분석한 자료를 2일 공개했다. 복용자 63명 중 재택치료자는 51명, 생활치료센터 입소자는 12명이었고, 이 가운데 60명(95.2%)은 5일간의 복용을 완료했다. 3명은 발열 지속, 미각변화로 복용을 중단했다. 복용자 중 위중증 및 사망으로 진행한 경우는 없었다. 설문조사에 응한 55명의 복용 전·후 상태를 확인한 결과, 복용 전에는 호흡기증상, 인후통, 발열·근육통 등이 있었다. 44명(80%)은 복용 후 증상이 호전됐다고 응답했는데, 이 중 '모든 증상이 사라졌다'가 23명(41. 8%), '상당히 호전됐다' 13명(23.6%), '일부 호전됐다' 8명(14.5%)이었다. '큰 차이가 없었다'는 10명(18.2%), '악화했다'는 1명이었다. 또 38명(69.1%)은 복용 중 쓴맛이 느껴지는 미각 변화를, 13명(23.6%)
전파력이 강한 코로나19의 오미크론 변이가 빠른 속도로 퍼지면서 백신 접종자의 '돌파 감염' 우려도 커지고 있다. 지금까지 개발된 백신으론 오미크론 변이를 완전히 막기 어렵다는 연구 결과도 이미 학계에 보고됐다. 이런 상황에서 코로나19 감염과 백신 접종이 결합하면 초강력 '하이브리드 면역'(hybrid immunity)이 생긴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두 가지가 한데 묶이면 단순히 백신만 맞았을 때보다 훨씬 강한 '슈퍼 면역(super immunity)' 효과가 난다는 게 요지다. 이런 면역력 증강 효과는 백신 접종과 감염의 순서가 뒤바뀌어도 달라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백신을 맞은 다음에 돌파 감염이 일어나든, 감염 병력이 있는 사람이 백신을 맞든 효과는 비슷하다는 것이다. 이 연구는 오미크론 변이가 출현하기 전에 이뤄졌다. 하지만 오미크론 변이에 의한 돌파 감염도 비슷한 효과를 낼 수 있다고 과학자들은 기대한다. 미국 오리건 보건과학대(OHSU)의 피카두 타페스(Fikadu Tafesse) 분자 미생물학 면역학 조교수팀이 수행한 이 연구 결과는 25일(현지시간) 저널 '사이언스 면역학'(Science Immunology) 온라인판에 논문으로 실렸다.
녹내장 치료제 '비마토프로스트'가 탈모 증상을 개선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는 동물실험 결과가 나왔다. 중앙대학교병원 피부과 김범준 교수와 목포대학교 약학과 박진우 교수 연구팀은 특수 고안된 혼합 용매를 이용한 비마토프로스트 제제의 탈모 개선 효과를 확인했다고 26일 밝혔다. 비마토프로스트는 안압을 떨어뜨리는 효과를 내 녹내장 치료제로 쓰인다. 치료 과정에서 속눈썹이 길어지는 부작용이 확인돼 피부과 분야에서는 속눈썹 증모제로도 활용돼왔다. 비마토프로스트가 '안드로젠 탈모'의 새로운 치료제가 되지 않겠느냐는 기대도 있었지만, 두피에 도포했을 때 약물이 충분히 흡수되지 않는 탓에 실제 효과는 크지 않았다. 안드로젠 탈모는 흔히 '남성형 탈모'로 불린다. 유전적 원인 등에 의해 앞이마가 점차 뒤로 밀려나고 정수리의 모발이 점차 가늘어지며 나타난다. 이에 연구팀은 휘발성 및 비휘발성 용매, 확산제, 항산제 등을 비마토프로스트에 혼합해 새로운 제제를 만든 뒤 피부 조직 투과성과 탈모 개선 효과를 파악했다. 그 결과 비마토프로스트 혼합제제는 인체 조직 투과성이 우수했을 뿐만 아니라 세포 실험에서 모발의 핵심 세포인 '모유두세포'를 증식하는 효과도 냈다. 기존 안드로젠
"약(팍스로비드)을 먹고 3∼4시간 동안은 쓴맛이 올라와요. 그래서 물을 열심히 마시고 있어요." 재택치료 중 먹는 코로나19 치료제 팍스로비드를 처방받아 복용 증인 권재갑(66·남) 씨가 지난 19일 성남시의료원 의료진에 영상 통화로 몸 상태를 설명했다. 지난 15일 코로나19 증상이 나타나기 시작한 권씨는 18일 재택치료에 들어갔고 이날부터 팍스로비드를 복용했다. 현재 팍스로비드는 65세 이상이나 면역저하자에게 우선 공급되고 있다. 중증을 막아주는 약이기 때문에 경증, 중등증(경증과 중증 사이)인 재택치료자나 생활치료센터 입소자가 처방 대상이다. 이 약은 증상 발현 5일 이내 먹어야 한다. '게임 체인저'라는 기대에 비해 도입 초기 처방 건수가 적긴 하지만 의료 현장에서는 먹는 코로나19 치료제의 처방이 특별한 부작용 발생 없이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다. 성남시의료원 코로나19 재택치료 상황실에서 근무하는 최보미 책임간호사는 "약을 복용하는 분들이 그런(쓴맛) 증상을 많이 말씀하신다"며 "미지근한 물을 조금씩 자주 드시면 되고, 약 드시는 동안에는 계속 모니터링하겠다"고 답했다. 최 간호사는 팍스로비드 복용자 중 쓴맛 증상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지만, 특별한
보령제약은 다국적제약사 알미랄과 뿌리는 탈모 치료제 '핀쥬베'의 국내 판권 계약을 체결했다고 21일 밝혔다. 이 제품의 주성분인 피나스테리드는 성인 남성의 안드로겐성 탈모에 처방되는 약물로, 국내 먹는 탈모 치료제 시장의 1위를 차지하고 있는 '프로페시아'에도 쓰인다. 핀쥬베는 피나스테리드를 알약이 아닌 스프레이 제형으로 개발한 제품이다. 탈모 부위 두피에 직접 분무하는 방식이다. 먹는 피나스테리드에 비해 신체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해 안전성은 높고, 효능·효과는 동등한 수준이라고 보령제약은 설명했다. 계약에 따라 보령제약은 핀쥬베에 대한 국내 독점 판매권을 갖게 됐다. 회사는 2023년 상반기 국내 출시를 목표로 허가 절차를 진행 중이다. 정웅제 보령제약 Rx부문장은 "핀쥬베는 제형 개선을 통해 안전성을 높인 제품"이라고 강조하며 "검증된 안전성을 바탕으로 안드로겐성 탈모증을 앓고 있는 환자들에게 좋은 치료 옵션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알미랄은 1943년 설립된 피부과 분야 전문 제약사다. 스페인 바르셀로나에 본사를 두고 있으며, 스페인 증권 거래소에 상장돼 있다. 현재 13개 자회사를 통해 21개국에 진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