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0~64세 절반 연금소득 '제로'…65세 이상은 생계비 절반 수준

'소득절벽' 60~64세 연금 수급률 42.7%…월평균 100만4천원
65세 이상 월연금 70만원 수령…통계청 2023년 연금통계

  2023년 기준으로 65세 이상 전체 연금 수급자의 월평균 연금액은 약 70만원에 근접했지만, 여전히 1인 최저생계비의 절반 수준에 불과했다.

 정년퇴직으로 소득이 끊겼지만 국민연금 수령이 아직 시작되지 않은 일명 '소득 크레바스'(소득공백) 구간인 60∼64세 연령대에서는 절반 이상이 연금소득이 전혀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

 통계청은 25일 이런 내용의 '2023년 연금통계 결과'를 발표했다. 기초·국민·직역(공무원·군인·사학·별정우체국)·주택연금 등 11종의 공·사적 연금 데이터를 연계·분석한 결과다.

 2023년 기초연금·국민연금·직역연금 등 연금을 1개 이상 수급한 65세 이상 인구는 863만6천명으로 연금 수급률은 90.9%였다.

 이는 전년 대비 0.5%포인트 상승한 수치로, 연금 수급률은 2016년 이후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다.

 2개 이상 연금을 동시에 수급한 비율은 37.7%, 월평균 연금 수급액은 69만5천원으로 집계됐다.

 수급액은 전년(65만원) 대비 6.9% 올랐지만, 같은 해 1인 가구 최저생계비(124만6천735원)의 절반 수준이다.

 연금 수급액은 25만∼50만원대가 50.9%로 가장 많았고, 50만∼100만원(31.1%), 100만∼200만원(8.2%), 200만원 이상(5.9%), 25만원 미만(4.0%) 등 순이었다.

 연금종류별로 살펴보면 기초연금 수급자가 646만1천명으로 가장 많았고, 국민연금 수급자는 476만명으로 집계됐다.

 월평균 수급액은 기초연금이 29만2천원, 국민연금이 45만2천원으로 나타났다.

 등록취업자는 월평균 77만9천원, 미등록자는 65만7천원의 연금을 받았다. 수급률은 각각 93.1%, 90.0%였다.

 특히 등록취업자 중 연금수급자는 267만4천명으로, 2016년 관련 통계 작성 이래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고령층이 연금만으로는 생계를 꾸리기 어려운 상황이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주택을 소유한 수급자의 수급액은 87만3천원, 무주택 수급자는 54만5천원이었다. 수급률은 각각 91.6%, 90.4%로 집계됐다.

 성별로는 남자(90만1천원)가 여자(51만7천원)보다 2배 가까이 많이 받았다.

 남성은 국민연금, 여성은 기초연금 수급률이 높은 편인데, 국민연금은 가입 기간과 물가상승률에 모두 영향을 받는 반면, 기초연금은 물가상승률만 반영돼 격차가 발생한다는 게 통계청의 설명이다.

 청장년층인 18∼59세 연금 가입률은 81.0%로, 전년(80.2%)보다 상승했고, 2개 이상 중복 가입률은 33.1%로 전년(33.0%)보다 소폭 증가했다.

 월평균 보험료는 34만4천원으로 전년(33만5천원)보다 2.9% 증가했다.

 청장년층인 18∼59세 등록 취업자의 연금 가입률은 95.1%로, 월평균 39만4천원의 보험료를 냈다.

 반면 미등록자의 연금 가입률은 52.5%에 그쳤다. 이들이 낸 월평균 보험료는 16만1천원이었다.

18∼59세 주택 소유자의 연금 가입률은 91.8%, 월평균 보험료는 45만3천원이었다. 주택 미소유자의 가입률은 76.4%, 월평균 보험료는 28만9천원으로 나타났다.

 가구로 보면 65세 이상 연금 수급자가 1명 이상 있는 가구(연금 수급가구)는 651만4천가구다. 수급률은 95.8%, 월평균 89만8천원을 받는다.

 65세 이상 인구가 속한 가구 중에서 연금 수급자가 없는 가구(연금 미수급가구)는 28만9천가구로 조사됐다.

 1인 가구 중에 연금을 받는 가구는 201만2천가구다. 월평균 62만1천만원이다.

 ◇ 60∼64세 연금 가입률 41.2%…월평균 보험료 37만3천원

 통계청은 이번 통계에서 '소득 크레바스' 위험이 높은 60∼64세 연령대를 조사 세부구간으로 별도 분석했다.

 이 연령대는 퇴직으로 근로소득이 끊기지만, 국민연금 등 공적연금 수급 개시 연령에는 도달하지 못한 이들이 포함돼있다.

 2023년 연금을 1개 이상 수급한 60∼64세 인구는 177만3천명으로, 연금 수급률은 42.7%였다.

월평균 연금 수급액은 100만4천원이었다.

 2023년 기준, 국민연금 노령연금 수급 개시 연령인 63세를 기준으로 구분해 보면 60∼62세의 수급률은 24.8%, 63∼64세는 69.9%로 차이가 컸다.

 수급 금액의 비중은 25만∼50만원대(29.8%)로 가장 많았고, 50만∼100만원(29.4%), 100만∼200만원(15.9%), 200만원 이상(13.2%), 25만원 미만(11.8%) 등 순이었다.

 국민연금 및 개인연금 수급자는 각각 138만4천명(78.1%), 32만1천명(18.1%)였다.

 연금별 월평균 수급금액은 국민연금이 66만7천원, 개인연금이 53만7천원으로 조사됐다.

 등록취업자는 월평균 97만2천원, 미등록자는 104만7천원의 연금을 받았다. 수급률은 각각 45.3%, 39.7%였다.

 주택소유자의 수급액은 115만8천, 무주택자는 80만1천원이었다. 수급률은 각각 51.5%, 35.0%였다.

 60∼64세 연금 가입률은 41.2%로, 월평균 보험료는 37만3천원이었다.

 이또한 60∼62세 가입률은 50.9%, 63∼64세는 26.6%였다.

 보험료 비중은 10만원 미만(53.5%)대가 가장 많았고, 10만∼25만원(24.5%), 25만∼50만원(13.5%) 등 순이었다.

 등록취업자의 연금 가입률은 52.7%, 미등록자는 27.5%에 그쳤다. 월평균 보험료는 각각 41만5천원, 30만2천원이었다.

 주택소유자의 경우에는 48.0%가 연금에 가입했으나 무주택자는 35.3%였다. 월평균 보험료는 각각 44만2천원, 29만3천원이었다.

 최재혁 행정통계과장은 "현재 연금제도의 정착이 어느 정도 돼서 차곡차곡 쌓여 숙성되는 과정"이라고 설명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숨찬 증상에 노화 탓만?…생명 위협하는 의외의 병일 수도
70대 A씨는 얼마 전 갑작스럽게 숨이 차올라 응급실에 실려 갔다. 검사 결과는 '폐색전증'. 한 달 전 다리 골절로 침대에만 누워 지내던 중 생긴 혈전(피떡)이 폐혈관을 막은 것이다. 의료진은 조금만 늦었더라면 목숨을 잃을 수 있는 상황이었다고 했다. A씨가 진단받은 폐색전증은 심장병, 뇌졸중만큼 잘 알려진 병은 아니다. 하지만 실제로는 이들 질환 못지않게 치명적이다. 특히 초고령사회에 접어든 이후 노인들에게서 발병률이 꾸준히 오르고 있어 경각심이 필요하다. 이 질환은 혈액 찌꺼기가 응고되면서 만들어진 혈전이 혈류를 타고 이동하다가 폐혈관을 막으면서 발생한다. 호흡을 통해 우리 몸에 들어온 산소는 폐포에서 폐혈관으로 옮겨가 적혈구를 타고 각 신체 기관에 전달되는데, 폐혈관이 막히면서 산소 공급이 끊겨 갑작스러운 호흡곤란과 흉통이 발생하는 것이다. 대부분의 경우 혈전은 다리의 심부정맥에서 시작돼 폐로 이동한다. 드물게 신체 다른 부위의 정맥에 혈전이 만들어지는 경우도 있는데, 보통 하나 이상의 심부정맥에 혈전이 만들어지면 '심부정맥혈전증'(DVT)이라고 한다. 폐색전증의 대표 증상인 호흡곤란은 쉬는 동안에도 발생하며, 신체 활동을 하면 악화한다. 또한 심호흡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