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닛은 진단·임상시험 서비스 기업 랩콥과 인공지능(AI) 기반 디지털 병리 분야 협력을 위한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18일 밝혔다. 랩콥은 미국 노스캐롤라이나에 본사를 둔 글로벌 진단·임상시험 서비스 업계 1위 기업으로, 시가총액 221억달러(약 32조원), 지난해 연 매출 130억달러(약 19조원) 규모다. 이번 협력은 랩콥의 임상 및 병리학 전문성과 루닛의 첨단 AI 알고리즘을 결합해 종양미세환경 분석 방식을 획기적으로 개선, 면역항암제 반응을 예측하는 바이오마커 발굴을 가속하는 게 목적이다. 루닛은 "향후 다양한 암종과 동반 진단 영역으로 협력을 확대할 것"이라고 전했다.
메디톡스 계열사 뉴메코는 도미니카공화국 의약품약국총국으로부터 보툴리눔 톡신(보톡스) 제제 '뉴럭스'의 품목허가를 획득했다고 18일 밝혔다. 메디톡스는 2015년 보툴리눔 톡신 제제 '메디톡신'과 2016년 히알루론산 필러 '뉴라미스'를 출시하며 쌓아온 현지 네트워크와 마케팅 노하우를 활용해 뉴럭스의 빠른 시장 진입을 달성할 계획이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은 18일 개인별 의료영상검사 이력 조회 서비스에 만 12세 미만의 일반촬영(엑스레이) 항목을 추가했다. 법정 대리인인 부모들은 공단 애플리케이션과 홈페이지에서 만 12세 미만 자녀의 최근 5년간 엑스레이 촬영 횟수를 조회하고, 연령대별 평균 횟수를 비교할 수 있다. 다만 민간 건강검진 등 비급여로 한 엑스레이는 서비스에서 제외된다. 정기석 공단 이사장은 "소아는 성인보다 방사선에 민감하고 방사선 노출에 따른 암 발생 위험률이 3∼5배 높아 방사선 노출 관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질병관리청은 18일부터 이틀간 여수에서 지역 보건의료기관과 함께 만성질환 워크숍·인력 양성 교육 평가대회를 개최한다. 워크숍에서는 만성질환 관련 사업 담당자들이 사업 현황을 보건소 등에 소개하고 현장 의견을 청취하며, 이어지는 만성질환 전문인력 양성 교육 평가대회에서는 교육 우수 사례를 공유하고 유공 기관과 유공자에 상장 등을 시상할 예정이다. 임승관 질병청장은 "과학적 근거·데이터 기반 사업을 강화하고 전문가 양성 교육을 통해 정책이 지역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서울대학교병원은 최근 최중증·고위험 산모와 신생아 치료를 위한 통합 체계를 갖춘 중증 모자의료센터를 정식으로 열었다고 18일 밝혔다. 센터는 산모·태아 집중치료실(MFICU), 분만실, 수술실, 신생아 소생실 등 분만 전 과정과 응급 분만 상황에 필요한 시설을 갖췄다. 출생 직후 위험 상황에 대비해 신생아 소생실을 분만실 옆에 마련, 즉각적 소생 처치가 가능해졌다. 신생아중환자실(NICU)과 중환자실 내부에는 가족들을 위한 공간인 '도담둥지'를 신설해 퇴원을 앞둔 환아의 부모가 돌봄을 직접 경험하고 가정 돌봄에 적응할 수 있도록 의료진이 가족에 맞춤 지도를 할 수 있도록 했다. 앞서 정부는 중증도에 따라 진료가 이뤄지도록 중증-권역-지역 모자의료센터로 모자의료 전달체계를 개편했다. 특히 세부 분과 진료·협진 역량을 갖춰 고위험 산모·신생아와 다학제적 치료가 필요한 중환자에게 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중증 모자의료센터로서 서울대병원과 삼성서울병원 2곳을 선정한 바 있다. 이들 병원에는 시설·장비비 10억원과 운영비 12억원이 지원된다. 서울대병원 센터는 전국 권역별 센터 간의 협력을 주도하며 타 병원에서 응급 치료가 어려운 고위험 산모와 신생아를 수용해 치료하는
영업 투명성을 강화하기 위해 내년부터 의약품 판촉물 제공을 중단키로 한 제약업계가 5만원 이하 펜 기념품은 허용키로 해 자정 노력의 효과가 퇴색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18일 제약업계에 따르면 국내 제약사들은 최근 소액 판촉물 전용 사이트 운영 계약을 종료했거나 조만간 중단할 예정이다. 제약사들은 그동안 제품설명회에서 의사 등에게 제공하기 위해 제품명이 표시된 1만원 이하 소액 판촉물과 5만원 이하 기념품을 판촉물 전용사이트에서 관리해 왔지만 개정된 한국제약바이오협회 공정경쟁규약에 따라 내년 1월부터 '제품명 판촉물' 제공이 제한됨에 따라 판촉몰을 폐쇄하기로 했다. 제약바이오협회는 작년 국제제약협회연합(IFPMA)으로부터 개정된 자율규약(Code of Practice)을 올해 1월까지 의약품거래에관한 공정경쟁규약 및 공정경쟁규약심의위원회 심의기준에 반영할 것을 권고받고 규약을 변경, 내년부터 시행한다. 제약회사가 규약을 여러 차례 위반할 경우 공정경쟁규약심의위원회 경고나 위약금 부과, 공정거래위원회 신고, 검찰 고발 등 조치가 이뤄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약업계 내 자정 노력을 통해 공정한 경쟁 환경이 조성되고 신뢰도가 개선될 것이라는 기대가 나온다.
침팬지 무리 사이에서는 종종 상대편을 죽이는 폭력적 충돌이 일어나며 이는 '침팬지 전쟁'으로 불린다. 야생 침팬지에서 이런 전쟁이 영토 확장 및 번식력 증가와 명확한 연관성이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대(UCLA) 브라이언 우드 교수와 미시간대 존 미타니 교수팀은 18일 미국립과학원회보(PNAS)에서 우간다 키발레 국립공원 내 응고고 침팬지 무리 간 충돌과 이후 영향을 장기간 추적, 이런 결론을 얻었다고 밝혔다. 우드 교수는 "이 연구 결과는 집단 간 동맹적 살해가 영토 획득과 함께 번식 성공 증가로 이어진다는 직접적인 증거를 처음으로 제시한다"며 이는 집단 간 공격성의 진화적 기원과 그것이 번식 성공도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근거를 제공한다고 말했다. 침팬지 무리가 힘을 합쳐 다른 무리의 개체를 공격해 죽이는 것은 야생 침팬지에서 종종 발생하며 침팬지 행동의 두드러진 점 중 하나로 꼽힌다. 연구팀은 그러나 이런 폭력이 무리의 영토 확장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증거는 있지만, 이것이 번식 성공도(fitness) 이득으로 이어지는지는 알려지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이 연구에서 침팬지 무리 간 폭력적 충돌로 잘 알려
글로벌 의료기기 기업 존슨앤드존슨 메드테크는 초소형 인공심장펌프 '임펠라CP'를 국내 출시한다고 18일 밝혔다. 임펠라CP는 심장이 전신으로 충분한 혈액을 공급하지 못하는 상황에서 최대 5일간 좌심실의 펌프 기능을 대신해 혈액순환을 유지하는 기계적 순환보조장치다. 최소침습적(경피적) 방식으로 대퇴동맥을 통해 심장 내부로 삽입하며, 분당 최대 4.3ℓ의 혈류를 공급해 좌심실 기능을 안정적으로 보조하고 심장이 자가 회복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한다. 전 세계 40만 명 이상의 심인성 쇼크, 고위험 관상동맥시술 환자 치료에 활용되고 있으며 국내에서는 급성심근경색으로 인한 심인성 쇼크 환자의 치료를 위한 사용 목적 희소의료기기로 지정됐다.
[오늘의 증시일정](18일) ◇ 신규상장 ▲ 아이엘커누스[403810] ◇ 추가 및 변경상장 ▲ 티앤알바이오팹 [246710](무상증자 749만282주) ▲ 툴젠 [199800](스톡옵션 7천615주 2만9천450원) ▲ 티쓰리 [204610](스톡옵션 9만주 1천원) ▲ HLB글로벌 [003580](CB전환 18만8천750주 2천649원, CB전환 15만8천177주 3천161원) ▲ 오이솔루션 [138080](CB전환 43만4천515주 1만172원) ▲ 더블유에스아이 [299170](CB전환 42만3천216주 1천654원) [코스피·코스닥 전 거래일(17일) 주요공시] ▲ 링크드[193250], 5억원 유상증자…애자일스톤에 제3자배정 ▲ 한울앤제주[276730] 120억 유상증자…케이파트너스1호투자조합에 3자배정 ▲ 케어랩스[263700] "종속회사 굿닥 주식 100억원에 추가취득" ▲ 아진전자부품[009320] "미국 자회사 주식 15억원에 추가취득" ▲ [바이오스냅] 존슨앤드존슨, 초소형 인공심장펌프 '임펠라CP' 국내 출시 ▲ 대동[000490], 3분기 매출 3천541억원…작년 동기대비 7.8% 증가
▲ 경향신문 = 법무부, '항소 포기·대장동 수사 의혹' 전모부터 밝히라 지역의사제, 빠르고 촘촘히 설계하고 의사들 반대 말아야 장애인 너무 할당해서 문제라는 국힘 대변인의 '망발' ▲ 국민일보 = 미, 중국 견제 동참 주문하지만 균형외교 흔들리지 말아야 추락한 디지털 경쟁력, 인재 육성 없인 'AI 3대 강국' 없다 지방 의료 붕괴 직전… '지역의사제' 도입에 속도내야 ▲ 동아일보 = 지자체 재산 매각 97%가 수의계약…미래를 헐값에 파는 일 관세 MOU 국회 비준, 미국도 일본도 안 하는데… '항소 포기' 설명 요구 검사장 강등 검토…묻는 것도 죄가 되나 ▲ 서울신문 = "5년 뒤 中에 전부 추월"… 833조 국내 투자, 방파제 돼야 대장동 항소 포기, 국정조사든 특검이든 끝까지 규명을 14년치 월급 모아야 '내 집'… 청년 절망 내모는 주택 정책 ▲ 세계일보 = "5년 뒤 반도체·조선까지 中이 추월", 우리 대책은 뭔가 대장동 항소 포기 눈감고 판검사는 겁박하려는 與 중·일 '대만 사태' 갈등 격화, 강 건너 불 아니다 ▲ 아시아투데이 = 검사장 강등 추진에 법관징계법까지… 도 넘은 당정 다카이치발 中日 갈등… 발빠른 대응 필요 ▲ 조선일보 = 대장동